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13:58:58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초평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4295d1><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진천군 CI_White.svg

파일:음성군 CI_White.svg
진천군·음성군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fff> 충북혁신도시 순환 <colcolor=#fff> 음성 급행
순환1(1000, 1001) 순환2(2000, 2002) 3001, 3002
진천군
광혜원면 덕산읍 문백면
백곡면 이월면 진천읍
초평면 711청주 2001
음성군
감곡면 금왕읍 대소면
맹동면 삼성면 생극면
소이면 원남면 음성읍
}}}}}}}}} ||

1. 개요2. 노선
2.1. 진천 - 초평. 증평2.2. 진천 - 금한. 통동2.3. 진천 - 오갑. 덕산

1. 개요

진천터미널을 출발해서 초평면 일대로 향하는 노선에 대해 서술한다.

2. 노선

오갑 노선을 제외하면 모든 노선이 초평면사무소 앞을 거쳐간다.

2.1. 진천 - 초평. 증평

파일:200 터미널.jpg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진천 - 증평(은암)
기점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진천터미널) 종점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중동리(증평우체국)
종점행 첫차 06:20 기점행 첫차 07:10
막차 20:20 막차 21:00
운수사명 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 1일 17회
노선 진천종합터미널 - (진천신협 → 진천시장 → 진천농협 → 진천경찰서/진천신협 ← 진천경찰서 ← 진천농협 ← 진천시장 ← 진천신협) - 읍내4리 - 괸돌 - 상덕 - 하덕 - 중리 - 석탄 - 부창 - 초평 - 생곡 - 지전 - 용정리 - 사산 - 보현사 - 붕어마을 - 오경 - 화산 - 연담 - 양화저리 - 은암리 - 은암산업단지 - 금성 - 보타사 - 탑선리 - 37사단 - 연탄리 - 증평우체국 - (형석중고교)
녹색 구간 진입 시 요금 부과

파일:진천 버스 진천-증평(사곡).jpg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진천 - 증평(사곡. 반탄. 수의)
기점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진천터미널) 종점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중동리(증평우체국)
종점행 첫차 06:20 기점행 첫차 09:20
막차 18:50 막차 18:10
운수사명 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 1일 3회
노선 진천종합터미널 - (진천신협 → 진천시장 → 진천농협 → 진천경찰서/진천신협 ← 진천경찰서 ← 진천농협 ← 진천시장 ← 진천신협) - 읍내4리 - 괸돌 - 상덕 - 하덕 - 중리 - 석탄 - 부창 - 초평 - 생곡 - 지전 - 용정리 - 사산 - 보현사 - 붕어마을 - 오경 - 화산 - 연담 - 양화저리 - 가죽마을 - 연화 - (반탄 - 도룡 - 반탄) - 진암리(사곡) - 진동 - 상촌 - 구정초 - 용대 - 구암 - 수의 - (수의회관) - 쇠마루(연탄리) - 증평우체국
녹색 구간 진입 시 요금 부과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증평 - 음성(진천)
기점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중동리(증평우체국) 종점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음성공용버스터미널)
종점행 첫차 08:00 기점행 첫차 07:40
막차 17:30 막차 17:20
운수사명 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 1일 2회
노선 (진천 -) 증평우체국.증평군청 - 대성베르힐.주공아파트 - 형석중.고교 - 화성5.6.7리 - 도안삼거리 - 도안역 - 도안초교 - 송정.석곡 - 문암리 - 보천리 - 마송3리 - 상당리 - 하당리 - 포란재아파트 - 음성보건소 - 음성공용버스터미널

진천과 바로 인접한 지자체인 증평군을 잇는 노선이다. 사곡경유와 은암경유 모두 초평을 지나가며 양화저리까지는 두 노선이 겹친다. 증평에서 돌아나올 때는 두 노선 모두 증평군의회 → 증평우체국 → 상하수도사업소 → 증평군의회 순으로 회차한다.

은암 경유는 1일 1회 학기 중 평일에만 형석중고교까지 연장운행한다.

시간대에 따라 노선이 바뀐다. 즉, 은암리를 경유해서 증평으로 간 차량이 진천으로 올 때는 사곡을 경유하기도 하며 증평에서 음성까지 가기도 한다.

진천에서 07:20, 16:50에 출발해 은암을 경유해서 증평으로 간 차량은 다시 진천으로 돌아가지 않고 증평에서 08:00, 17:30에 출발하여 음성 공용버스터미널까지 운행한다. 진천 - 증평 - 음성으로 가는 운행 계통이다.[205번]

반대로 음성에서 07:40, 17:20에 출발해 증평으로 온 차량은 다시 음성으로 가지 않고 증평에서 08:10, 17:50에 출발해 각각 은암과 수의,사곡,반탄,도룡을 경유하여 진천으로 향한다.[660번] 증평 - 음성간 노선은 문서 참조.

진천↔증평 이동시 시계외 지역 소재 정류장에서 타거나 내리는 경우 1,500원(카드 1,400원) 수취한다.

진천,음성 농어촌버스가 요금 무료화 이후에도 교통카드 단말기를 존치하는 이유가 시계외 월경하여 청주시, 증평군 이동시 요금 수수를 하기 위한 목적이다.
진천 → 증평 시간표
횟수 진천 경유지 번호
1 06:20 초평,도룡,사곡 202
2 06:40 초평,사단,증평,형석중고 201
3 07:20 초평,사단,증평(08:00),음성행 205
4 07:50 초평,사단 200
5 08:40 초평,사단 207
6 09:20 초평,사곡,수의 203
7 10:00 초평,사단 200
8 10:50 초평,사단 200
9 11:40 초평,사단 200
10 12:30 초평,사단 208
11 13:20 초평,사단 200
12 14:00 초평,사단 200
13 14:50 초평,사단 200
14 15:40 초평,사단 200
15 16:10 초평,사곡 204
16 16:50 초평,사단,증평(17:30),음성행 205
17 17:40 초평,사단 206
18 18:10 초평,사단 200
19 18:50 초평,도룡,사곡 202
20 19:30 초평,사단 200
21 20:20 초평,사단 200
증평 → 진천 시간표
횟수 증평 경유지 번호
1 07:10 사단 202
2 07:40 사단 201
3 08:10 음성발(07:40),사단 660
4 08:30 사단 200
5 09:20 사곡,반탄 207
6 10:10 사단 203
7 10:40 사단 200
8 11:30 사단 200
9 12:20 사단 200
10 13:10 수의,사곡,반탄 208
11 14:00 사단 200
12 14:40 사단 200
13 15:30 사단 200
14 16:20 사단 200
15 17:00 사곡,반탄 204
16 17:50 음성발(17:20),사단 660
17 18:20 수의,사곡,반탄,도룡 206
18 18:50 사단 200
19 18:50 사단 202
20 20:10 사단 200
21 21:00 사단 200

2.2. 진천 - 금한. 통동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진천 - 금한
기점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진천터미널) 종점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금한)
종점행 첫차 06:30 기점행 첫차 07:00
막차 19:30 막차 20:00
운수사명 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 1일 3회
노선 진천종합터미널 - (진천신협 → 진천시장 → 진천농협 → 진천경찰서/진천신협 ← 진천경찰서 ← 진천농협 ← 진천시장 ← 진천신협) - 읍내4리 - 괸돌 - 상덕 - 하덕 - 중리 - 석탄 - 부창 - 초평 - 생곡 - 금곡리 - 수문 - 어은 - 죽현 - 하영 - 금한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진천 - 금한. 상통. 통동
기점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진천터미널) 종점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통동)
종점행 첫차 08:20 기점행 첫차 08:50
막차 15:40 막차 16:10
운수사명 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 1일 4회
노선 진천종합터미널 - (진천신협 → 진천시장 → 진천농협 → 진천경찰서/진천신협 ← 진천경찰서 ← 진천농협 ← 진천시장 ← 진천신협) - 읍내4리 - 괸돌 - 상덕 - 하덕 - 중리 - 석탄 - 부창 - 초평 - 생곡 - 금곡리 - 수문 - 어은 - 죽현 - 하영 - (금한) - 상영 - 삼선 - 신통리 - 상통 - 중리 - 꽃동네학교 - 통동

진천 - 증평 노선과 동일하게 삼덕리와 초평면사무소까지 운행한다. 이후 면사무소 앞 삼거리에서 직진, 영구리 쪽으로 올라간다. 금한 차량은 금한에서 회차하며 상통 차량은 진천군과 음성군의 경계인 상통에서 회차한다. 통동까지 가는 차량은 경계를 넘어 음성 땅까지 향한다.

통동에는 이 노선 이외에도 혁신 - 통동간 차량도 들어온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진천 - 금한. 통동 시간표
횟수 진천 금한 통동 금한 번호
1 06:30 금한 07:00 170
2 08:20 상통 08:50 09:00 171
3 11:10 11:40 11:50 172
4 13:50 14:20 14:30 173
5 15:40 16:10 16:20 172
6 17:50 금한 18:20 170
7 19:30 금한 20:00 170

2.3. 진천 - 오갑. 덕산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진천 - 덕산(오갑)
기점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진천터미널) 종점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용몽리(덕산)
종점행 첫차 07:40 기점행 첫차 07:05
막차 19:50[3] 막차 20:10
운수사명 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 덕산행 1일 7회, 진천행 1일 9회
노선 진천종합터미널 - (진천신협 → 진천시장 → 진천농협 → 진천경찰서/진천신협 ← 진천경찰서 ← 진천농협 ← 진천시장 ← 진천신협) - 읍내4리 - 괸돌 - 상덕 - 하덕 - 중리 - 석탄 - 원대 - 오갑 - 마두 - 상구 - 하구 - 옥동 - 몽촌 - 한천초 - 덕산

진천을 출발해서 초평방면 노선처럼 괸돌과 석탄을 지나고 오갑을 경유해서 덕산으로 향한다. 덕산까지 가는 노선은 이 노선 외에도 무극행이나 혁신행 노선도 경유하니 참고.

시간대에 따라서 덕산에서 진천으로 다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다른 행선지까지 운행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 웬만하면 덕산에서 되돌아가지만 통동으로 향하는 시간대가 있다.
진천 - 오갑. 덕산 시간표
횟수 진천→(오갑) 행선지 출발지 덕산→(오갑) 번호
1 혁신 06:40 인곡. 맹동. 덕산 07:05 133
2 07:40 덕산 08:20 150
3 08:20 덕산. 혁신. 통동 통동. 혁신. 덕산 09:30 151
4 10:30 덕산 11:10 150
5 12:30 덕산 13:10 150
6 13:50 덕산 14:30 150
7 15:40 덕산 16:20 150
8 17:10 덕산 17:50 150
9 19:50 진천. 산단. 덕산. 오갑(순환) 20:10 15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1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1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05번] [660번] [3] 순환식으로 운행한다. 진천 - 덕산 - 오갑 - 진천 순. 진천에서 타도 오갑까지갈 수 있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