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3 13:25:04

장난을 잘 치는 타카기 양(영화)


파일:장난을 잘 치는 타카기 양 한글로고_light.svg

등장인물 (주요 인물) 스핀오프 (전카기 니시카타 양) 게임
애니메이션 (TVA 1기 TVA 2기 TVA 3기 극장판 음악)
실사 드라마 실사 영화 커뮤니티 (타카기양 마이너 갤러리)
<colbgcolor=#ee86a7><colcolor=#ffffff> 장난을 잘 치는 타카기 양 (2024)
映画 からかい上手の高木さん
Teasing Master Takagi-san
파일:타카기영화.jpg
장르 멜로/로맨스, 코미디
감독 이마이즈미 리키야(今泉力哉)
각본 카나자와 토모키(金澤知樹)
하기모리 아츠시(萩森淳)
이마이즈미 리키야(今泉力哉)
원작 야마모토 소이치로의 만화 《장난을 잘 치는 타카기 양
제작 오사와 유키, 모리카와 마사유키
출연 나가노 메이, 타카하시 후미야
촬영
음악 오오마마 타카시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 파인 엔터테인먼트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블루라벨픽쳐스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도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더콘텐츠온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4년 5월 3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년 3월 5일
화면비
상영 시간 120분 (2시간 0분 4초)
월드 박스오피스
대한민국 총 관객수 1,036명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개봉 전 정보3. 포스터4. 예고편5. 시놉시스6. 등장인물7. 줄거리8. 사운드트랙9. 평가10. 흥행
10.1. 대한민국10.2. 일본
11. 기타12. 관련 문서

1. 개요

야마모토 소이치로의 만화 장난을 잘 치는 타카기 양을 원작으로 하는 실사 영화로, 감독은 이마이즈미 리키야가 맡았다.[1]

2. 개봉 전 정보

3. 포스터

파일:타카기양 실사화 제작결정 포스터.jpg 파일:장난을 잘 치는 타카기양 실사영화 티저포스터.jpg 파일:영화 장난을 잘 치는 타카기 양 메인 포스터.jpg
<rowcolor=#ffffff> 제작 결정 포스터 티저 포스터 메인 포스터
파일:타카기양 실사화 배너 포스터.jpg
배너 포스터

4. 예고편

티저 예고편
메인 예고편
스페셜 예고편

5. 시놉시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타카기의 장난만큼은 현재진행중?!

같은 중학교의 장난천재 소녀 ‘타카기’와
엉뚱허당 소년 ‘니시카타’

365일 달라지는 타카기의 장난에 속는
리액션 장인 니시카타의 반격은…? 성공률 0%!

티격태격 환장의 짝꿍이었던 두 사람,
그러나 갑작스레 찾아온 첫 이별…

그로부터 10년 뒤, 타카기가 돌아왔다?!

여전히 장난스레 당기고 속수무책 밀리는
두 사람의 삐끗삐끗 단짠 로맨스가 시작된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6. 등장인물

  • 타카기 역 - 나가노 메이
    중학생 때 옆자리 니시카타에게 장난치는 걸 즐겼다.
    10년 만에 섬으로 돌아와 미술 교육 실습생으로 니시카타 앞에 나타난다.
  • 니시카타 역 - 타카하시 후미야
    중학생 때 옆자리 타카기가 장난치자 역으로 장난치려다 실패하기만 했다.
    지금은 모교에서 체육 교사로 근무하며, 2학년 3반 담임을 맡는다.
  • 나카이 역 - 스즈키 진
    니시카타와 같이 모교에서 교사로 근무한다.
  • 하마구치 역 - 마에다 오시로
    짝사랑한 호죠와 사귀다 헤어졌다.
  • 호죠 역 - 시다 사라
    헤어진 하마구치와 재결합을 고민한다.
  • 오오세키 미키 역 - 시라토리 타마키
    니시카타네 반 학생으로, 마치다를 짝사랑한다.
  • 마치다 료 역 - 사이토 준
    니시카타네 반 학생. 어떤 일로 학교를 쉬고 있다.
  • 타나베 역 - 에구치 요스케
    타카기와 니시카타의 중학교 시절 담임 교사로, 현재는 교감으로 근무한다.

7. 줄거리

8. 사운드트랙

9.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10.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최초개봉일) $(세계누적) (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북미
미정 미개봉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정 미개봉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국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정 미개봉 미정

10.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XX-XX-XX. 1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3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4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5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6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XX-XX-XX.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9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0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1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2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13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16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7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8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9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0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3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24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25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26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7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8일차(화) -명 -위 -원
}}}}}}}}} ||

10.2. 일본

11. 기타

  • 개봉 전 영화의 플롯인 중학 시절 이 후 타카기가 전학을 갔고 10년 뒤 마을로 돌아와 니시카타와 재회한다는 내용으로 인해 10년의 공백에 대해 팬덤에서 원성이 자자했다. 원작의 니시카타는 전형적인 까불대고 여심에 대해 전혀 모르는 초등학생 티를 막 벗어난 듯한 중딩 남학생이었던 반면, 타카기는 작중 미인임이 자주 언급되며 중학 시절 이미 남심을 다 꿰뚫어보는 듯 니시카타를 손바닥 위에 올려두고 수 많은 기발한 패턴으로 장난치며 꽁냥꽁냥한 나날을 보내왔는데 그런 사람이 마을을 떠난 뒤 1-2년도 아닌 무려 10년이라는 긴 세월 중 다른 이성을 아무도 만나지 않고 살다 주인공과 재회해서 이어진다는 전개는 아무리 만화임을 감안 하더라도 캐릭터성으로 보나 현실성으로 보나 너무 동떨어진, 소위 말하는 처녀충들의 편의주의적이고 이상적인 망상같다는 의견이 많았기 때문. 허나 이후에 원작자가 둘이 만나지 못한 공백기에 누군가와 사귀었다는 설정을 넣지 말 것 이라는 조건 하에 제작되었다는 사실이 공개되며 원성은 사라졌다.ntr 금지

12. 관련 문서


[1] 今泉力哉. 대표작으로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치히로 상'이 있다.[2]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