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22:26:13

제주 버스 623, 624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C7C3><tablewidth=310>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
[[틀:제주특별자치도 공항리무진|
공항
]]ㆍ[[틀:제주특별자치도 급행버스|
급행
]]ㆍ[[틀:제주특별자치도 간선버스|
간선
]]ㆍ[[틀:제주특별자치도 지선버스|
지선
]]ㆍ[[틀:제주특별자치도 마을버스|
마을
]]ㆍ[[틀:제주특별자치도 순환버스|
순환
]]ㆍ[[틀:제주특별자치도 심야버스|
심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400번대 · 제주시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411 412 415 421 422 423
424 425 426 431 432 434
435 436 437 440 441 442
444 445 446 447 451 452
453 454 455 461 462 465
466 471 472 473 475 477
490 49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600번대 · 서귀포시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611 612 615 621 622 623
624 625 627 630 633 635
641 642 643 644 645 651
652 655 690 691 692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700번대 · 읍면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701 702 703 704 705 711
721 722 731 732 741 742
743 744 751 752 761 771
772 781 782 783 784 785
791 792 793 794 795
}}}}}}}}} ||
파일:서귀포624_7543.jpg
624번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논란 및 사건사고4.2. 시간표
5. 주요 관광지

1. 개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지선버스 노선으로 서귀포운수에서 운행한다. 623번 전체 정류장 목록, 624번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서귀포시 지선버스 623번
기점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하례리(하례2리입구) 종점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상효동(모레기도)
종점행 첫차 07:15 기점행 첫차 -
막차 19:50 막차 -
배차간격 1일 7회
운수사명 서귀포운수 인가대수 1대
노선 하례2리입구 → 심향사 → (휴애리 자연생활공원) → 신례초등학교 → (제주공천포 전지훈련센터)/(상위미 → 위미중학교 → 위미초등학교) → 공천포 → 하례1리사무소 → 효돈중학교 → 쇠소깍 입구 → 효돈초등학교 → (비석거리 교차로 → 제주은행 → 중앙로터리 → 주공2단지 → 토평초등학교)/(감귤박물관) → 동상효 → 서귀포농업기술센터 → 모레기도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서귀포시 지선버스 624번
기점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하례리(하례2리입구) 종점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상효동(모레기도)
종점행 첫차 평일 09:51
휴일 06:00
기점행 첫차 -
막차 평일 15:01
휴일 19:11
막차 -
평일배차 1일 4회 휴일배차 1일 8회
운수사명 서귀포운수 인가대수 1대[1]
노선 하례2리입구 → 서귀포농업기술센터 → 동상효 → (토평초등학교 → 산남새마을금고 → 중앙로터리 → NH농협 남제주지점 → 비석거리)/(감귤박물관) → 효돈중학교 → 쇠소깍 입구 → 하효마을회관 → 하례1리사무소 → 공천포 → (위미초등학교 → 위미중학교 → 상위미)/(제주공천포 전지훈련센터) → 신례초등학교 → (휴애리 자연생활공원) → 심향사 → 모레기도
중간 종료 정류장
623번 모든 시간대에 종점까지 운행
624번 신례교21:01

3. 역사

  • 2017년 8월 26일 제주 버스 개편에 따라 620번으로 신설되었다.
  • 2018년 3월 14일부터 노선이 전면 변경되었으며, 휴애리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위미3리 구간은 철수하며 기존 동부 3순환에서 2순환 방식으로 운행한다. 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24년 8월 1일 623번 차량 운행대수가 2대 → 1대로 감차하여 운행횟수가 15회 → 7회로 감편되었고, 평일시간표 기준 624번 차량 운행대수가 2대 → 1대로 감차하여 운행횟수가 15회 → 8회로 감편되었다. 평일시간표와 휴일시간표가 통합되었다. 또한 이로 인해 624번 막차가 신례교로 단축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24년 10월 14일 서귀포운수의 2022년부터의 잦은 고장 결행 등 지속적인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위반 행위에 따른 도민 불편이 지속됨에 따라 수요 저조와 겹쳐 도청의 강제 행정처분으로 폐선될 예정이었으나, 이를 폐선 조치 직전에야 공지하여 지역 주민들의 민원이 잇따르는 등 논란이 일자 제주특별자치도 측에서는 조용히 폐선 조치를 철회하였다.

4. 특징

  • 서귀포시 효돈동과 남원읍 신례리, 하례리를 중심으로 순환하는 노선이며 일부 시간대 위미중학교를 경유한다.[2] 하지만 이렇다할 주 수요지는 경유하지 않아 빈차로 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만 휴애리 자연생활공원을 유일하게 경유하기 때문에 이 곳을 찾는 수요가 조금이나마 있는 편이다.
  • 624번은 시간표상으로는 일 8회지만, 평일에는 실질적으로는 일 4회만 운행한다. 295-1번 운행을 위해서 일부 시간대를 결행하기 때문. 이 것 떄문에 노선이 폐선 직전까지 갔으나, 현재 보류된 상태다. 자세한 내용은 논란 문단 참조.
  • 서귀포시 간선노선, 시내 지선노선 중 유일하게 중앙로터리를 미경유하는 노선이 있다. 등교시간대 2회 및 하교시간대 2회는 중앙로터리를 경유하지 않는다.
  • 623번은 시계방향, 624번은 반시계방향으로 운행하며, 하례리/감귤단지에서 신례리, 위미로 가는 것은 623번이, 효돈, 중앙로터리로 가는 것은 624번이 더 빠르다. 하지만 배차간격이 매우 좋지 못한데다가 카운티로 운행하는지라 편안하게 가고 싶다면 281번, 615번, 621번, 655번 등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 하례초등학교 - 하효북문 구간은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
  • 쇠소깍에서 효돈으로 한 번에 가는 유일한 노선이다.[3]

4.1. 논란 및 사건사고

  • 623, 624번 노선은 회사의 막장 운영과 여러 번의 논란으로 인해 특히 논란이 부각되는 노선이다.

====# 저상버스 예외 노선 논란 #====
  • 2017년 신설된 이후로 쭉 저상버스가 계속 운행되고 있었는데, 2022~2023년경부터 수요가 저조하다는 이유로 회사 측에서 차급을 저상버스에서 현대 카운티로 두 단계 격하시켰다. 그런데 2024년, 갑자기 교통과에서 서귀포운수 등 서귀포 3개 업체에서 운행하는 623, 624번을 포함한 대부분의 노선을 저상버스 투입 예외 노선으로 승인하여 논란이 되었다.
  • 이 노선이 저상버스 투입 예외 노선 승인이 된 이유가 양마단지 - 하례2리, 쇠소깍/하례1리, 신례리, 상위미 구간의 선형과 도로 구조 때문인 것으로 보이는데, 이미 상술한 구간 중 간선, 지선 대부분의 노선에 저상이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고, 신례리, 하례1리, 상위미 구간도 도로 구조가 저상버스를 투입하기에 부적합하지는 않다. 게다가 신례리 구간은 742-1번의 저상버스 투입으로 저상노선이 충분히 들어갈 수 있다는 점이 증명되었으며, 결정적으로 이 노선에 신설 이래 6년 이상 저상버스가 지속적으로 투입된 만큼 도대체 왜 저상버스 투입 예외 노선으로 지정되었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반응이 대다수다.
  • 특히 저상버스 투입 예외 노선 목록에 저상버스가 정상적으로 운행 중인 630번도 포함되어 있는지라 사실상 금남여객, 서귀포운수가 저상버스가 정상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노선을 저상버스가 다닐 수 없는 노선들이라고 주장한 것을 교통과에서 검증도 없이 승인해 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회사의 무단 결행 논란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귀포운수 문서
4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2023년경부터 차량이 잦게 고장나며 무단 결행을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서귀포운수가 뽑은 전기버스의 잦은 고장 결행과 겹쳐 매우 큰 논란이 되었다. 회사 측에서는 승객이 "버스가 오지 않는다"며 항의 전화를 하면, 아예 고장난 차량을 대신해 기사의 승용차나 내근 직원의 법인차를 끌고 와 승객을 태우기도 했다. 이러한 수법으로 버스를 무단으로 결행/대체 운행한 횟수가 2023년 4월에만 무려 21차례,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이 노선을 포함하여 6천여 건에 달한다. 그러나 이로 인한 보조금 삭감은 고작 한화 1억 2천만원. 이유는 고장 결행은 보조금 삭감 대상에 포함이 되지 않기 때문.
  • 게다가 2024년 8월, 제주버스 개편으로 남원읍 중산간 지역 주민들이 버스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을 겪자, 급히 임시 노선 295-1번을 신설했는데, 이 노선을 서귀포운수가 운행하게 되었다. 그런데 수요가 그다지 많지 않자 기존 준대형 고상버스를 투입하던 것에서 언젠가부터 카운티를 투입하는 것으로 바꾸어 안 그래도 수요가 없던 624번 차량을 가지고 와 무단 운행을 시작했다. 사실상 말만 일 8회지 평일엔 출퇴근시간 운행을 다 빼 먹고 일 4회만 운행한 셈이다.

  • 결국 이것을 뒤늦게 확인한 제주버스 교통과에서 서귀포운수가 621, 623, 624번을 하루 27차례 중 매일 15차례를 무단 결행[4]하는 것을 확인해 2024년 10월 11일 공식적으로 623/624번을 강제 폐선 조치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이를 확인한 주민들이 621번 감차와 같이 묶어 민원을 제출하였고, 결국 폐선 하루 전에 조용히 철회하였다.
  • 그러나 이러한 조치 후에도 서귀포운수는 계속해서 624번을 결행 운행하는 중이다. 623번은 전회 정상 운행 중이나 624번은 오전 6:00, 7:35발과 오후 16:51발, 19:11발 시간대를 타 노선 운행으로 빼 먹으며 일 4회만 운행 중이다. 이에 대해 조치가 필요해 보이는 상황이다.

4.2. 시간표

623번 노선 시간표, 624번 노선 시간표[5]

5. 주요 관광지

영천악, 휴애리자연생활공원, 공천포 전지훈련센터, 해양소공원, 쇠소깍, 서귀포 상설시장, 이중섭거리, 매일올레시장, 올레야시장, 감귤박물관, 월라산, 포제동산, 제주농업기술센터, 제주 올레길 5, 6, 7, 7-1코스
[1] 출퇴근 시간대 295-1번 차출 운행.[2] 위미중학교를 경유하는 시간대에는 중앙로터리 및 시내를 경유하지 않으니 주의해야 한다.[3] 520번도 쇠소깍을 경유하지만 쇠소깍에서 효돈으로 가지 않는 노선이기 때문이다.[4] 621번 7회, 623번 3회, 624번 4회.[5] 상술한 것처럼 평일엔 06:00발, 07:36발, 16:51발, 19:11발을 운행하지 않으며 주말에만 일 8회를 모두 운행한다. 이용에 참고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