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06:17:33

장원섭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광역시장 후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5BA6,#FFC224> 기호 정당 이름 비고
1 한나라당 정용화
2 민주당 강운태 당선
5 민주노동당 장원섭
7 진보신당 윤난실
8 국민참여당 정찬용
9 평화민주당 조홍규
서울 · 인천 · 경기 · 강원 · 대전 · 충북 · 충남
광주 · 전북 · 전남 · 대구 · 경북 · 부산 · 울산 · 경남 · 제주
12345678 }}}}}}}}}}}}

<colbgcolor=#d6001c><colcolor=#fff> 장원섭
張元燮 | Jang Won-seop
파일:장원섭.jpg
출생 1966년 1월 13일 ([age(1966-01-13)]세)
전라북도 남원군
학력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농생물학과/제적)
소속 정당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약력 민주노동당 광주시당 위원장
민주노동당 사무총장
통합진보당 사무총장

1. 개요2. 선거 이력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정치인이다.

1966년 1월 13일, 전라북도 남원군에서 태어났다. 1990년 2월 경에 고려대학교 농생물학과 3학년 재학중 제적되었으며 이후 광주지역으로 내려와서 광산구교육희망네트워크의 공동 대표를 맡는 등의 사회운동을 했다. 1992년 이후에는 김영환, 하영옥 등이 만든 민족민주혁명당 조직원으로 활동하며 광주전남연합을 주도했다. 이는 민혁당 사건 판결문에서 확인된 사실이다.

1989년 7월 북한의 주체사상을 대학가에 배포한 후 '반제청년동맹'을 이끌고 있던 김영환에게 북한 간첩 윤택림이 접근했다. 김영환은 윤택림의 권유로 '관악산 1호'로 조선노동당 당원이 된 후 1991년 5월 19일 입북하여 김일성을 만났다. 이후 1992년 3월 16일 하영옥 등과 함께 민족민주혁명당을 결성했다. '민혁당'은 북한의 승인을 받아 결정한 당명이다.

민혁당은 산하에 경기남부위원회, 영남위원회 등을 두었으며 장원섭은 광주전남연합 총책이었다.

그러다 2000년에 민주노동당에 합류하여 광주지부의 사무처장을 맡다가, 2004년 윤난실 후보를 꺾고 민주노동당 광주시당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노동당 후보로 광주광역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강운태 후보에 밀려 하였다. 같은 해 민주노동당 사무총장에 임명되었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진보당 후보로 광주광역시 광산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통합당 김동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2년 통합진보당 부정경선 사건이 한창 진행중일 때, 중앙위원회 온라인 회의를 방해하려는 목적으로 인터넷 서버를 내리며 논란을 일으켰다. 이 사건은 인터넷 등지에서 소위 '장완섭의 난'으로 불렸다. 기사

이용섭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광역시장 출마로 인한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통합진보당 후보로 광주광역시 광산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정치민주연합 권은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10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광역시장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39,455 (7.23%) 낙선 (4위)
2012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광주 광산 갑

[[통합진보당|
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
17,007 (27.29%) 낙선 (2위)
2014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광주 광산 을 9,375 (26.37%) [1]

[1] 전임자 이용섭 사퇴(광주광역시장 선거 출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