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tablebgcolor=white,black> 체제선전시설 | |
평양시 | ||
<colbgcolor=#cccccc,#333333> 중구역 | 김일성광장 (대주석단) · 당창건사적관 · 조선혁명박물관 · 천리마동상 | |
대동강구역 | 당창건기념탑 · 옥류전시관 | |
대성구역 | 금수산태양궁전 · 대성산혁명렬사릉 | |
만경대구역 | 국가선물관 · 만경대고향집 · 청년운동사적관 · 칠골혁명사적관 | |
모란봉구역 | 개선문 · 조중우의탑 · 해방탑 | |
보통강구역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 푸에블로호) · 중앙계급교양관 | |
서성구역 | 3대혁명전시관 · 조국해방전쟁참전렬사묘 | |
기타 | 애국렬사릉 (형제산구역) · 재북인사릉 (룡성구역) · | |
량강도 | ||
전체 |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 (정일봉) ·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 |
자강도 | ||
전체 | 국제친선전람관 | |
함경북도 | ||
전체 | 회령고향집 | |
황해남도 | ||
전체 | 신천박물관 | |
전국 | ||
전체 | 구호나무 · 김일성김정일동상 · 명제비 · 영생탑 | |
일반 박물관 | ||
평양시 | ||
중구역 | 조선미술박물관 · 조선민속박물관 · 조선우표박물관 · 조선중앙력사박물관 · 철도성 혁명사적관 | |
대성구역 | 자연박물관 · 조선중앙동물원 · 조선중앙식물원 | |
락랑구역 | 과학기술전당 · 락랑박물관 | |
기타 | 지하철도건설박물관 (모란봉구역) · 평양문화전시관 (대동강구역) | |
개성시 | ||
전체 | 개성고려박물관 | |
강원도 | ||
전체 | 원산력사박물관 | |
자강도 | ||
전체 | 강계력사박물관 | |
량강도 | ||
전체 | 혜산력사박물관 | |
평안남도 | ||
전체 | 평성력사박물관 | |
평안북도 | ||
전체 | 신의주력사박물관 · 향산력사박물관 | |
함경남도 | ||
전체 | 함흥력사박물관 | |
함경북도 | ||
전체 | 청진력사박물관 | |
황해남도 | ||
전체 | 해주력사박물관 | |
황해북도 | ||
전체 | 사리원력사박물관 | |
}}}}}}}}} |
평양시의 박물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40001,#222222><tablebgcolor=#e40001,#222222> | 조선미술박물관 朝鮮美術博物館 Korean Art Gallery |
▲ 조선미술박물관의 모습 | |
<colbgcolor=#e40001,#222222><colcolor=white> 설립 | 1954년 8월 9일 |
주소 | 조선미술박물관 (평양시 중구역 경림동) |
사진의 오른쪽(강변)에 위치한 건물. 그 맞은편 건물은 조선중앙력사박물관. |
[clearfix]
1. 개요
북한의 박물관. 평양시 중구역 경림동, 김일성광장에 있다.2. 특징
조선중앙력사박물관과 마찬가지로, 북한은 영토상으로는 한반도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지만 문화재 보유량은 남한에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적다고 한다. 해방과 남북분단 당시 기준으로 한반도에 주요 미술품은 대부분 남쪽, 특히 조선총독부와 이왕가의 소장품에 있었고, 북한에는 평양부립미술관, 즉 요즘말로는 일개 지역 시립미술관에 해당하는 미술관의 2,500점 유물뿐이었다고 한다. 북한은 조선시대 명화 등 미술품을 조총련 등을 통해 일본의 개인이 갖고 있던 것을 구입해 보완하는 데 열중했다고 하며, 지금은 여전히 남한 전체에 비교할 정도는 아니지만 명화를 상당히 모아서 그럭저럭 볼만한 미술관이 되었다고 한다. 물론 북한 특유의 조선화가 주 소재.그리고 바로 옆의 조선중앙력사박물관처럼 여기도 남한보다 이른 시기에 리플리카(정밀복제품)을 대거 도입했다고 한다. 즉 남한이나 해외에 진품이 있는 다수 한국미술품의 모습도 여기서 볼 수 있다. 북한정권 특성상 애국주의 자긍심 배양을 위해 학생들에게 박물관/미술관 방문을 적극적으로 권장하는데, 남한에 갈 수 없는 현실에서 복제품이라도 아니면 문화유산을 감상할 수도 없으니 말이다.
그런데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에 의하면 진품과 복제품이 한데 섞여서 별다른 표시도 없이 전시돼있다고 한다. 물론 미술관 직원이나 전문가가 보면 진품인지 복제인지 티가 난다고는 하지만 유홍준 같은 미술전공 학자도 잠깐이나마 갸우뚱할 정도면 일반인들의 안목으로는 뭐가 뭔지 구분이 힘들 듯 하다. 북한에 진품이 있는 미술작품들도 진품은 훼손되지 않도록 창고에 꽁꽁 보존해두고 관람객이 있는 전시공간에는 복제품을 전시한 경우도 많다고 한다. 진품 볼려면 그 만큼 돈을 따로 내야 했다는데 북한 방문 당시 같은 동포라서 싸게쳐서 점당 50달러라 5점을 선정했다고.
박물관의 입지는 김일성광장의 한복판으로 일단은 좋은 편이다.[1] 북한 정부에서
통일 이후에는 조선중앙력사박물관과 비슷하게 국립현대미술관 평양관 내지 평양시립박물관으로 개편되어 운영될 가능성이 높다.
[1] 일본의 고고학자인 도쿄대 사이토 다다시 교수는 평양을 방문하고 쓴 북조선 고고학의 신발견(1996년)에서 "평양시의 중심지인 김일성광장의 양측에 조선중앙력사박물관과 조선미술박물관이 마주하고 있다는 것은 이 나라가 박물관과 미술관을 얼마나 중요시하고 있는가를 무언으로 말해 주는 것이다. 이런 자리설정은 세계의 박물관에서도 유례가 드물다"고 평가했다. 유홍준도 평양을 방문하기 전까지 방송에 나오던 김일성광장의 양 옆 건물이 로동당 당사나 의사장 정도인 줄 짐작했었다고.(출처: 유홍준, 나의 북한문화유산답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