최근 수정 시각 : 2024-03-22 19:36:50

임업

과학의 범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좁은 의미 [[자연과학|
자연과학
]] 물리학 · 생물학 · 지구과학 · 천문학 · 화학
넓은 의미 [[형식과학|
형식과학
]] 논리학 · 수학 · 시스템 과학 · 전산학 · 통계학
[[응용과학|
응용과학
]] 간호학 · 거대과학 · 건축학 · 공학 · 농학 · 산림과학 · 수산학 · 수의학 · 약학 · 의학 · 치의학 · 동양의학(한의학, 중의학)1
[[사회과학|
사회과학
]] 경영학 · 경제학 · 교육학 · 미디어학 · 법학 · 사회학 · 사회복지학 · 심리학 · 인류학 · 정책학 · 정치학 · 지리학 · 종교학2 · 행정학
[[인문학|
인문과학
]] 언어: 언어학 / 예술: 문학 · 미술사학 · 음악사학 / 역사: 사학 · 과학사학 · 고고학 / 사상: 철학 · 종교학2 · 신학3
비과학 신학3 · 변경지대의 과학
비학문 병적 과학 · 쓰레기 과학 · 유사과학(대체의학) · 반과학
1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유사과학의 일종인 대체의학으로 분류하나, 한국, 중국, 북한, 대만 4개국에는 독립된 한의학부가 존재하여 의학사에 준하는 학위를 부여한다.
2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에 걸쳐져 있다.
3 인문과학과 비과학에 걸쳐져 있다. 독일에서는 과학으로 분류한다. 최근에는 사회과학적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
}}}}}}}}}

1차 산업
<rowcolor=#000> 농업 축산업 임업 수산업

1. 개요2. 역사3. 유의점4. 정부5. 산업6. 오해7. 관련 문서

<colbgcolor=#81F7BE> 파일:Importance-of-Technology-in-the-Logging-Industry.jpg
벌채한 나무를 옮기는 장면.
<colbgcolor=#81F7BE> 파일:IE002436875_STD-1.jpg
버섯 재배장의 모습.

1. 개요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임업"이란 영림업(「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과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른 자연휴양림, 수목원정원의 조성 또는 관리·운영을 포함한다), 임산물생산업, 임산물유통·가공업, 야생조수사육업과 이에 딸린 업으로서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업을 말한다.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7. "임산물(林産物)"이란 목재, 수목, 낙엽, 토석 등 산림에서 생산되는 산물(産物), 그 밖의 조경수(造景樹), 분재수(盆栽樹)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 Forestry

이나 산림에서 목재를 벌채하거나 버섯 또는 목청(벌꿀) 등을 생산하는 산업을 일컫는 말.

2. 역사

인류가 농사를 짓기 전, 선사 시대에는 이 일을 통해서 식량을 채취해냈다. 농업보다도 역사가 긴 산업이다. 인류 역사 전체를 통틀어 볼 때 농업의 등장은 의외로 그렇게 오래 전 일은 아니다. 현생인류로 진화하기 전 인류 전 단계의 생물도 이 일을 하면서 먹고 살았을 것이다. 임업은 사냥꾼, 군인과 함께 인류 최초의 직업 중 하나라고 봐도 된다. 초기에는 천연림을 벌채하여 생산된 목재를 이용하는 것으로 끝났다. 하지만 중기에 들어서는 인공적으로 숲을 조성하고 산림자원을 합리적으로 이용, 보전하는 것으로 개념이 변화되었다.

3. 유의점

사유지 및 남의 산에서 나물, 버섯, 약초 등 임산물을 채칩하는 것은 엄연히 불법이다. 특히 산삼이나 송이버섯과 같은 고가 임산물들을 사유림에서 무단채취하다가 고발당하면 5년 이하의 징역에다가 덤으로 산 주인과 그 산에서 임업 권리를 매입한 업자들에게 민사소송까지 걸릴 수 있다.

한국에서는 특히 중장년층들이 사유림에서 남이 재배목적으로 심어놓은걸 알면서도, 혹은 불법이란걸 알면서도 몰래 캐와서 직접 먹거나 팔아먹고 그걸 SNS에서 당당하게 자랑질을 하기까지 하는데 이런 식으로 허가없이 사유지에서 불법 채집을 하는 것은 엄연한 위법행위이며 외국의 경우들처럼 SNS에 업로드된 사진등을 역추적하여 코렁탕을 먹이는 경우도 있다.

4. 정부

세계 여러 나라에서 농림수산부, 농림부, 농림축산식품부 등으로 농업과 함께 묶어서 취급하고는 한다.

한국에서 임업과 관련된 일은 산림청에서 맡아서 처리하고 있다.

북한에서는 각종 업종별로 정부부서를 분리해놓는 공산주의. 특성상 임업성이라는 별도의 임업 기관에서 정부 기능과 생산, 유통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무분별한 벌목으로 민둥산이 댜부분인 북한에서 숲이 멀쩡하게 남아있는 곳은 평양시 일대, 금강산, 개마고원, 백두산 및 나라에서 관리하는 국립공원 정도 뿐이다.

5. 산업

목재용 나무를 심어서 잘 키워두면 꽤나 비싸게 팔 수 있다. 물론 나무가 자라기까지는 굉장히 오랜 시간이 걸린다.

해마다 미국에서 가장 위험한 직업 1위로 꼽힐 정도로 산업재해 사망률이 높은 업종이다. 과거에는 벌채를 해서 강으로 통나무째로 뗏목을 띄어서 하류로 흘려보냈다. 지금도 북한같이 교통이 불편한곳에선 유용하게 쓰인다. 북한의 뗏목 운송

한국, 일본, 중국, 대만에는 산에 숲이 많다보니 산 또는 산촌(산에 있는 농촌)에 임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임업은 주로 냉대기후에서 이루어진다.

러시아, 북미, 북유럽, 브라질, 인도네시아에서 임업이 발달되어있다.

6. 오해

숲 가꾸기에 관한 산림청 배포영상, 벌채와 솎아베기 관련은 50초 대부터

대부분의 사람들은 벌목이 무조건 나쁘다고 생각하고 환경단체에서도 무조건 벌목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는 과학적으로 틀린 말이다. 왜냐하면 벌목을 하는 나무는 대부분 늙은 나무인데 젊은나무가 늙은나무보다 광합성량-호릅량이 크기 때문이다. 광합성량에서 호흡량을 뺀 값이 순광합성량인데 순광합성량이 커야지 더 많은 산소를 배출할 수 있다.광합성은 잎에서만 하고 호흡은 모든 세포가 하는데 젊은 나무가 늙은 나무보다 잎/전체 중량의 퍼센트가 작기 때문에 호흡량이 더 적어서 환경에 도움을 준다. 또한 임업에 쓰이는 나무는 생각보다 성장속도가 매우 빠르다. 성장 속도가 느린 목재는 경제성이 없어 키우지 않거나, 키우더라도 매우 희귀한 상품에 국한된다. 그러므로 늙은나무를 무조건 벌목하지 않는 것 보다 주기적으로 벌목을 하고 젊은나무로 생태를 유지하는게 훨씬 더 환경에 도움을 준다. 이를 '솎아베기'라고 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인식을 바꿔야 할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산림청에서도 적극적으로 국산목재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7. 관련 문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