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3 14:30:24

제29회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
,
,
,
,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제28회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제29회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제30회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우승자
신진서 미정 미정
1. 개요2. 예선3. 본선 출전 참가 선수4. 본선
4.1. 24강4.2. 16강4.3. 8강4.4. 4강4.5. 결승

1. 개요

2024년 5월부터 2025년 초까지 개최 예정인 LG배.

2. 예선

  • 아마 선발전은 2월 28일에 진행됐으며 그 결과 김사우, 이준수, 박승현, 신현석, 박정현, 김정훈 선수가 선발전을 통과했다.
  • 이번 대회도 국가별 선발전으로 본선 출전자를 가린다. 한국 대표 선발전은 4월 14일부터 19일까지 열리며 7개조 토너먼트로 7명을 선발한다. (국내 선발전 대진표) 예선은 각자 1시간에 40초 초읽기 5회다.
    - 예선전 중계 대국
    날짜 중계 경기 대진 결과

    4/14 TV 6조 1회전 스미레 김정훈A 177수 흑 불계승

    4/15 TV 1조 2회전 송규상 최 정 250수 백 불계승[1]

    6조 2회전 스미레 허영호 307수 흑 1집반승[2]

    4/16 TV 7조 3회전 김은지 정우진 141수 흑 불계승 [3]

    수순 5조 3회전 이창호 이창석 126수 백 불계승

    1조 3회전 김다영 최 정 228수 백 불계승

    4/17 TV 1조 4회전 최 정 박영훈 181수 흑 불계승

    수순 조한승 김명훈 216수 백 불계승

    6조 4회전 문민종 안성준 310수 흑 2집반승[4]

    4/18 TV 1조 준결승 최 정 황재연 197수 흑 불계승

    수순 김승진 김명훈 140수 백 불계승

    5조 준결승 이창석 한우진 316수 흑 4집반승

    4/19 TV 1조 결승 최 정 김명훈 282수 백 불계승

    수순 2조 결승 한상조 설현준 221수 흑 불계승

    3조 결승 박수창 강동윤 168수 백 불계승

    4조 결승 김지석 김진휘 210수 백 불계승

    5조 결승 김다빈 이창석 200수 백 불계승

    6조 결승 이지현 문민종 316수 흑 반집승

    7조 결승 안정기 최현재 348수 백 1집반승

* 국가시드 몫 한 자리를 놓고 선발전을 진행한 대만은 8명의 기사가 결선 토너먼트를 가졌고 결승에서 라이쥔푸가 쉬하오훙을 꺾고 본선 티켓을 따냈다. 대만 국가시드 선발전은 이 대회 본선과 동일한 룰(각자 3시간, 40초 초읽기 5회)로 대국했다.(관련기사) 참고로 국가시드 결승에서 탈락한 쉬하오훙은 와일드카드로 LG배에 출전하게 됐다.
  • 중국 선발전은 4월 중국랭킹 상위 16명(국가시드를 받은 딩하오와 셰얼하오는 제외, 18위까지 참가)의 선수들이 참가해 4개조 듀얼 토너먼트로 진행한 뒤 각 조 1, 2위로 통과한 선수가 조별 최종 결승에서 대결하여 승리한 4명의 선수가 본선에 진출했다.(관련 기사)
  • 일본 선발전에서는 사카이 유키와 이다 아쓰시를 꺾은 쉬자위안이 선발전 티켓을 따냈다. 이다 아쓰시는 선발전에서 탈락했으나 국가시드를 받고 출전하게 됐다. 일본의 경우 기전 스케줄에 따라 출전 여부가 정해지는데 이치리키 료(일본 6관왕)는 혼인보전 도전기 일정과 겹쳐 출전하지 않았다.

3. 본선 출전 참가 선수

구분 출전 선수 (선수 이름에 굵은 글씨는 16강 부터 시작)
전기 시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전기 우승), 변상일(전기 준우승)
국가 시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신민준, 박건호, 원성진
파일:중국 국기.svg 딩하오, 셰얼하오
파일:일본 국기.svg 시바노 도라마루, 이다 아쓰시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라이쥔푸
선발전 통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상조, 강동윤, 김진휘, 이창석, 이지현, 최현재, 김명훈
파일:중국 국기.svg 구쯔하오, 판팅위, 커제, 미위팅
파일:일본 국기.svg 쉬자위안
와일드 카드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쉬하오훙[5]

4. 본선

4.1. 24강

24강 (2023년 5월 20일 오전 10시 개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명훈 330수 흑 2집반승 김진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창석 150수 백 불계승 구쯔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212수 백 불계승 셰얼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지현 235수 흑 불계승 판팅위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건호 260수 백 불계승 쉬자위안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상조 238수 백 불계승 이다 아쓰시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동윤 241수 흑 불계승 라이쥔푸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현재 183수 흑 불계승 쉬하오훙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 바둑리그 챔피언결정전 1~2차전에서 1승씩 주고 받은 후 나흘 만의 재대결을 벌인 이창석구쯔하오의 대국은 이창석이 중반부터 우위를 차지하며 단 150수 만에 구쯔하오에게 항복을 받아냈다. 여담으로 이창석과 구쯔하오는 벌써 2024년에만 네 번째 맞대결을 가졌고 이 날 승리로 이창석은 2024년에만 구쯔하오 상대로 3승 1패를 기록했다.(통산 상대전적은 3승 2패)
  • 원성진셰얼하오를 상대로 중반 좌상에서 우위를 잡으면서 마지막까지 우위를 지킨 끝에 완승을 거두고 24강 대국 중 가장 먼저 끝을 냈다. 또한 원성진은 셰얼하오 상대로 상대전적 3연패 후 첫 승을 거둠과 동시에 지난 해 농심배에서의 패배도 설욕했다.
  • 이지현판팅위에게 승리를 거둠으로써 이 날 열린 24강 한중전 세 판에서 한국 선수가 모두 승리를 거뒀다. 한상조는 일본의 이다 아쓰시에게 엎치락뒤치락한 바둑끝에 승리를 거뒀고, 한국 선수들끼리 붙은 김진휘와 김명훈의 대결에서는 김진휘가 승리를 거두고 16강에 진출했다.

4.2. 16강

16강 (2023년 5월 22일 오전 10시 개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225수 훅 불계승 한상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330수 흑 2집반승 미위팅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창석 236수 백 불계승 커제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진휘 240수 백 불계승 딩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174수 백 불계승 시바노 도라마루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304수 백 불계승 쉬자위안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165수 흑 불계승 라이쥔푸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지현 251수 흑 불계승 쉬하오훙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 한국 선수끼리 붙은 대국에서 한상조전기 우승자 신진서를 잡는 이변을 일으켰다.' 한상조는 신진서와 대등한 내용으로 바둑을 펼치다가 중후반에 승부처에서 우세를 잡으면서 결국 신진서에게 항복을 받아내며 생애 첫 메이저 세계대회 8강에 진출했다. 동시에 LG배는 이번에도 연속 우승자가 나오지 않게 됐다.
  • 한국 선수와 외국 선수 간의 대결로 펼쳐진 7판에서는 5승 2패를 거뒀다. 한일전(박정환-시바노, 원성진-쉬자위안)과 한국-대만(신민준-라이쥔푸, 이지현-쉬하오훙) 대결에서는 전승을 거뒀으나 한중전에서는 1승 2패를 거뒀다. 김진휘는 딩하오에게, 이창석은 커제에게 아쉽게 패했다. 변상일은 미위팅을 상대로 막판 접전 끝에 승리했다.

4.3. 8강

8강 (2024년 9월 30일 오전 10시 개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 수 - 승 변상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 수 - 승 신민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상조 - 수 - 승 커제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지현 - 수 - 승 딩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 8강에 한국 6명, 중국 2명이 진출 함에 따라서 8강에서는 한중전 두 판, 한국 선수끼리 대결 2판이 열리게 되었다.

4.4. 4강

4강 (2024년 10월 2일 오전 10시 개시)
파일:국기.svg - - 수 - 승 -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 수 - 승 - 파일:국기.svg

4.5. 결승

  • 날짜: 2025년 1월 20일 ~ 23일
  • 장소:
제29회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결승 3번기
파일:국기.svg 미정 0 0 미정 파일:국기.svg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대국
흑번
백번
중계
1국
(1/20)
- - 바둑TV -
K바둑 -
오로바둑(수순) -
타이젬(유튜브) -
- 수 - 승
2국
(1/22)
- -
- 수 - 승
3국
(1/23)
- -
- 수 - 승
우승 파일:국기.svg 미정 ( - ) }}}


[1] 최정이 매우 불리한 바둑이었으나 후반에 대역전승을 거뒀다.[2] 중반까지 스미레가 매우 우세한 바둑이었으나 막판에 대역전패를 당했다.[3] 초중반부터 정우진이 스무스하게 리드를 잡으면서 빠르게 끝내버렸다.[4] 해당 대국은 바둑TV에서 하이라이트로 다뤘다.[5] LG배 첫 외국인 와일드카드[6] 각 국가별로 남은 인원이 많은 순서대로 추첨했다. 한국 선수들은 홀수 번호로 추첨하고 나머지 선수들은 짝수번호로 배정해 대진을 정했다. 단, 16강에서 한국 선수가 9명이나 되는 관계로 한국 선수간 경기가 한 경기가 나오는 상황이라 LG로고 족자를 뽑은 사람이 한한전을 두는 것으로 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