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1 11:23:22

굴곡 노선/버스/제주특별자치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굴곡 노선/버스
1. 개요2. 급행, 일반간선3. 제주시/서귀포시 간선버스(심야버스 포함)4. 지선버스(마을버스 포함)
4.1. 제주시4.2. 서귀포시
5. 순환버스6. 굴곡도가 낮지만 돌아간다고 평가되는 노선

1. 개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운행하는 버스 노선의 굴곡도를 서술한 문서다.

제주도는 순환 노선이 매우 많지만 네이버 지도나 카카오맵에 회차지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노선이 경유하는 정류장 중 중간 정류장을 기준[1]으로 중간 회차지를 지정하여 굴곡도를 계산한다.[2]
  • 굴곡도를 계산하여 굴곡도가 소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을 때 1.5 이상인 노선만 기재하며 2.0 이상인 경우 볼드 처리를 하고, 3.0 이상일 경우 빨간 글씨를, 4.0 이상인 경우 큰 글씨를 적용한다.
  • 단, 마을버스는 노선 특성상 골목길 사각지대를 인근 전철역, 교통스팟 등과 연계하는 것이 목적이므로[3] 일반 시내버스보다 좀 더 엄격하게 적용하여 굴곡도가 2.0 이상인 경우에만 기재하며, 이 때의 볼드 기준은 2.0 이상이 아닌 2.5 이상을 적용한다. 빨간 글씨를 적용하는 커트라인은 3.0 이상이 아닌 3.5 이상을, 큰 글씨 커트라인은 4.5를 적용한다.

2. 급행, 일반간선

<rowcolor=#fff> 노선 굴곡도 설명
101 2.38 제주에서 서귀포까지 동쪽으로 조천, 구좌, 성산, 표선, 남원 총 5개의 읍면을 지나간다. 사실상 일주 노선.
102 2.08 위 101번보다는 굴곡도가 낮지만, 반대로 서쪽으로 돌아간다.
181 32.22 잘못 쓴 게 아니다. 시점인 공항과 종점인 제주버스터미널은 거리가 약 3km 남짓이지만, 이 노선은 제주도를 한 바퀴 돌아서 제주에서 서귀포 찍고 다시 제주로 오기 때문에 거리가 거의 100km이다. 그래서 굴곡도가 저렇게 된 것.
182 32
<rowcolor=#fff> 노선 굴곡도 설명
201 2.42 위 101번의 완행 간선버스인데, 완행이여서 그런지 더 돌아가고, 행선지도 많다.
202 2.35 이 버스 역시 위 102번의 완행 간선버스인데, 완행이어서 그런지 더 돌아간다.
295 1.52[4] 굴곡도는 이 문서에 낄 것도 안 될 수치지만 노선을 보면 어이가 없을 정도로 돌아간다. 성산발 서귀포행 첫차의 커브가 무려 92회에 달한다. 주요 커브 구간만 (서귀)동문로터리, 하례, 대성, 의귀, 수망, 가시, 표선, 일출랜드, 삼달, 난산, 섭지코지, 고성 구간으로 총 12개다. 그래서 총 소요시간만 2시간 16분(서귀포 방향 첫차)이다.

3. 제주시/서귀포시 간선버스(심야버스 포함)

<rowcolor=#fff> 노선 굴곡도 설명
315 1.65 하귀와 외도에서 돌아갔다 나오며, 오도 구간은 삼각형을 반으로 자른 듯한 구간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굉장히 돌아가며, 터미널까지 돌아갔다 나와 굴곡이 굉장히 많다. 다만 형제 노선인 316번은 굴곡도가 낮으며, 굴곡이 315번보다는 적어 불만이 적다. 단점이라면 315번과 316번이 나무위키에서도 한때 별개의 문서로 분리되었을 정도로 아예 다른 노선임에도 20분 통합 배차다. 그래서 315번과 316번이 비슷한 시간대에 오는 경우가 가끔 있는데, 그 시간대에 걸리면 다음 차 배차가 기가 막히는지라 311, 312번과 더불어 불만이 많다.
326 1.54[5] 노형동과 연동에서 엄청나게 돌아가고 한라수목원 한정으로 탐라도서관까지 경유해 돌아가는 경로가 매우 심한데, 이런데도 굴곡도는 등재 기준을 겨우 충족하고, 그마저도 형제 노선 325번은 딱 커트라인이다. 326번은 삼화지구를 경유해 간신히 등재 요건에 충족될 수 있었다.
331 1.82[6] 신시가지에서 서쪽으로 한참 돌아가며, 중간에 동여자중, 대유대림 쪽으로 들어갔다 나오기 때문에 굴곡이 높다. 공항도 들어갔다 나오고 똑같이 통합 배차인지라 315번과 비슷한 상황이다.
332 1.65[7]
360 1.75 부영아파트에서 제주대까지 수요를 위해 직선으로 가지 않고 엄청 돌아간다. 그러나 의외로 굴곡도는 다른 노선에 비해 조금 낮다고 볼 수 있다.
365 1.98 제주도 시내버스 중 전체 수요 1위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굴곡도가 높다. 제주 시내의 웬만한 곳은 다 돌아다녀서 한라대에서 제주대까지 빙 돌아간다.

4. 지선버스(마을버스 포함)

4.1. 제주시

<rowcolor=#fff> 노선 굴곡도 설명
415 1.96 노선이 너무 돌아가서 구간별 수요가 압도적인 노선. 장거리 수요는 얼마 없다. 노형에서 중앙로까지 가기 위해 이 노선을 타는 제주도민들이 없다. 그 정도로 돌아간다. 당장 보건소에서 시청까지 5분 내로 주파하는 300번, 311번, 312번 등이 있으나 이 노선은 무려 33분이라는 경악할 만한 시간이 소요된다. 그냥 타지 말자.
421 1.77 광양과 삼화지구에서 굴곡이 많다. 거로/황사평 부근에서 1차로 도로로 진입한다.
422 1.86
440 2.56 애조로를 통해 한라수목원에서 월평까지 20분대로 갈 수 있으나 정작 이 노선은 탐도, 대림아파트, 도청, 터미널, 용담, 중양로, 관덕정, 시청, 제일중과 봉개를 모두 거치느라 엄청나게 돌아가며 특히 한국병원 - 제주시청사거리 구간은 말이 안 나올 정도. 터미널에서 시청 가는 440번이 온다고 절대 타지 말자. 애초에 배차간격이 좋아 아무리 늦어도 20분 안에는 오는 360번이 있다. 터미널에서 관덕정까지 갈 때는 좋은 노선이나, 애초에 이 노선이 음영 지역을 잇는 성격이여서 전 구간을 타는 것은 좋지 않다. 심지어 440번의 완벽한 상위호환 대채제인 357, 358번이 있다. 따라서 구제주는 몰라도 신제주에서 월평 갈 때는 절대 이 노선을 타지 말자.
455 2.19[8] 정존마을 이동 노선은 365번과 비슷하나, 더 굴곡도가 높은 노선으로 제주도에서 많이 돌아가는 노선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오일장 경유날에는 굴곡도가 더 늘어난다. 애월 쪽에서 워낙 많이 돌아가서 굴곡도가 높다.
701-1 1.61 에덴빌리지 구간. 에덴빌리지에서 숫자 '2'자로 돌아가며, 시간도 5분 정도 더 소요된다.
702 2.10[9]
3.23[10]
초록마을 경유 시간대 한정으로 매우 돌아간다. 물론 초록마을 미경유 시간대에는 굴곡률이 낮다.
703 2.49[11]
1.65[12]
문장 하나로 요약하자면 겁나게 돌아간다. 특히 양천상동과 에덴빌리지 구간의 경우는 그냥 막장이다. 1차로 구간이 많은데, 사실 이 노선이 승합차 노선이여서 상관은 딱히 없다.
711 2.38[13]
1.84[14]
크고 아름다운 유명한 관광지 덕분에(?) 엄청 돌아간다. 711-1번은 상덕천에 비자림까지 경유하고, 해녀박물관 종점이여서 매우매우 돌아가며, 711-2번은 그나마 낫지만 만장굴의 존재 때문에 일단 만장굴은 경유하며, 세화리에서 엄청 돌아간다.
782-2 2.37 종점을 봉성하나로로 계산했을 때 옆의 굴곡도가 나오는데, 직행으로 가지 않고 귀덕으로 돌아가고, 옹포까지 간 것이 그 이유다. 사실 읍면순환 노선인 이유도 있다.
793 3.08[15]
1.89[16]
애월에서 하귀까지 쭉 가지 않고 상가-소길-유수암-광령-제일빌리지-해안-사라마을로 엄청나게 돌아간다.

4.2. 서귀포시

서귀포시 지선버스의 경우 서귀포시는 제주시와 다르게 교통이 열악한 곳이 많아 그 곳을 다 경유하느라 굴곡도가 대부분 말도 안 되게 높다. 노선이 순서대로 나열되어있다.
<rowcolor=#fff> 노선 굴곡도 설명
611 2.09[17] 서귀포시 지선 노선 중에서는 노선과 달리 그렇게 심한 편은 아니지만이유는 때문 이 노선 역시 굴곡이 심한 편이다. 숫자 '2'자로 크게 돌아가며 특히 서귀포 중앙로터리에서부터 정방동까지의 구간은 말이 안 나올 정도로 노선이 기괴하다. 중앙로터리에서 극락사가 보이는 순간 바로 '이걸 왜 탔지'라는 생각이 나오게 하는 노선.
612 1.79 위 611번보다는 훨씬 덜하지만, 토평공업단지를 경유해 소요시간이 조금 늘어나고 굴곡도가 높아졌다는 것이 함정이다.
615 1.66[18] 천지연폭포 때문에 황우지해안에서 천지동주민센터까지 조금 굴곡이 있다. 그리고 하례 구간은 영천악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뱅뱅 돌아간다.
621 4.29[19] 이 노선 수요 중 거의 90% 이상이 구간 수요일 정도로 굴곡도가 엄청나다. 헬스케어리조트 방향은 그나마 낫지만 모레기도 방향은 서귀포까지 돌아가기 때문에 헬스케어리조트에서 하례로 갈 경우엔 절대로 이 노선을 타지 않는 것을 권한다. 그러다 위 415번의 사례처럼 100% 후회한다.
622 3.51 611번의 삼매봉-중앙로터리, 623, 4번과 627번의 동문로터리-모레기도 구간을 퓨전한 노선이다. 무슨 생각으로 만들었는지 감이 안 잡히는 노선. 숫자 '2'자로 크게 돌아가며, 애초에 똑같은 가격인 281번이 삼매봉에서 토평까지 최단거리로 운행하기 때문에 이 노선을 타고 절대 삼매봉에서 토평, 하례로 가지 않기를 권한다.
623 3.55[20] 굴곡도가 굉장히 높다. 휴애리 경유 때는 257m인 신례교 - 만지동 부분 최단거리가 무려 17배나 늘어난 4.3km가 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외에도 622, 627번이 지나가는 하례 - 공천포 - 효돈 테크를 밟으며, 효돈 구간에서는 숫자 '6'자로 하례초 - 하례1리 - 하효북문 - 효돈중 - 쇠소깍 - 효돈초 구간[21]을 운행한다. 참고로 이 구간은 정말 돌아가니까 다른 노선을 타자. 또한 서귀포 시내를 경유하기 위해 중앙로터리에서 엄청 돌아간다.[22] 그리고 위미를 경유할 때 굳이휴애리, 상위미, 위미를 경유해 시간이 좀 늘어난다. 이 시간대를 조심하자.
624 3.29[23]
625 2.17[24] 헬스케어리조트에서 서귀포운수차고지까지 최단거리 경로에서 딱 서귀포 시내만 경유해 엄청나게 돌아간다.
627 2.19 622, 3, 4번의 모레기도 - 하례 - 공천포 - 토평 - 비석거리 테크를 같이 경유하는 노선으로 많이 돌아가는데 그마저도 운행횟수가 일 5회에 불과해 타는 사람도 많이 없다. 참고로 이 노선도 당연히 대체 노선이 있다.
630 3.04[25] 보목포구에서 토평까지 거의 일직선으로 이어주는 마소물로와 토평로50번길이 있으나 630번은 좌측으로 한참 뱅뱅 돌아간다. 칼호텔 북쪽을 지난 후 연금공단을 경유하려다 말고 동문로터리로 내려간다. 이후 중앙로터리, 오일장을 지나가는 C자 선형을 가지고 있다.
635 3.62[26] 서귀포 순환 구간이 621번, 625번과 흡사하지만 서쪽으로 돌아가며, 하필 시점이 남주중고, 종점이 토평이라 굴곡이 극대화된다. 게다가 서귀포여중 경유 시간에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문서에 있는 노선도를 보자. 엄청나가 돌아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42 1.87 법환과 서귀신시가지를 경유하느라 굴곡이 많다. 굴곡도는 고근산 정류장을 기준으로 했을 때. 순환 노선인 걸 감안하면 의외로 굴곡도가 낮은 편.
643 4.31[27] 역대급 굴곡을 보여준다. 얼마나 굴곡도가 높나면 서귀포 시티투어버스인 880번보다 굴곡도가 훨씬 높다. 그래서 구간 수요가 이 노선의 모든 수요를 차지한다. 당장 서귀포 신시가지를 한 바퀴 돈 다음 서호북문에서 서호까지 한 번에 안 가고 무려 중앙로터리, 동문로터리, 솜반천을 모두 찍고 그제서야 서호에 진입한다. 또한 서호초교 진입 시간대에는 1차로 길인 서호초교 앞과 LH까지 한참 돌고돌아 나오기 때문에 매우 돌아간다. 심지어 여기서 끝이 아니고 법환에 캔싱턴리조트, 관광미항, 대천, 그리고 서귀포 시가지를 매우 빙글빙글 돈다. 특히 대천과 농업기술원 사이의 거리는 아까 전의 서호북문과 서호 사이의 거리 못지 않게 돌아간다 할 수 있겠다. 그러나 대체 노선이 거의 없다는 점에서 어쩔 수 없는 선형이 살짝 있기도 하다.
644 4.71[28]
645 1.71[29] 노선 자체가 막장이다. 서귀포버스터미널에서 삼다공원 찍고 유승한내들 쪽으로 돌아가다, 서귀포 제2청사 쪽으로 지나가다 연금공단을 지나고 다시 삼다공원 찍고 LH, 서호로 빠진다. 그래서 한 번 운행할때마다 고래왓 정류장을 4번이나 경유하는 대참사가 벌어졌다. 거의 김해 2번급.
690 1.65[30] 중문관광단지에서 레전드 굴곡을 보여준다. 대포포구에서 시작해 풍림빌리지 찍고 다시 컨벤션으로 내려간다. 여기부터 벌써 이상한데, 스위트호텔로 깊숙이 들어간 후 다시 나와 중문환승정류장을 지나 풍림빌리지 남쪽을 지나며 동쪽으로 빠진다. 굴곡이 매우 많은데, 정작 노선이 길어서 이런 굴곡도가 나왔다.
691 2.24[31] 얼핏 보면 641, 642, 643, 644번과 비슷하지만 실상은 880번 아침 운행 노선이다. 굴곡은 641, 642번과 같이 역시 거의 없는 편. 참고로 691번 첫차는 삼매봉에 구 터미널, 천지동, 동문로터리, 송산동, 서귀포항을 경유하기 때문에 굴곡도가 저 정도까지 늘어난다.
692 1.70
721 1.79[32]
2.36[33]
성산 구간은 노선 운행 방식을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해괴하게 운행한다. 721-3번은 고성 방향 한정으로 숫자 '8'자 모양으로 돌아가며, 721-2번은 고성 방향 한정으로 721-3번이 운행하는 고성 '8'자 구간에서 윗부분만 운행한다. 그런데 여기서는 '고성 방향 한정'이라는 서술을 쓰고 있는데, 이유는 반대 방향은 성산 구간을 미경유하기 때문이다. 특히 대천 방향 721-2번은 수산에서 살짝 돌아가는 것을 제외하면 금백조로 경유 210번대와 노선이 아예 똑같을 지경.
722 2.44[34]
2.32[35]
여기도 위 721번과 상황이 똑같다. 722-1번은 중간에 난산을 경유하는 건 덤. 고성 방향 한정으로 721-2번과 성산 구간이 반대이며, 고성 - 오조리 - 성산항앞 - 성산일출봉 - 고성으로 순환한다. 고성 방향 한정으로 정말 돌아간다. 여기도 '고성 방향 한정'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는데, 721번과 똑같이 반대 방향은 성산을 미경유한다.아니 뭔데 애초에 노선이 구 910번을 대체하기 위한 성격이여서 그렇다.
731-2 1.60 731-1번과 차이는 그렇게 크지 않으나, 731-2번은 신풍, 주어등을 경유하기 때문에 돌아가는 면이 있다. 그런데 전구간 주행 소요시간은 731-2번이 731-1번보다 2분 빠르다는 게 함정
732-1
732-2
1.85[36]
2.42[37]
732-1번은 222번 가시리 경유 시간대와 노선이 완전히 겹친다. 성읍에서 표선까지는 번영로로 일직선 상에 있지만 가시리를 경유하느라 엄청 돌아가게 되었다. 732-2번은 표선생활체육관에서 대진유토피아, 표선면사무소, 표선중학교에 가시리까지 돌아가는터라 굴곡도가 이 정도다. 정말로 돌아가는 노선. 그러나 마찬가지로 많이 돌아가는 732-3번은 등재 기준 미달이다.
742 1.71[38]
1.60[39]
이 노선의 남원 순환 구간의 평균인 이화농장을 기준점으로 잡았을 때. 원래 742-1번도 굴곡도가 1.51에 불과했으나 노선이 공업단지로 연장되며 굴곡도가 조금 늘어났다.
743 3.88 원래는 아주 평범한, 굴곡률이 1.5 도 안 되는 노선으로 굴곡도가 높기는 커녕 지극히 평범한 노선이였으나, 편도 노선으로 변경되면서 굴곡도가 높아지고 2020년 즈음부터 갑자기 순환 노선에서 왕복 노선, 남원생활체육관 종점으로 바뀌면서 굴곡률이 3을 넘었고, 신례리까지 추가 경유하면서 무려 4.69의 굴곡도를 가지게 되었지만, 노선이 환원되면서 기존의 굴곡도로 돌아갔다.

5. 순환버스

관광지 순환노선의 특성상 당연히 굴곡도가 높을 수 밖에 없으니 참고용으로만 보자.
<rowcolor=#fff> 노선 굴곡도 설명
810 10.63[40] 굴곡도가 매우 이상한 수준인데, 저건 정석비행장 출발/도착할 때의 굴곡도이며 사실 지금은 정석비행장으로 810번이 운행하는 것이 중단되어서 각주에 써져있는 대천동 순환 노선의 굴곡도가 현 노선의 굴곡도다. 사실 관광지 순환버스이기 때문에 이럴 수 밖에 없긴 하다.
880 2.6[41] 서귀포 시내를 헤집고 다니는 버스 노선이다보니 천지연 방향 한정으로 굴곡률이 매우 높지만, 반대 방향은 종이 한 장 차이로 등재 기준 미달이다.
1111 3.24 이 버스의 시점과 종점 사이의 정류장이 모두 7정거장 사이이므로 민속자연사박물관이 중간 종점이라 봤을 때 나오는 수치가 바로 왼쪽 수치인데, 애초에 시티투어 노선이므로 이런 값이 나올 수 밖에 없다.
1112 5.54 이 버스의 시점과 종점 사이의 정류장이 모두 6정거장 사이이므로 서문시장이 중간 종점이라 봤을 때 나오는 수치가 왼쪽 수치인데, 1111번과는 다르게 첫 6정거장에서 서쪽으로 크게 돌아가므로 저런 수치가 나온 것이다.
1113 3.10 동문로터리 종점 기준 저 수치이다. 1112번과 반대 방향으로 운행하지만 굴곡도가 다른데, 1112번과는 다르게 공항을 2번 경유하지 않기 때문이다.

6. 굴곡도가 낮지만 돌아간다고 평가되는 노선

  • 251, 253, 254: 250번대는 전부 등재 미달이지만, 251번은 화순에서, 253번은 신평에서, 254번은 일과에서 상당히 돌아간다. 물론 254번은 일 4회 운행이여서 딱히 제주 - 대정 이동에 영향을 크게 끼치지는 않는다.
  • 312: 동문시장, 삼화를 깊숙이 들어가 경유하는데, 하필 311번과 통합 배차를 하느라 신시가지, 시청 쪽에서 함덕 쪽으로 이동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게 하는 주범이다. 그래도 저상버스잖아
  • 325: 등재 미달이나 굴곡이 많다. 위 326번 참고.
  • 704: 조천 지역의 함덕-선흘까지 한 번에 뚤어주는 길의 부재로 어쩔 수 없이 와산, 선흘에서 상당히 돌아가나 굴곡도가 낮다. 특히 704-3번의 멍중내 경유 시간대의 경우 함덕에서 와산 갈 때 매우 불편하다. 704-4번의 경우 덕천리와 해동포구를 깊숙이 들어갔다 나오는지라 많이 돌아가는 편이다.
  • 732-3: 토산1리에서 표선을 갈 때 토산초를 추가로 경유하는지라 많이 돌아가지만 굴곡도가 낮아 등재 미달이다.


[1] 서울 110번의 사례처럼 말이다.[2] 단, 명확히 회차지가 보이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3] 제주도에서는 마을버스가 교통편이 불편한 곳만 이어주기 때문에 육지의 마을버스와는 성격이 많이 다르다. 관광지 순환버스도 마을버스 면허이긴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순환버스에 해당한다.[4] 295번 성산발 서귀포행 첫차의 굴곡도다. 그런데 이것도 반올림한 수치다.[5] 함덕 방향 1.51[6] 삼양3동 노선 기준, 삼양종점 노선은 1.61.[7] 삼양3동 노선 기준.[8] 오일장 날이 아닐 때는 2.04.[9] 한흘마을입구를 기준점으로 잡았을 때 702-1번 초록마을 경유 시간대 굴곡도.[10] 702-2번 초록마을 경유 시간대 굴곡도. 초록마을 미경유, 문서교 경유할 때 와산삼거리를 기준을 잡는다면 1.57.[11] 703-1번.[12] 703-2번.[13] 711-1번.[14] 711-2번.[15] 유수암/해안 경유 793-1번. 장전/해안 경유는 2.97.[16] 793-2번.[17] 상효원 미경유 시 2.06[18] 남주중고 경유 시.[19] 모레기도 방향(헬스케어리조트 경유 시)[20] 중앙로터리, 휴애리 경유 시간대.(월라봉 기준.) 중앙로터리 경유, 휴애리 경유 시 3.31.(하례1리 기준.)[21] 쇠소깍 구간은 입구 교차로가 남원 방향만 들어갈 수 있게 되어있어 편도로 운행한다.[22] 일부 시간대 한정.[23] 중앙로터리, 휴애리 경유 시간대.(앞동네 기준) 중앙로터리 미경유, 휴애리 경유 시 2.11.(하례1리 기준)[24] 헬스케어리조트발 토평차고지행(남주중 경유) 굴곡도. 치유의숲 경유 노선은 1.75.[25] 남주중고 경유 시. 미경유 시 2.5.[26] 서귀포여중 경유 노선 굴곡도. 미경유 노선의 굴곡도는 2.92.[27] 서호초교 경유 시간대. 미경유 시간대는 4.26.[28] 서호초교 경유 시간대. 미경유 시간대는 4.10.[29] 연금공단 경유 시 1.65.[30] 대포발 남용통상행 기준. 평안전문요양원 시종점은 1.61.[31] 신시가지발 천지연행 기준. 서귀포중앙도서관 종점 시간대 기준 1.64.[32] 721-2번 고성 방향 시흥 경유. 시흥 미경유 시 1.66.[33] 721-3번 고성 방향.[34] 722-1번 고성 방향. 성읍 방향은 1.90.[35] 722-2번 고성 방향 온평포구 경유. 온평포구 미경유 시 2.11.[36] 732-1번.[37] 732-2번 안좌동 방향, 반대 방향은 2.35[38] 742-1번(향토오일시장). 공업단지 시종점은 1.70.[39] 742-2번.[40] 정석비행장 경유 기준. 대천동 순환 노선은 덕천리 기준 810-1번은 2.32, 810-2번은 1.72.[41] 천지연 방향. 그러나 반대 방향은 1.49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