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 아트 By : KarakatoDzo
1. 개요
저스티스맨은 Dr. 라이트가 록맨의 보조와 록 포스의 발전을 위하여 만든 로봇이다. 그는 록맨의 전투 능력과 정의감을 공유하면서도 자신만의 인격과 사고 방식을 탑재하고 있다. 록 포스가 발전하는 동안 그와 록맨의 유대감은 강해져 왔다. [1] "나는 불의의 편에 서지 않아!" 장점 : 정직하다 단점 : 고집불통 좋아하는 것 : 선행 싫어하는 것 : 악 |
Justice Man
록맨 시리즈의 팬 게임 메가맨 록 포스에 등장하는 오리지널 캐릭터.
Dr. 라이트가 만든 록맨의 형제격 로봇으로, 외양은 록맨과 아주 닮았지만 주황색 독수리 디자인이 들어간 헬멧 장식과 상반신의 토가 모양 장식이 특징이다. 초기 버전에선 록맨과 별반 다를 게 없는 쌍둥이 같은 얼굴이었지만, 업데이트되면서 두꺼운 눈썹과 다부진 볼살, 툭 튀어나온 턱이 생겨나 록맨보다 듬직한 모습으로 바뀌었다.
2. 작중 행적
2.1. 오프닝
록맨이 Dr. 와일리를 몰아낸 후 자신의 힘만으론 평화를 유지하기 힘들 거란 판단 하에 자신이 멤버들을 엄선한 치안유지 집단 '록 포스(Rock Force)'를 조직하자 라이트가 록맨을 지원해주고자 만들었으며, 저스티스맨은 록맨의 기본적인 전투기술과 무장, 그리고 록맨의 강한 정의감까지 모두 공유하지만 엄연히 자신의 인격을 갖고 독자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둘은 서로를 친형제처럼 여기며 유대를 쌓아왔고 이는 록 포스의 발전에도 큰 영향을 끼쳐왔다.그러던 어느 날, 록맨과 저스티스맨은 Dr. 라이트로부터 댐 발전소에서 에너지 과부하로 인한 로봇들의 오작동을 막아달라는 요청을 받게 되고 저스티스맨은 록맨과 다른 진입로를 통해 인간 인부들을 대피시키기 위한 통로를 확보하기로 했다.[2] 그리고 다시 합류하면서 모든 인부들이 안전하게 대피했음을 확인했고 위험한 로봇들도 모두 파괴한...줄 알았지만, 록맨과 합류해 경과를 보고하던 중 그가 미처 발견하지 못한 쇼크맨에게 등 뒤를 붙잡혀 감전당하고 쓰러지고 만다.
가까스로 쇼크맨까지 파괴한 록맨은 황급히 저스티스맨을 라이트에게 데리고 와 그의 안부를 걱정했고, Dr. 라이트는 저스티스맨의 기본 기능은 모두 멀쩡하지만 전기충격이 감정회로에 무언가 알 수 없는 지장을 준 것 같다는 진단을 내렸다. 그가 앞으로도 멀쩡할지를 장담할 순 없었지만 록맨에겐 그저 곁에서 지켜보면서 주의해달라는 말밖에 할 수 없었다.
그리고 6개월 후, 크립트맨을 필두로 한 로봇 반란군이 자신들의 주인에게 반기를 드는 대규모 파업이 일어나자 저스티스맨은 록맨을 대신해 8명의 록 포스 대원들을 데리고 진압하기 위해 떠났지만, 돌연 모두 연락이 두절된 채 행방불명되고 만다.
마지막 메인 8보스를 쓰러뜨리면 록맨이 마지막으로 구출해낸 록 포스 대원[3]에게 저스티스맨의 행방을 묻지만 그들도 그가 어떻게 되었는지 알지 못했다. 그래서 Dr. 라이트에게 의견을 구하러 기지로 같이 귀환하지만, 라이트는 록맨이 쓰러뜨렸던 보스 로봇들의 에너지 반응이 세계 각지에서 재결합되기 시작했다는 소식을 전한다. 그래서 록맨은 이번엔 다른 록 포스 대원들의 지원에 힘입어 4명의 퓨전 보스들과 데스맨까지 쓰러뜨리는 데 성공했다.
2.2. 진실
메가맨 록 포스의 보스 일람 | ||||||
테러맨 | 스릴맨 | 플레이그맨 | ||||
크립트맨 | 펄스맨 | 바이러스맨 | ||||
워맨 | 퓨즈맨 | 데스맨 | 포톤맨 | 서모맨 | ||
쇼크맨 | 서킷맨 | 셔레이드맨 | ||||
파워맨 | 포트맨 | 플레어맨 | ||||
포트리스 캐슬 | ||||||
피시맨 | 저스티스맨 | 폴라맨 | ||||
□: 메인 8보스 / ■:퓨전 8보스, 포트리스 캐슬 |
데스맨을 쓰러뜨리자 그 동안 행방을 알 수 없었던 저스티스맨이 나타나 네가 데스맨을 그렇게 쉽게 쓰러뜨릴 줄은 몰랐다는 충격적인 말을 한다. 즉, 그가 8보스들을 이끌고 반란을 일으킨 진짜 주동자였던 것이다.
그러나 놀랍게도 이 과정에서 시리즈 전통의 메인 악역 Dr. 와일리의 개입은 일체 없었으며, 엄연히 그들 자신의 의사로 인류에게 반기를 들었음이 밝혀진다.
2.3. 포트리스 캐슬
포트리스 캐슬 시작 BGM
2.3.1. 피시맨(Fish Man)
팬 아트 By : KarakatoDzo
물고기를 친구로 삼는 해양 탐사 로봇. 얼핏 보면 피시맨은 유기적인 생명체로 보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심해 탐험이라는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그의 창조자들은 보다 유기적인 외모가 생명체를 겁내지 않고 관찰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느꼈다. 과학자들은 주로 로봇 얼굴에 사용되는 피부 모양의 중합체를 입수하여 그의 몸 전체에 적용하여 물 속에서 조작이 용이하고 압력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했다. 비록 그는 여전히 튼튼하지만, 다공성 피부는 오염물질과 미생물학적 생명체에 취약하다. 광범위한 수중 임무를 수행한 후, 그는 상당한 악취를 풍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때 자신조차 접근할 수 없었던 지역을 탐사하던 그의 어류 발견 미사일은 저스티스맨의 팀에 합류한 후 폭발물을 장착하여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치명적인 추적 어뢰가 되었다. [4] "나한텐 친구가 많아!" 장점 : 신중하다 단점 : 악취 좋아하는 것 : 모히칸 헤어 싫어하는 것 : 초밥집 |
스테이지 BGM
저스티스 포트리스 스테이지의 첫 번째 보스. 수중 스테이지의 비중이 높다.
피시맨은 처음에는 바다뱀을 타고 나오며, 격파하면 바다뱀에서 내려서 직접 싸운다.
- 1형태 패턴
- 패턴 1: 위 칸이나 아래 칸에서 8방향으로 쪼개져 약간 휘는 스파크 쇼크(?)를 날리고 나왔던 곳으로 들어간다. 하드에서는 두 발을 날리며,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머리를 넣었다 빼는 속도가 빨라진다. 탄은 토네이도맨의 기본 공격으로 없애버릴 수 있다.
- 패턴 2: 하드에서 추가되는 패턴으로, 1과 연계해서 들어간 곳의 한쪽 구멍에서 스파크 쇼크를 날린다.
- 패턴 3: 피시맨이 위나 아래에서 나타나면서 반대편 구멍으로 들어간다.
- 패턴 3-1: 아래에서 나타나기. 바다뱀의 판정이 있으므로 가운데 발판 아래 슬라이딩 존에서 슬라이딩하고 있는다. 이지에서는 이쪽에서만 등장한다.
- 패턴 3-2: 위에서 나타나기. 중간에 폭탄을 떨어트린다. 역시 가운데 발판 아래 슬라이딩 존에서 슬라이딩하고 있는다.
- 2형태 패턴
- 패턴 1: 점프하면서 물고기 2마리를 푼다. 이지에서는 사용하는 유일한 패턴
- 패턴 2: 갑자기 고속으로 한쪽 구멍으로 들어간다. 2패턴의 한 패턴을 선택했을 경우, 두번째 나타날 때는 위아래를 스왑한다.
- 패턴 2-1: 아래에서 나타나기. 중간에 폭탄을 떨어트린다. 1형태 위에서 나타나기보다 보스의 속도와 폭탄이 떨어지는 시간이 빠르므로 보는 즉시 슬라이딩존에 들어가줘야 한다.
- 패턴 2-2: 위에서 나타나기. 물고기 10여마리를 데리고 온다. 이 패턴은 슬라이딩존에 들어가지 말고 물고기를 어떻게든 줄여놔야 덜 성가시다.
- 약점
- 록맨의 특수 무기: 바이러스 아웃브레이크[5][6]
- 록 포스: 다이브맨의 빨간색 유도 다이브 미사일, 파이어맨의 거품 공격(3칸)[7]
2.3.2. 폴라맨(Polar Man)
팬 아트 By : KarakatoDzo
제설 작업에 특화된 로봇. 대부분의 로봇공학자들은 가장 일상적인 일을 하는 로봇들이 그들의 삶을 즐길 수 있도록 그들의 로봇에 성취감을 프로그래밍하는 선견지명이 있다. 엉성한 프로그래밍이 결국 불만을 초래하는 예는 많지만, 폴라맨보다는 나쁘지 않다. 매일같이 눈을 치우는 일상의 고생은 그를 정신적으로 지치게 하기 시작했는데, 특히 그가 바깥 세상을 탐험하고 위대한 것들을 성취하는 다른 얼음 속성 로봇이 있다는 것을 알았을 때 더욱 그러했다. 그는 사람들과 더 만족스러운 직업을 가진 다른 로봇들에게 냉담해졌다. 그래서, 저스티스맨이 접근하여 "훌륭한 자"가 될 기회를 제공하자, 폴라맨은 그 제안에 뛰어들었다. 저스티스맨의 로봇 장군 중 한 명으로, 그는 요새의 냉각 시스템을 극도의 강도로 지키며, 이제 그의 폴라 플로우즈 공격을 눈보다 침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한다. [8] "여기에 주차하지 마세요." 장점 : 안전운전 단점 : 냉담함 좋아하는 것 : 큰 삽 싫어하는 것 : 진눈깨비 |
스테이지 BGM
저스티스 포트리스 스테이지의 두 번째 보스. 스테이지 바닥이 모두 미끄러지기 쉽고 방향전환이 어려운 얼음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앞서의 피시맨처럼 처음엔 초거대 차량을 이끌고 나타나며, 2차전에선 본체로 직접 싸운다.
게임 진행 그래프 화면 및 일러스트에서 폴라맨의 얼굴을 얼핏 보면 눈이 4개라 어디가 위쪽이고 어디가 아래쪽인지 헷갈린다.(...)
첫 보스전은 피격 판정이 조금 위에 있다. 차량이 가끔 뱉어내는 얼음을 타야 피해를 수월하게 줄 수 있지만, 얼음에 타지 않고도 때릴 방법은 있다. 록맨은 랏슈 코일을 밟아서 록 버스터를 날리거나, ↗ 방향으로 팬텀 퓨즈 / 포톤 플레어 / 바이러스 아웃브레이크 / 펄스 스토퍼를 날려서 얼음에 타지 않고 때릴 수가 있다. 록 포스로는 처치 방식이 달라지는데, 파이어맨은 2단 점프 후 파이어 스톰(4칸), 봄버맨 / 일렉맨, 토네이도맨은 점프 후 일반 공격, 나이트맨 / 컷맨 / 니트로맨은 ↑방향으로 공격을 날리면 된다. 문제는 다이브맨. 유도 미사일로 공격 자체는 가능하지만, 록 포스 중에서는 유일하게 무기 에너지를 소모해야 하고 눈에 날아가버리는 수가 있으므로 얼음에 타서 공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 1형태 패턴
- 패턴 1: 큰 얼음 밀어내기.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빨리 미끄러진다.
- 패턴 2: 눈뭉치를 위로 쏘아올린다. 잠시 후에 눈뭉치가 플레이어 밑으로 떨어지는데, 바닥에 닿으면 작은 눈뭉치로 흩어지니 조금 멀찌감치 피해줄 것.
- 패턴 3: 보스룸 직전에 낭떠러지에서 올라오던 육각 눈 로봇 여러마리를 날린다. 눈이 서서히 떨어지기 때문에 이동에 약간 제한이 생긴다. 이지는 2발을 날리는데,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눈이 많아진다.
- 1형태 약점
- 록맨
의 특수 무기: 덜 모인 차지샷.(그냥 샷 - 3칸 / 1단 차지샷 - 4칸 / 2단 차지샷 - 3칸) - 록 포스: 파이어맨의 파이어 스톰
- 2형태 패턴
2.4. 최종 스테이지 및 보스
최종 스테이지 초반부
최종 스테이지 중반부 보스 재생실
최종 스테이지 후반부.[10]
최종 스테이지 보스전 (잘 보면 커다란 독수리 석상이 있다.)
스테이지 BGM
스테이지의 경우는 온통 분홍색으로 도배되어 있으며 각각의 구간이 이제까지 나온 8보스 스테이지의 고유 특징을 합쳐놓았다.[11] 그리고 툭하면 낙사하게 되는 구간 투성이라 일렉맨, 니트로맨, 토네이도맨처럼 스테이지 돌파력이 강한 녀석이 아닌 이상 록맨(그 외 록 포스)으로 하면 상당한 어려움을 겪으면서 해야한다.
그래서, 네가 내 형제들을 파괴했구나. 이제 나만이 자유의 불꽃을 지니고 있어. 나는 이 불꽃을 무조건 보존하겠어, 록맨. 너도 잘 알고 있잖아. 이제 네가 그토록 보호하려는 그 고철더미로 보내주겠어.
최종 보스전 BGM
마지막 최종 보스전은 1형태에서는 무난하게 클리어 할 수 있지만, 2형태부터는 공중에 떠다니는 특성상 비트나 일부 록 포스 대원을 플레이하지 않는 이상 난이도가 급상승한다. 이지 모드에서는 일부 패턴이 나오지 않을 때가 있으며 하드 모드에서는 모든 패턴의 동작이 빨라진다.
- 1형태 패턴
- 패턴 1: 잠깐 위를 쳐다보고는 플레이어가 있는 곳으로 1회 점프를 한다.
- 패턴 2: 잠깐 엎드리는 자세를 취하고 플레이어를 향해 슬라이딩을 한다.
- 패턴 3: 버스터를 잠깐 위로 치켜세우고 곧바로 플레이어를 향해 버스터를 3발 연속으로 빠르게 발사한다.
- 패턴 4: 잠깐 멈춰서 주먹을 쥐는 모션을 취하고는 다시 움직인다. 즉, 페이크 모션.
- 2형태 패턴
- 패턴 1: 한쪽 구석 아래로 내려온 다음 초록색 구체를 전방을 향해 연속으로 발사한다.
- 패턴 2: 화면 정중앙으로 이동한 뒤 기를 모으고 초록색 구체 여러발을 연속으로 플레이어가 있는 곳에 난사한다.
- 패턴 3: 랜덤한 곳으로 이동한 뒤 자신의 주위를 도는 초록색 구체 4개를 소환하고 플레이어가 있는 곳으로 날린다.
- 패턴 4: 화면 상단 랜덤한 곳으로 이동한 뒤 세 번에 걸쳐서 랜덤한 곳에 빛기둥을 소환한다. 빛기둥이 나오기 직전 반짝이는 표시가 나오므로 그 자리를 피해야 한다.
- 패턴 5: 플레이어가 있던 화면 아래로 돌진하면서 바닥 두 칸을 깨고, 플레이어가 있는 바닥 두 칸을 부수며 다시 올라온다. 이후 바닥이 한쪽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복구 된다. 부지런히 움직이지 않으면 낙사할 위험이 큰 패턴이다.
3. 결말
===# 구 버전 결말 #===- 우선 구 버전의 스토리는 2015년 4월 18일 업데이트 이전의 시나리오임을 분명히 해둡니다.
저스티스맨은 왜 이런 짓을 했느냔 록맨의 물음에 "자유를 위해서"라고 대답한다. 그는 사건의 시발점이었던 수력발전소 진압 당시 쇼크맨에 의해 의식을 잃은 다음부터 기존의 정의관에 대한 회의감을 갖게 되었다. 자신들의 필요에 따라 로봇들을 부수고 버리는 인간들의 행태에 깊은 의문과 절망을 느꼈고, 로봇들의 자유를 위해 뜻을 같이하는 8보스들의 도움을 통해 팀을 이루고 자신들의 창조주에게 저항하기를 선택한다. 그러나 록맨과 록 포스 팀원들은 자신들을 따라가지 않고 대항할 것이기에 그들을 납치해놓았던 것이다.
모든 록 포스가 구출되고 데스맨까지 쓰러진 이상 저스티스맨의 목표는 좌절되었지만 그는 아직 모든 것이 끝난 건 아니고 시간만 있으면 충분하다며 또다른 폭동을 준비하기 위해 비밀리에 구축해놓은 자신들의 비밀 기지로 돌아간다. 록맨은 저스티스맨을 끝까지 추격하고, 저스티스맨에게 라이트 박사님이 널 고쳐줄 수 있으니까 돌아와달라고 외쳐보지만 저스티스맨은 "고치겠다고? 나는 자유의지와 정의를 위해 싸우고 있어, 록맨. 너는 뭘 위해 싸우는 거지?"란 말과 함께 최후의 1:1 대결을 벌이고 끝내 패배한다. 저스티스맨은 "그래. 이 세상에 정의 따위는 애초부터 없었던 거군."이란 유언을 마지막으로 흔적도 남지 않고 폭발해버리고, 록맨은 그 자리에서 주저앉은 채 절규한다.
모든 것이 마무리되고, 록맨은 죽어간 8명의 로봇들과 저스티스맨을 떠올린 다음 도시의 야경을 쓸쓸히 바라본다. 롤도 이야기를 듣고는 굉장히 침울해했다고 하며, 록맨을 걱정해 찾아온 Dr. 라이트에게 록맨은 왜 그들이 파괴되어야 했는지를 묻는다. 저스티스맨과 그의 동지들은 비록 폭동을 일으켰다고는 하나 사실은 그 과정에서 누구도 다치게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들은 그저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고 싶었을 뿐인데 자기는 그들의 외침을 앞장서서 영원히 묻어버렸을 뿐이라면서 깊은 자괴감에 빠져있었다.
Dr. 라이트는 이 세계는 아직 로봇들의 자유의지를 완전히 인정해줄 만한 준비가 되지 않았고, 정부도 너에게 그들을 파괴하도록 했기 때문에 불가피한 일이었다며 위로하지만, 그들을 그저 결함품으로만 기억하게 될 현실 앞에서 록맨은 단 한번도 품지 않았던 고뇌를 품는다. 이 싸움이 과연 진정으로 평화를 지키기 위한 일이었는지, 이제 나는 두 번 다시는 평화를 찾을 수 없는 것은 아닌지...
3.1. 신 버전 결말
- 이 스토리는 플레이어가 록맨을 골라서 진행했을 때를 기준으로 서술합니다.[13]
모든 록 포스를 구출한 후에 추가적으로 보스들을 쓰러뜨리는 과정까지는 대동소이하나, 데스맨을 쓰러뜨리고 난 후에 저스티스맨이 스스로 모습을 드러내는 부분부터는 확 바뀌었다.
자신의 동기를 '자유'라고 설명하며 어떻게 된 것인지를 알려주는데, 인트로 스테이지에서 쇼크맨에 의해 쓰러진 후에 저스티스맨은 새로운 깨달음을 얻었다. 그는 인간들의 어리석은 법[14]에 의해 불필요하게 희생되고, 그러한 현실에 대해 의문을 품는 것조차 허락되지 않았던 로봇들의 실태를 보고 좌절하게 되었다. 그리고는, 자신과 같은 생각을 가진 8명의 로봇들과 힘을 합쳐 로봇들을 인간들이 씌운 굴레로부터 해방하고자 반란을 주도했다고 말한다.
이를 들은 록맨은 저스티스맨에게 누구도 해치지 못하게 하겠다고 말하지만, 저스티스맨은 자신은 "인간이건 로봇이건 누군가를 해칠 생각은 없으며, 그 때문에 록 포스 대원들도 파괴하거나 손상을 입히지 않고 그냥 붙잡아뒀을 뿐" 이라고 말한다. 록맨이 반란 진압을 위해 8명의 로봇들을 전부 파괴했던 것과는 달리.
록맨은 인간들은 저스티스맨이 생각하는 그런 존재가 아니라고 반박하나, 저스티스맨은 되려 "모든 인간들이 Dr. 라이트같은 건 아니고, 그저 로봇들을 도구로만 사용하다가 필요없어지면 그저 버릴 뿐인 인간들도 있다" 는 말을 한다. 그리고 Dr. 라이트는 많은 로봇들을 고쳐내어 폐기처분될 운명으로부터 구해줬다고 하며, 록맨이 록 포스를 조직한 것 또한 그와 같은 행동이었다고 말하지만, 록맨은 자신은 그런 이유로 록 포스를 조직한 게 아니라고 반박했고 왜 저스티스맨이 자신의 생각을 말하지 않았느냐고 묻는다. 이에 대한 저스티스맨의 대답은 너랑 인간의 유대가 너무 깊어서, 너한테 말했다간 시작부터 내 계획이 엉클어질까봐였다. 그리고 자신이 록맨을 구원해주겠다고 하며, 요새로 퇴각한다. 그리고 라이트 박사는 저스티스맨을 저지하고 연구소로 데려와 달라고 말한다.
이후의 전개는 변한 게 없으나, 보스 재생실에서 각 로봇 보스들을 쓰러뜨렸을 때 그냥 파괴하는 게 아니라 AI칩은 파괴하지 않고 회수하게 된다. 이후 저스티스맨과 대면하고, 저스티스맨은 록맨이야말로 희망이 없다고 말하며 싸우려고 든다. 이때는 구버전처럼 신념을 위해 싸운다는 이미지는 약해지고, 다소 비아냥거리는 어조로 말한다. 당연히 '너는 무엇을 위해 싸우느냐' 라는 말도 하지 않는다.
전투 패턴 자체는 변함이 없고, 2차전까지 쓰러뜨릴 경우 구버전과 똑같이 "그래, 이 세상에 정의라는 건 없었던 거야" 라고 말하고 파괴되나, AI칩은 회수된다.
이후 다른 로봇들의 AI칩은 라이트 박사에 의해 복구되었고, 몸 또한 수리되어 새로운 삶을 살게 되었다. 그러나 저스티스맨 본인의 AI칩은 도저히 수리가 불가능할 정도의 손상을 입은 상태였고, 결국 재생 불가 판정을 받게 되었다. 하지만, 그건 록맨과의 전투에서 입은 손상이 아니었다. 사실은 저스티스맨의 AI 설계 자체의 결함으로, 원래대로라면 별 문제가 없었겠지만 예상치 못한 공격으로 감정회로가 변질되면서 본래는 저스티스맨이 록맨을 카피하면서도 사고까지 종속되진 않도록 주어졌던 독립성향을 제어할 수 없게 되었고 그 부담으로 인해 AI마저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손상되었음이 밝혀졌다. 다시 말해 저스티스맨은 미쳐버렸던 것이다.
록맨은 결국 저스티스맨의 행동이 광기에서 나온 무의미한 것일 뿐이었냐고 묻지만, 라이트 박사는 비록 이것이 설계적 결함에서 나온 행동이라고 할지라도 저스티스맨이 추구한 바 자체가 틀렸던 것은 아니라고 한다. 로봇들은 인간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며, 때로는 그것이 본래 설계를 뛰어넘은 것이기도 하다는 말과 함께. 그리고 로봇의 수명을 제한하는 제도가 바뀌기만을 기다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하며, 자신부터 그 변화의 첫 발을 내딛을 것이라고 약속한다.
그리고 라이트 박사는 록맨에게 "물론 나는 언제나 너의 생각을 존중하고 응원한단다. 하지만, 계속 궁금했다. 너는 왜 록 포스를 조직했던 거니?"라고 묻는다. 이에 대한 록맨은 "세상에 위협은 언제나 존재하고 있고, 만에 하나 자신이 그 위협을 제압하는데 실패하더라도 소중한 사람들이 안전하게 보호받는 세상을 원했기 때문"이라고 대답한다.
이후, 새 삶을 살게 된 8명의 로봇들과, 그와 어울리는 록 포스 대원들의 모습을 보여준 후에 엔딩 스태프롤이 올라간다.
보다시피 구버전과는 달리 저스티스맨 일당의 행동에 대한 당위성이 더 잘 설명되었고, 비록 저스티스맨 본인은 완전한 죽음을 맞이했긴 하나, 그의 행동으로 인해 로봇들의 미래가 더 밝게 변화하게 될 거라는 암시도 주어졌기 때문에 헛된 죽음은 아니다.
또한 신 버전 엔딩에서는 라이트 박사가 기술이 더 발달한 미래에서는, 로봇들도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하는 대사가 있다. 이는 구 버전 엔딩에서 인류 사회는 아직 로봇의 자유 의지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지 않았다라는 말과 대비되어 보이는 말이다. 그리고 라이트 박사가 이후에 스스로 사고하고 행동하는 신세대 로봇의 프로토타입이 되는 개체를 만들게 된다는 점을 생각하면 참으로 적절한 연출.
[1] 원문: Justice Man was created by Dr. Light to aid Mega Man's development of the Rock Force. While he shares Mega Man's combat capabilities and views on justice, he retains his own personality and thought processes. His and Mega Man's bond has grown strong throughout the development of the Rock Force.[2] 다른 8명의 록 포스는 아직 록맨 밑에서 훈련중이라 출동하기 위한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였다.[3] 각 보스 캐릭터들마다 전용 컷신이 따로 있고, 말투도 모두 다르게 표현되는 세심함이 돋보인다.[4] 원문: At first glance, Fish Man appears to be an organic lifeform, but this is not the case. To carry out his mission of deep sea exploration, his creators felt that a more organic appearance would allow him to observe lifeforms without frightening them. Scientists acquired a skin-like polymer, used primarily for robot faces, and applied it to his entire body to make him more maneuverable in water and adaptable to pressure changes. Though he is still durable, his porous skin is susceptible to contaminants and microbiologic lifeforms; after extensive underwater missions, he’s been known to build up quite the stink. His Fish Finders where once used to explore areas that even he couldn’t access, but after joining Justice Man’s ranks, they were fitted with explosives to become incredibly deadly tracking torpedoes.[5] '다공성 피부는 오염물질과 미생물학적 생명체에 취약하다'는 피시맨의 설명문이 힌트.[6] 후반 전투 때 나오는 물고기를 같이 격파해주고 공격을 막아주는 만큼 매우 유용하다.[7] 거품 공격은 위로 올라가는 성질과 연타 판정 때문에 피시맨 2형태의 상단에서 날아오는 빨간 물고기를 매우 잘 죽이며, ↓+공격으로 헤엄을 칠 수 있기 때문에 파이어맨으로 오면 아주 편하다.[8] 원문: Most roboticists have the foresight to program a sense of fulfillment into their robots so that robots with the most mundane tasks can enjoy their life. There are many instances of sloppy programming leading to eventual discontent, but none worse than Polar Man. Day in, day out --the daily grind of removing snow began to wear him down mentally, especially when he knew there were other ice themed robots out there exploring the world and achieving great things. He grew cold towards people and other robots with more satisfying careers. So, when approached by Justice Man and offered a chance to be “something great”, Polar Man jumped at the proposition. As one of Justice Man’s Robot Generals, he guards the fortress’ cooling system with utmost ferocity, now using his Polar Plows attack to remove intruders rather than snow.[9] 이외에 대공 능력이 없는 특성상 토네이도맨의 ↓+공격 역시 유효.[10] 온통 다리까지 달린 스플래시우먼의 동상으로 도배되어 있다. 지극한 누나사랑[11] 구 버전에서는 모든 8보스 스테이지 중간 부분들만 그대로 옮기고 배경만 다르게 만들었다. 그래서인지 진행에도 어려움이 없었고, 무엇보다 제작자가 너무 성의없다고 판단했는지 신 버전 이후로는 해당 스테이지를 새롭게 바꾸어 지금의 맵으로 수정하였다.[12] 영칭인 Justice Man을 띄어쓰면 Just Ice Man이 되어서 이것 때문에 전기속성 무기에 약하다는 우스갯소리도 있다(...)[13] 다른 록 포스 대원들로 진행했을 때는 저스티스맨의 배신에 대해 각자 반응이 제각각이다. 예를 들어 나이트맨은 "신성모독이다!"라는 어디서 많이 들어본 대사를 친다던가...[14] 록맨 9에서도 언급되던 로봇들의 수명을 지정하는 법을 말하는 걸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