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15a38>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상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AA61A 21%, #00ac6d 21%, #00ac6d); font-size: 1em" ]] 창원시 | 거제시 | 김해시 | 밀양시 | |||||
사천시 | 양산시 | [[경상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AA61A 21%, #005baa 21%, #005baa); font-size: 1em" ]] 진주시 | 통영시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거창군 | 고성군 | 남해군 | 산청군 | 의령군 |
창녕군 | 하동군 | 함안군 | 함양군 | 합천군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35e19>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의창구 | 시청 성산구 | 진해구 | }}}}}}}}} |
1. 개요
창원시의 행정 및 행정구역에 대해 설명한 문서.2. 행정 구역
2010년 5월 7일 통합시 행정구 명칭이 결정되었다. 명칭과 구청 위치는 아래와 같다.
2010년 6월 지방선거에 출마한 시장 후보들 전부 "통합 창원시는 구 3개[4]면 충분하다, 구를 만들지 말고 대동제[5]를 실시하자"는 등의 발언을 했으나, 박완수 첫 통합 창원시장이 이미 통합 과정이 상당히 진행되었기 때문에 이대로 유지한다고 하였다. 이로써 전국 기초자치시 중에서 일반구가 5개로 가장 많은 지역이 되었다.
창원시의 읍 지역은 2곳[6], 면 지역은 6곳[7]이며 법정동은 176개.[8] 이는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 중 최다 법정동이다. 2위는 서울특별시 종로구로 87개 법정동이 있다.
3. 상징의 통합
(임시로고)
통합되면서 상징물도 통합되게 되었는데, 로고를 포함한 상징물이 정해질 때까지 쓰이던 임시 시기(市旗)의 로고는 마창진 3개 도시 지도 위에 각 시 로고가 그려져 있는 형태였다.
참고로 옛 창원시의 로고인 우물 정(井)자 모양은 창원시청 앞 광장 로터리를 형상화한 것이고, 옛 진해시의 로고인 벚꽃은 전통적인 해양도시였던 진해시의 벚꽃축제인 군항제와 해군사관학교를 상징하는 것이고, 옛 마산시의 로고는 무역, 수출 중심의 도시인 만큼 항구에 많은 갈매기를 상징한다. 그런데 마산시의 경우 Dream Bay Masan 로고와 슬로건을 2004년에 지정했기 때문에 고작 6년밖에 사용 못할 것을 위해 돈만 버린 꼴이 됐다.(...)
2010년 11월, 시목/시화/시조의 윤곽이 대충 잡혔다. # 정해진 것은 소나무/벚꽃/괭이갈매기
2011년 4월 13일, 새 로고와 마스코트가 정해졌다.
새 로고는 창원의 영문인 'Changwon'의 'C'자를 이용해 3가지 날개를 가진 바람개비를 형상화해 창원이 대한민국에 새로운 희망을 불어넣는 중핵도시가 될 것이라는 미래상을 반영했다.
마스코트인 '피우미'는 '창원의 새로운 희망을 꽃 피우다'는 의미로 시화인 벚꽃을 귀여운 아이의 모습으로 형상화해 시민들이 친근하게 느끼도록 했다.
SNS용 캐릭터로 구구가 추가되었다.
4. 선거구
2022년 지방선거 기준으로 창원시는 5개의 국회의원 선거구, 13개의 도의원 선거구, 17개의 시의원 선거구를 가지고 있다. 특히 시의원 선거구의 경우 가~하를 다 쓰고도 모자라서 거~더까지 매겼다.- 의창구
- 국회의원 선거구 : 창원시 의창구
- 도의원 선거구 : 창원시 제 1~3 선거구
- 시의원 선거구 : 창원시 가~다 선거구
- 성산구
- 국회의원 선거구 : 창원시 성산구
- 도의원 선거구 : 창원시 제 4~6 선거구
- 시의원 선거구 : 창원시 라~바 선거구
- 마산합포구
- 국회의원 선거구 : 창원시 마산합포구
- 도의원 선거구 : 창원시 제 7~8 선거구
- 시의원 선거구 : 창원시 사~차 선거구
- 마산회원구
- 국회의원 선거구 : 창원시 마산회원구
- 도의원 선거구 : 창원시 제 9~11 선거구
- 시의원 선거구 : 창원시 카~파 선거구
- 진해구
- 국회의원 선거구 : 창원시 진해구
- 도의원 선거구 : 창원시 제 12~13 선거구
- 시의원 선거구 : 창원시 하~더 선거구
5. 하위 행정구역
굵은 글씨는 구청 소재지이며, ☆은 경남도청, ★은 창원시청이 있는 지역이다. 의창구와 성산구의 행정동의 숫자가 적은 것이 눈에 띄는데, 이는 창원시가 일반구청 설치 가능 기준인 인구 50만을 달성한 1997년부터 대동제를 시행해 왔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항목 참조5.1. 의창구
5.2. 성산구
5.3. 마산회원구
- 구암1동
- 구암2동
- 봉암동
- 석전동
- 양덕1동
- 양덕2동
- 합성1동
- 합성2동
- 회성동
- 회원1동
- 회원2동
- 내서읍
5.4. 마산합포구
5.5. 진해구
- 경화동
- 덕산동
- 병암동
- 석동
- 여좌동
- 웅동1동
- 웅동2동
- 웅천동
- 이동
- 자은동
- 충무동
- 태백동
- 풍호동
5.6. 특이사항
- '중앙동'이 2곳 있다. 성산구와 진해구에 각가 존재한다. 다만 성산구에 있는 중앙동이 법정동과 동시에 행정동이기도 한데 비해 진해구의 중앙동은 충무동에 통폐합되어 법정동으로서만 존재한다. 예전에는 마산합포구에도 중앙동이 있었으나 2017년 반월동과 합동되어 반월중앙동으로 변경되었다.
- 상남동, 신월동(둘 다 법정동)은 구 창원, 마산 지역 2곳에 모두 존재한다. 심지어 한자도 각각 上南, 新月로 같다.
6. 재분리 및 광역시 승격 떡밥
2013년 4월 창원시의회에서 마산 재분리안이 의결되었다. 청사 결정 문제를 놓고 계속 대립하여 온 창원과 마산 간의 지역감정이 폭발하여 통합시 해체의 위기 상황으로까지 나아간 것이다. 또한 마산합포구 이주영 의원이 국회에 마산시 설치법을 발의하기도 했다. 한편 이는 차기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민들의 표심을 쌓기 위한 보여주기식 정책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다른 국회의원들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사장되어 마산의 재분리 떡밥은 흐지부지되었다. 이후 안상수 시장 취임 이후 NC 다이노스 신축 야구장 부지를 진해에서 마산으로 변경하면서 이번에는 진해 쪽에서 강하게 반발하며 분리 목소리를 내기도 했지만 창원시민들의 실제 의사와는 상관없이 정치인들의 이해 관계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으며 시민들의 공감을 사지 못하고 있다. 애초에 창원시 통합 자체를 시민들의 의사와 무관하게 정치인들의 밀실 야합에 의한 것으로 비판적으로 보는 시각이 많으며 따라서 분리 요구도 진지한 성찰 과정에서 나오는 것이 아닌 지역 이기주의의 소산에 불과하다는 것이다.그리고 창원시 내부 분열이 어느 정도 누그러들면서 창원시는 내부 결속과 시세 확충을 위해 광역시 승격을 추진하기도 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광역시 추가승격의 가능성은 매우 낮았고 그저 경상남도의 반발만 키우는 꼴이 되면서 안상수 시장 퇴임 이후 광역시 승격 움직임은 쏙 들어갔다. 대신 여타 인구 100만이 넘는 기초자치단체들과 합심하여 특례시가 되기는 했다.
[1] 명곡 주민센터는 구청에 있던 농구장 등을 없애버리고(...) 옆에 새건물을 바싹 붙여 지어 해결했다. 2022년 11월부터는 신청사로 이전했으면 주소는 의창구 원이대로 80[2] 성주 주민센터는 성수원 위치로 이전하였다.[3] 마산 야구장 바로 옆이다. 사실 구청이 운동장 부지 안에 있다.(...) 가보면 구청 외에도 관련 시설이 운동장 여기저기 숨어있다.[4] 일단 구창원, 마산, 진해의 조직을 인정하긴 해야 했기 때문에 3개는 있긴 해야 한다.[5] 구를 두지 않고 동의 행정 권한을 키우는 것이다(행정동 밑에 법정동 들이 있다). 이를 실시하는 곳 중에 대표적인 도시가 바로 옛 창원시(…). 실제로도 효율적인 지방자치를 실현한다고 좋은 평이 있다.[6] 의창구 - 동읍, 마산회원구 - 내서읍[7] 의창구 - 북면, 대산면, 마산합포구 -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8] 구 마산시 57개, 구 창원시 54개, 구 진해시 65개.[9] 원래 의창구 소속이었으나 2021년 7월 부로 성산구로 편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