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00:28:13

중앙대학교/학부/예술공학대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중앙대학교/학부
파일:중앙대학교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캠퍼스
서울캠퍼스 다빈치캠퍼스
학교 정보
역사
상징 학부 대학원
재단 교통 축제 홍보 대사
학사 제도 동아리 총학생회 학내 언론
기숙사 출신 인물 사건 사고
운동부
농구부 축구부 야구부 블루 드래곤스
부속 병원
파일:중앙대학교병원 심볼.svg 중앙대학교의료원 중앙대학교병원
중앙대학교광명병원
부속 학교
부속유치원 부속중학교
}}}}}}}}} ||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의 단과대학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사범대학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대학 공과대학 창의ICT공과대학 소프트웨어대학
경영경제대학 의과대학 약학대학 적십자간호대학
예술대학 예술공학대학 체육대학 교양대학
가상융합대학 혁신융합공과대학


1. 개요2. 학부3. 연혁4. 졸업

1. 개요

중앙대학교 예술공학대학
College of Art & Technology
파일:ansung810_1.jpg
예술과 공학의 만남, 의혈예공
예술공학부
특성화

2. 학부

2.1. 예술공학부


[단과대 자체가 특성화학과인 대학, 예술과 공학의 만남! 중앙대학교 예술공학부]

중앙대학교 예술공학대학은 2014년 설립된 창의ICT공과대학 디지털이미징전공이 대학 규모로 확장된 단과대학이다. 공학과 예술의 융합을 목표로 하며 주로 공과대학 졸업자가 취업할만한 곳으로 취업할 수 있다.[1]

학위도 공학사를 수여한다. 본 단과대학은 중앙대 공학계열 규모의 성장을 위해 신설된 학과로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스마트월드, 영화 아바타 등의 3D 콘텐츠/방송, 컴퓨터그래픽스로 구현되는 디지털엔터테인먼트/게임/가상현실, 구글과 유튜브 등의 인터넷 서비스, 그리고 지능형 로봇/서비스등 컴퓨터와 예술의 융합 분야를 다루는 커리큘럼을 가지고있다.

예술공학대학은 IT SW 및 HW, IT서비스, IT미디어의 융합을 요구하는 21세기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서, 이들 핵심기술 개발에 필요한 교과 과정을 운영 하여 세계수준의 창의적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2019년에 학생들을 모집하기 시작하였고, 2021년부터 학부 이름을 컴퓨터예술학부에서 예술공학부로 이름을 바꾸었다.

중앙대학교의 특성화 학과인 Big Specialty 8과 중 하나이며 특성화 학과 답게 2019년에는 정시 최초 합격자 전원에게 4년 전액 장학금을 수여했다. 이러한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한때는 건국, 동국, 홍익, 인하, 아주와 비슷한 입결을 자랑했었다. 2020년에는 학종 합격생에게 2년 반액 장학금을 수여하였고, 2021년에는 논술 전형을 제외한 합격자 전원에게 2년 전액 장학금을 수여한다.

  • 예술공학대학 전용 시설
파일:예공전용시설.jpg
예술공학대학 전용 시설
  • 원형관 내부
파일:원형관 내부.jpg
원형관 내부
주로 원형관에서 수업이 진행된다. 아이맥이 깔려 있는 CAU SOFT ZONE을 시작으로 크로마키 기반의 촬영 세트장인 "Studio Lab", 디지털 휴먼 제작을 위한 "Human Scanner", 버추얼 프로덕션 촬영이 가능한 "EAC 센터", "Printing Lab" 등 특성화학과답게 내부 시설 투자가 엄청나다.

학기마다 프로젝트형 실습 수업이 개설되어 있어 실제 제작 경험을 쌓을 수 있다. 본인이 의지를 가지고 열심히만 한다면 졸업 시기에는 포트폴리오에 활용할 수 있는 작품이 N개 이상 완성되어 있을 것이다.

신설학과로 졸업생 수가 많지 않음에도 굉장한 아웃풋을 내고 있는 학부이다.
넥슨, 블리자드 등 굴지의 게임 회사를 시작으로 네이버 자회사 스노우, 쿠팡 본사, 포스코, 광고 회사 등에 취업한 사례가 있고, IT 기획, 그래픽, 개발, 마케팅, 광고 등 본인의 관심 분야와 노력에 따라 어디든지 노릴 수 있다.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 학부생들은 주로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또는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으로 진학한다. 해당 학부에 관심이 있다면 예술공학대학 학생들의 졸업작품이나 공식 유튜브 채널의 다큐멘터리를 감상하는 것을 추천한다.

예술공학대학 다큐멘터리

예술공학대학 홈페이지[2]
예술공학대학 학생회 페이스북
파일:중앙대학교1.jpg
CAU SOFT ZONE

3. 연혁

<colbgcolor=#004C97><colcolor=white> 날짜 연혁
2014.03창의ICT공과대학 디지털이미징전공 설립
2018.03창의ICT공과대학 디지털이미징전공 폐과
2019.03예술공학대학 설립(컴퓨터예술학부)
2020.03컴퓨터예술학부를 예술공학부로 명칭변경
2020.05원형관에 예술공학대학 R&D관 개관

4. 졸업

2011학년도 이후 예술공학대학 입학자는 반드시 영어 능력과 한자 능력을 공인 어학 성적을 통해 인증해야 한다. 2014년도 이후 순수 외국인 전형 입학자는 한국어 능력을 추가적으로 인증해야 한다.
  • 한자 능력의 경우, 한국어문회, 대한상공회의소, YBM, 한국평생교육평가원, 대한민국한자교육연구회, 한국외국어평가원, 한자교육진흥회, 한국한자한문능력개발원, 한국정보관리협회 등 9개 단체가 시행하는 한자 공인 시험의 3급 이상을 획득하여 통과할 수 있다.
  • 한국어 능력의 경우, TOPIK 4급 이상을 획득하여 통과할 수 있다. 단,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과 기관 간의 별도 협정 또는 글로벌 트랙 입학자는 대상에서 제외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예술공학대학의 전신인 디지털이미징전공이 공과대학에 있었던것만 봐도 알 수 있다.[2] 학부 커리큘럼 및 공지사항 등은 해당 사이트를 참조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