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9 16:22:08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의 일반 마법 카드. }}}}}}}}} ||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종언의 카운트 다운, 일어판명칭=<ruby>終焉<rp>(</rp><rt>しゅうえん</rt><rp>)</rp></ruby>のカウントダウン, 영어판명칭=Final Countdown, 효과1=①: 20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한 턴을 1턴째로 세어 20턴째의 턴 종료시에 자신은 듀얼에서 승리한다.)]리미트 레귤레이션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
러시듀얼@ 엑조디아 와 함께 특수 승리 카드 중 조건이 가장 직관적인 카드. 발동에 성공한 후, 20턴을 버티면 승리한다.
20턴을 버티려면 전용 덱을 짜서 상대의 공격 시도를 원천 차단해야만 한다.
봉인의 황금궤 등으로 종언의 카운트 다운을 빠르게 서치해 발동한 뒤
배틀 페이더 ,
속공의 허수아비 ,
사이버 밸리 ,
공격 무력화 ,
제로 가드너 ,
네크로 가드너 ,
발조기뢰 태엽마인 ,
일시 휴전 ,
위협하는 포효 ,
화목의 사자 ,
그레비티 바인드 ,
레벨 제한 B구역 ,
드레인 실드 ,
다크 레조네이터 ,
비상 식량 ,
지배자의 일괄 ,
레인보우 라이프 등의 방어 카드들을 있는 대로 쑤셔박고 덱의 남는 자리엔
갑부 고블린 ,
야타 까마귀의 유해 ,
욕망의 단지 ,
욕망과 겸허의 항아리 , 같은 드로우 가속 카드나
마궁의 뇌물 같은 마법 / 함정 대비책을 넣어 20턴을 버틸 수 있게 만드는 게 보통이었다. 실제로도 절륜한 위력이라서 예전에는 해외 대회에서 입상한 경우도 종종 있었다. 그 한 예로,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12에서 주니어부의 4위 멕시코 출신 palumbp 선수가 종언의 카운트 다운 덱으로 출전했으나, 미국의 고든 선수의
성각 덱에 패배해 4위에 머물렀다. 마지막에 몬스터들을 바운스하려고
시계신 메타이온 을 소환했으나,
금지된 성배 에 막혀 패배했다.
방해꾼 관련 카드가 방해꾼 삼형제와
방해꾼 킹 , 방해꾼 매직, 방해꾼 머슬 정도뿐이었던 시절엔
지반 침식 과 방해꾼 킹으로 상대 필드를 틀어막고 이걸 발동한 후, 제거류 카드들을 견제하며 버티는 전술도 있었다. 예전엔
아르카나 포스 XXI-더 월드 로 턴을 10번 스킵해서 이기는 예능 전술도 있었고, 마스터 듀얼에서는
아스트랄 크리보 를 소재로 전투내성을 적용한
백 더 쿡 을 세워놓고 버티는 예능 전술도 있다.
발동 시 2000 라이프를 지불하는 걸 역이용하여
활로를 향한 희망 과
기프트 카드 를 투입하면 다른 드로우 가속 카드를 빼고 방어 카드를 더 넣을 수 있다.
마종동 과 같이 쓰이기도 했지만,
파동 캐논 이나
은거의 대부 와 같이 쓰는 게 더 빠른 데다, 마종동이 금지 카드가 되면서 사장됐다.
데스티니 히어로 다이아몬드 가이 나
마력 절약술 등을 쓰면 LP를 지불하지 않아도 되지만 실용성은 없다.
이렇게 전투를 틀어막고 뻐기면서 상대를 지치게 만드는 스타일을 안 좋게 본 TCG에서는 2014년 1월부터 제한 카드가 됐다.다만 듀얼 환경이 점점 빨라지기 때문에 언젠가는 그냥 쉬이 풀릴지도 모른다.
무엇보다 이 덱의 가장 큰 약점이 있으니, 바로 다른 특수 승리 카드군과 똑같은 비전투 덱이다. 카운트다운 승리는 가장 안정적인 대신 승리가 가장 늦으며, 덱 특성상 이걸 발동하고 무조건 버티기 모드로 들어가는데 이러면 카운트 다운이 끝나기 전에 상대를 패배시킬 수 없다. 때문에
엑조디아 ,
No.88 기믹 퍼핏-데스티니 레오 등이 먼저 승리 조건을 달성하면 끝.
덱 파괴 등에도 속수무책. 심지어 매치 첫판에서 덱에 마법 / 함정 대비책을 넣지 않았을 경우
위저 보드 한테도 지는 어이없는 일이 일어나기도 한다. 제일 가관은
미러 매치. 종언을 먼저 뽑는 쪽이 승리한다. 대다수
비트 다운 덱에게 압박을 주는 카드임에도 비전투 덱을 상대로는 한없이 약해지는 괴상한 균형을 가진 카드다. 활로를 향한 희망을 투입했다면 특히 효과 데미지에 약한데, 이 카드와 활로를 향한 희망 3장을 전부 사용하면 라이프 포인트가 겨우 3000밖에 남지 않는다. 삐긋하면 당할 수치.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빛의 결사 편 81화에서는
칸다 츠기오 가 퀴즈 문제를 낼 때 이 카드가 언급됐다. 다른 특수 승리가 다 그렇듯이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버티는 과정은 매우 지루하며, 재밌는 액션 씬 등을 못 넣다 보니 등장하지 않았다.
카드 자체는 아니지만
유희왕 5D's 의
플라시도 도
종언으로의 카운트 다운이 시작됐다 는 표현을 쓴 바 있다.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08 에서는 2007년 12월 31일, 2008년 12월 31일의 카드 다운로드로 이 카드가 제공됐다. 그 해의 끝 - 즉 종언으로의 카운트 다운이란 의미겠지만, 마치
새해의 시작=종언 이라고 하는 느낌도 든다. 일단 나이가 든다는 것에서 틀린 말은 아니다.
유희왕 태그 포스 시리즈에서는
사오토메 레이 가 회복 덱에서 사용, 게임을 시작하면 대부분 첫 턴에 발동했다.
유희왕 5D's 리버스 오브 아르카디아 에서는
루드거 가 듀얼 조건으로
이 카드를 사용한 상태에서 듀얼을 시작할 것 을 내건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 에서는 2022년 8월 5일에 특수 승리 컷신이 추가되었다. 다만 타 게임에서 재현된 특유의 불 붙는 연출이 없고, 특수 승리 시에는 카드가 강조되어 나오고 BGM만 변경된 채로 승리하기 때문에 별로 눈에 띄는 연출은 아니다. 그나마 BGM이 웅장한 게 위안일 따름.
# 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colcolor=#000> 2003-02-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305-038 | 闇魔界の脅威 2004-09-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E1-JP253 | EXPERT EDITION Volume 1 2003-12-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CR-091 | DARK CRISIS 2005-03-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R1-EN253 | DARK REVELATION Volume 1 2006-11-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P01-EN016 | CHAMPION PACK GAME ONE 2007-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CR-EN091 | DARK CRISIS (Reprint) 2005-05-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CR-KR091 | 암흑의 위협 2006-05-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HGP1-KR253 | 하이 그레이드 팩 Vol.1 2008-12-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SP3-KR031 | 익스팬션 팩 Vol.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