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8 14:19:33

카를스루어 SC

피닉스 카를스루어에서 넘어옴

파일:2. 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2024-25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파일:1. FC 마그데부르크 로고.svg
파일:SC 프로이센 뮌스터 로고.svg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파일:SV 07 엘버스베르크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font-size: 0.8em;"
파일:SSV 울름 1846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font-size: 0.8em"
파일:카를스루어 SC 로고.svg
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svg
파일:1. FC 쾰른 로고.svg
파일:SC 파더보른 07 로고.svg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파일:헤르타 BSC 로고.svg
파일: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파일:3. 리가 워드마크.svg
}}}}}}}}} ||
파일:카를스루어 SC 로고.svg
Karlsruher Sport-Club Mühlburg-Phönix e. V.
<rowcolor=#FFF> 프로 (I) · 아카데미
파일:카를스루어 SC 로고.svg
카를스루어 SC
Karlsruher SC[1]
<colbgcolor=#004C94><colcolor=#FFF> 정식 명칭 Karlsruher Sport-Club Mühlburg-Phönix e. V.
별명 유로파이터[2]
창단 1894년 6월 6일 ([age(1896-06-06)]주년)[3]
소속 리그 2. 분데스리가 (2. Bundesliga)
연고지 바덴뷔르템베르크카를스루에 현 카를스루에 (Karlsruhe)
홈구장 BB방크 빌트파르크 (BBBank Wildpark)
29,699명 수용
라이벌 VfB 슈투트가르트 - 바덴뷔르템베르크 더비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SV 발트호프 만하임, 카를스루어 FV
회장 파일:독일 국기.svg 홀거 지크문트슐체 (Holger Siegmund-Schultze)
부회장 파일:독일 국기.svg 마르틴 뮐러 (Martin Müller)
파일:독일 국기.svg 귄터 필라르스키 (Günter Pilarsky)
단장 공석
감독 파일:독일 국기.svg 크리스티안 아이히너 (Christian Eichner)
수석코치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즐라탄 바이라모비치 (Zlatan Bajramović)
파일:독일 국기.svg 시루스 모테칼레미 (Sirus Motekallemi)
주장 파일:독일 국기.svg 제롬 곤도르프 (Jérôme Gondorf)
역대 한국인 선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빈 (2013~20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경록 (2018~2023)
공식 웹사이트 파일:카를스루어 SC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지난 시즌 성적
(2023-24 시즌)
2. 분데스리가 5위
약칭 KSC[4]
우승 기록
[[2. 분데스리가|{{{#fff 2. 분데스리가
(2부)}}}]]
(3회)
1968-69, 1974-75, 1983-84, 2006-07
[[3. 리가|{{{#fff 3. 리가
(3부)}}}]]
(2회)
2000-01, 2012-13
[[DFB-포칼|{{{#fff DFB-포칼}}}]]
(2회)
1954-55, 1955-56
[[UEFA 인터토토컵|{{{#fff UEFA 인터토토컵}}}]]
(1회)
1996

독일 축구
선수권 대회
[5]
(1회)
1908-09
VsFV 축구
선수권 대회
[6]
(1회)
1908-09
오버리가
쥐트
(1부)
[7]
(3회)
1955-56, 1957-58, 1959-60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 파일:독일 국기.svg 토마스 헤슬러 (Thomas Häßler)
(1994년, From AS 로마, 370만 €)
최고 이적료 방출 파일:독일 국기.svg 필리프 막스 (Philipp Max)
(2015년, To FC 아우크스부르크, 380만 €)
최다 출장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하르포르트 (Michael Harforth) - 392경기 (1977~1980 / 1981~1992)
최다 득점 파일:독일 국기.svg 에마누엘 귄터 (Emanuel Günther) - 143골 (1977~1978 / 1979~1987)

1. 개요2. 역사
2.1. 창단 이래2.2. 요약
3. 최근 시즌
3.1. 2019-20 시즌
3.1.1. 2.분데스리가3.1.2. DFB-포칼3.1.3. 시즌 성적 요약
3.2. 2020-21 시즌
3.2.1. 2.분데스리가3.2.2. DFB-포칼3.2.3. 시즌 성적 요약
3.3. 2021-22 시즌
3.3.1. 2.분데스리가3.3.2. DFB-포칼3.3.3. 시즌 성적 요약
3.4. 2022-23 시즌
3.4.1. 2.분데스리가3.4.2. DFB-포칼3.4.3. 시즌 성적 요약
3.5. 2023-24 시즌
3.5.1. 2.분데스리가3.5.2. DFB-포칼3.5.3. 시즌 성적 요약
3.6. 2024-25 시즌
3.6.1. 2.분데스리가3.6.2. DFB-포칼3.6.3. 시즌 성적 요약
4. 라이벌5. 스쿼드
5.1. 1군
6. 둘러보기
2022-23 시즌 골송

1. 개요

파일:thumb2-karlsruher-fc-glitter-logo-bundesliga-2-blue-white-checkered-background-soccer.jpg

카를스루어 SC바덴뷔르템베르크카를스루에에서 창단된 카를스루어 축구 클럽 피닉스(Karlsruher Fussball Club Phönix)를 모체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현재 2.분데스리가 소속으로 있다. 홈 구장은 BB방크 빌트파르크.

2. 역사

2.1. 창단 이래

카를스루어 SC의 창단은 189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바덴뷔르템베르크카를스루에에서 먼저 창단되었던 체조 클럽 카를스루어 체조 커뮤니티 클럽(Karlsruher Turngemeinde)에서 1898년 6월 6일 축구 전문 부서로 독립하였으며 이후 카를스루어 축구 클럽 피닉스(Karlsruher Fussball Club Phönix. 이하 카를스루어 피닉스)로 팀 명을 바꾸며 활동을 이어나갔다.

카를스루어 피닉스는 곧 강한 전력을 갖추어 당시 독일 제국의 1부 리그였던 독일 남부 리그(Südkreis Liga)에서 경기하였으며 1908/09 시즌에는 FC 빅토리아 1889 베를린에 승리하며 독일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다.[8]

이 독일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의 우승으로 이름을 독일 전역에 알린 카를스루어 피닉스는 1912년 같은 카를스루에에 설립된 KFC 아르마니아(KFC Alemannia)와 합병하여 KFC 피닉스 아르마니아(KFC Phönix Alemannia)로 팀 명을 바꾸었다. 아르마니아라는 명칭은 토이토부르크 전투의 승리를 이끈 게르만의 영웅의 이름에서 따왔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르미니우스 참고.
(Since 1898년)
= 카를스루어 체조 커뮤니티 클럽(Karlsruher Turngemeinde)의 창단.


(1898년 축구 부서의 독립 및 명칭 변경)
= 카를스루어 체조 커뮤니티 클럽 → 카를스루어 축구 클럽 피닉스(Karlsruher Fussball Club Phönix).


(1912년 합병 및 명칭 변경)
= 카를스루어 축구 클럽 피닉스 + KFC 아르마니아(KFC Alemannia) = KFC 피닉스 아르마니아(KFC Phönix Alemannia)
KFC 피닉스 아르마니아는 당시 독일을 지배하였던 나치 독일의 1부 리그인 가우리가에 소속되었으며 전국적인 강호로 이름을 높였다. 1935/36 시즌 2부 리그로 강등당하였으나 곧바로 재승격하였으며 줄곧 최상위 리그에서 경기하였으며 곧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리그는 중단되었다.

한편, 같은 카를스루에 지역에서 18901.FV 스포츠 뮐부르크(1. FV Sport Mühlburg)라는 축구팀이 창단되었으며 1892년에는 빅토리아 뮐부르크(Viktoria Mühlburg)가 창단되었다. 이후 이 두 클럽은 1905년 합병하며 FC 뮐부르크(FC Mühlburg)로 팀 명칭을 바꾸었다. 뮐부르크는 카를스루에시의 행정 구역.
(Since 1890년)
= 1.FV 스포츠 뮐부르크(1. FV Sport Mühlburg)의 창단.


(Since 1892년)
= 빅토리아 뮐부르크(Viktoria Mühlburg)의 창단.


(1905년 합병 및 명칭 변경)
= 1.FV 스포츠 뮐부르크 + 빅토리아 뮐부르크 = FC 뮐부르크(FC Mühlburg)
다른 한편, 1898년 같은 카를스루어 인근에서 FC 게르마니아(FC Germania)라는 축구 팀이 창단되었는데 FC 게르마니아는 1902년 FC 베스트슈타트(FC Weststadt)와 합병하여 VfB 카를스루어(VfB Karlsruher)로 재창단되었다. VfB는 "Verein für Bewegungsspiele"의 약자로 운동 협회 정도의 의미가 있으며 독일의 여러 스포츠 클럽에서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는 팀의 명칭이다. 대표적으로 VfB 슈투트가르트VfB 뤼베크, VfB 올덴부르크 등이 있다.
(Since 1898년)
= FC 게르마니아(FC Germania)의 창단.


(1902년 합병 및 명칭 변경)
= FC 게르마니아 + FC 베스트슈타트 = VfB 카를스루어(VfB Karlsruher)
각자 다른 클럽으로 운영되던 FC 뮐부르크VfB 카를스루어는 1933년 합병하며 VfB 뮐부르크(VfB Mühlburg)로 이름을 다시 바꾸어 클럽을 운영하였다.
(1933년 합병 및 명칭 변경)
= FC 뮐부르크 + VfB 카를스루어 = VfB 뮐부르크(VfB Mühlburg)
VfB 뮐부르크는 2차 세계대전이 종전되는 1944/45 시즌까지 가우리가 소속으로 있었으나 제 2차 세계대전이 독일의 패전으로 끝나면서 리그는 중단되었다. 이후 VfB 뮐부르크는 당시 2부 리그인 2.디비전(2.division)으로 강등당하였으며 2부 리그 소속으로 경기를 하였다.

그러던 1952년, KFC 피닉스 아르마니아VfB 뮐부르크1952년 10월 16일 합병하였으며 새로운 팀의 명칭으로 현재까지 이르고 있는 카를스루어 스포츠 클럽 뮐부르크-피닉스(Karlsruher Sport-Club Mühlburg-Phönix e. V.)로 정하였다. 팀의 정식 명칭에 뮐부르크(Mühlburg)와 피닉스(Phönix)가 들어간 이유가 여기에 있다.
(1952년 합병 및 명칭 변경)
= KFC 피닉스 아르마니아 + VfB 뮐부르크 = 카를스루어 스포츠 클럽 뮐부르크-피닉스(Karlsruher Sport-Club Mühlburg-Phönix e. V.)
합병되며 재창단된 카를스루어 SC는 가우리가의 폐지로 독일의 1부 리그의 역할을 수행하였던 오버리가에서 경기하였으나 결국 재정 상황이 나빠지며 강등되었으며 전국 강자의 위치에서 점차 물러서야했다.

전국적 강호의 위치에서는 내려왔으나 1954/55 DFB-포칼에서 FC 샬케 04에 2:1로 승리하며 포칼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다음 시즌에는 함부르크 SV를 3:1로 물리치고 연속 우승을 차지하였다.

리그에서의 성적도 안정적이여서 오버리가에서 1952년 합병 이전까지 VfB 뮐부르크는 1950/51 시즌 당시 서독의 1부 리그인 오버리가 남부 지구(Oberliga Süd)에서 3위를 기록하였으며 1951/52 시즌에는 9위를 차지하였다. KFC 피닉스 아르마니아는 당시 서독의 2부 리그였던 2.디비전에서 중위권을 성적을 기록하고 있었다.

1952/53 팀의 합병 이후에는 현재의 팀 명칭인 카를스루어 SC로 등록하여 당시 1부 리그였던 오버리가 남부 지구에서 참가하여 중상위권을 성적을 기록하였으며 1963/64 시즌부터 창설이 예정되어 있는 분데스리가에 참가하는 영광을 누리게 되었다.

그러나 전국 단위의 최상위 리그로 창설된 분데스리가에서의 입지는 쉽지 않았다. 결국 5번째 분데스리가 시즌인 1967/68 시즌 최하위를 기록하며 당시 2부 리그로 조정된 레기오날리가 남부지구로 강등되었다.

이후 레기오날리가 소속으로 경기를 하였으며 2.분데스리가의 출범으로 다시 재조정된 독일 2부 리그에서 1974/75 시즌 2.분데스리가 남부 지구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다시 1.분데스리가로 승격하였으나 1975/76 시즌 분데스리가에서 16위를 차지하며 강등되었다.

이후 1980/81 시즌부터 다시 1.분데스리가 소속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다시 1982/83 시즌 리그 17위에 머무르면서 강등되었다.
다시 승격한 1987/88 시즌에는 15위를 차지하며 분데스리가 잔류에 성공하고 이후 10여년간 안정적인 분데스리가 전적을 바탕으로 유럽대항전에 진출하기도 하였다.

1990/91 시즌부터는 올리버 칸이 주전자리를 잡더니 1993/94 시즌에는 UEFA컵에서 PSV 에인트호번, 발렌시아 CF, 지롱댕 드 보르도, 보아비스타 FC 등 강팀을 꺾고 준결승에 진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이 과정에서 8강에서 만난 스페인의 명문 발렌시아 CF에게 메스타야 원정에서는 1:3으로 패했으나 홈에서 올리버 칸의 환상적인 활약에 더불어 에드가 슈미트가 4골을 퍼부으며 7:0이라는 믿기 힘든 스코어로 대승을 거두며 4강에 진출한다.[9](독일에서는 이를 빌트파르크슈타디온의 기적이라 칭한다.) 이때가 카를스루어 구단 역사상 최고의 유럽대항전 성적.

그러나 90년대 카를스루어는 너무 비싼돈으로 선수들을 사오거나 무리한 투자 등의 이유로 클럽의 재정 상태가 많이 위태로워졌다. 결국 팀의 에이스들이었던 메멧 숄, 올리버 칸 등을 FC 바이에른 뮌헨에 팔 수밖에 없었고 에이스들이 사라진 카를스루어는 1997/98시즌 16위를 차지하며 강등 플레이오프로 떨어지며 1.분데스리가와 멀어지게 된다.

2.분데스리가로의 강등 이후에도 시련은 그치지 않아 1999/2000 시즌에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재정난으로 5승 12무 17패의 성적으로 17위를 차지하며 최하위로 다시 3부 리그였던 레기오날리가 남부지구(süd)로 떨어지게된다.

2000/01 시즌에는 레기오날리가 남부지구에서는 슈테판 쿤츠 감독의 지휘아래 우승을 차지하며 다시 2.분데스리가로 복귀하였다.
이후에는 주로 2.분데스리가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2005/06 시즌에는 에드문트 베커르(Edmund Becker)의 지도력으로 21승 7무 6패의 성적으로 2.분데스리가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1997/98 시즌 이후 처음으로 최상위 리그에 재진입하였다.

2007/08 시즌 전반기 한때 2위에 오르는 등 돌풍을 일으켰지만 전력의 한계로 11위로 마쳤고 2008/09 시즌 최종전 끝에 한끝차로 승강플레이오프에 오르지 못하고 17위에 그쳐 강등되게 되었다. 이때 많은 선수들이 팀을 떠났고, 또다시 찾아온 재정위기로 인해 2009/10 시즌에 적은 예산과 적은 인력으로 시작했다. 결국 구단 회장이 사임하게 되고 2011/12 시즌에는 다시 3부 리그인 3. 리가로 강등되게 된다.

2012-13 시즌에는 DFB 포칼 1라운드에서 함부르크 SV를 4대 2로 이기는 이변을 보이더니 3. 리가에서 우승하며 다시 2. 분데스리가로 승격했다.
2013-14 시즌 5위를 거두는 돌풍을 일으켰고, 2014-15 시즌에는 3위를 기록,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에서 만난 상대는 함부르크 SV. 1차전 원정에서 루벤 헤닝스의 골로 1대1 무승부를 거두고 2차전 라인홀트 야보의 골로 종료직전까지 1대0으로 승격을 눈앞에 두었으나 마르셀로 디아즈에게 프리킥골 실점, 니콜라이 뮐러에게 역전골을 허용하며 아쉽게 좌절되었다.

2015-16 시즌에는 시즌 12승 11무 11패로 승점 47점으로 7위로 마감하였다.
2016-17 시즌에는 초반부터 부진한 모습을 보이더니 5승 10무 19패로 3.리가로 다시 강등되고 말았다.

3. 리가에서 맞이한 2017-18 시즌에는 19승 12무 7패의 성적으로 3위를 차지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으나 패하였다. 다시 3.리가에 잔류.
2018-19 시즌에는 초반부터 선두권을 형성하며 20승 11무 7패의 성적으로 2위를 차지하며 다시 2.분데스리가 승격을 확정지었다.

이후 2.분데스리가 소속으로 경기하고 있으며 2024/25 시즌까지 분데스리가 소속으로는 24시즌, 2.분데스리가[10]에서는 34시즌 속해있다.

2.2. 요약

  • 1부/분데스리가: 1963-1968, 1975-1977, 1980-1983, 1984-1985, 1987-1998, 2007-2009 (24시즌)
  • 2부/2.분데스리가: 1968-1975, 1977-1980, 1983-1984, 1985-1987, 1998-2000, 2001-2007, 2009-2012, 2013-2017, 2019-~ (34시즌)

3. 최근 시즌

3.1. 2019-20 시즌

지난 시즌 3.리가에서 20승 11무 7패의 성적을 기록하며 VfL 오스나브뤼크에 이어 2위를 차지한 카를스루어. 이에 따라 2016/17 시즌 이후 3시즌만에 2.분데스리가로 복귀하게 되었다.

카를스루어는 중앙 공격수 마빈 푸리에가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로 임대 이적하였으며 역시 공격 자원 살리우 사네가 FC 뷔르츠부르크 키커스로 이적하였다. 또한 중앙 미드필더 알렉산더 지베크가 베를린 AK 07로 이적하였다.

이러한 전력 공백이 발생하였기에 먼저 전방 공격진 마르코 듀리슨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에서 영입하였으며 중앙 미드필더 제롬 곤도르프를 SC 프라이부르크에서 영입하였다.
또한 서브 골리로 마리우스 게르스베크를 헤르타 BSC에서 영입하였으며 SC 파더보른 07에서는 중앙 공격수 바바카 게예를 영입하였다. 이외 공격형 미드필더 아니스 벤하티라를 헝가리 부다페스트 혼베드 FC에서 영입하였다.

3.리가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승격한 2.분데스리가에서 어떠한 성적을 보일지 기대와 걱정이 공존하는 시즌.

3.1.1. 2.분데스리가

카를스루어 SC 2019-20 2.분데스리가
전반기
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파일:SV 베헨 비스바덴 로고.svg
WIE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SGD
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KSV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HSV
파일:VfL 오스나브뤼크 로고.svg
OSN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SVS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FCN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HDH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SVD
파일:VfL 보훔 로고.svg
BOC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H96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STP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AUE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VFB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REG
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DSC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SGF
구장 A H A H A H A A H A H A H A H A H
2 4 1 2 0 1 1 1 1 3 3 2 1 0 4 2 1
1 2 2 4 3 0 1 1 1 3 3 2 1 3 1 2 5
결과
승점 3 6 6 6 6 9 10 11 12 13 14 15 16 16 19 20 20
순위 5 1 4 8 10 8 9 9 9 10 9 8 10 12 10 11 13
후반기
R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파일:SV 베헨 비스바덴 로고.svg
WIE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SGD
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KSV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HSV
파일:VfL 오스나브뤼크 로고.svg
OSN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SVS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FCN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HDH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SVD
파일:VfL 보훔 로고.svg
BOC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H96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STP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AUE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VFB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REG
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DSC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SGF
구장 H A H A H A H A H H A H A H A H A
0 0 0 0 1 2 0 1 2 0 1 1 0 2 1 3 2
1 1 2 2 1 0 1 3 0 0 1 1 1 1 2 3 1
결과
승점 20 20 20 20 21 24 24 24 27 28 29 30 30 33 33 34 37
순위 15 15 17 17 16 16 16 17 17 16 16 16 16 15 16 16 15

2.분데스리가로 복귀 후 첫 경기로 SV 베헨 비스바덴 원정에 나서 2:1로 승리하였다. 이어진 홈 개막전에서는 SG 디나모 드레스덴에 4:2로 승리하며 2연승을 달렸다.

그러나 홀슈타인 킬-함부르크 SV-VfL 오스나브뤼크에 연패하며 중위권으로 떨어졌다.
6라운드 SV 잔트하우젠에 승리하였으나 이후 7라운드 1.FC 뉘른베르크전 1:1 무승부를 시작으로 연이은 무승부를 기록하고 있다.

10라운드 VfL 보훔 원정에서는 난타전을 기록하며 3:3의 무승부를 거두었고 11라운드에서는 하노버 96과 다시 3:3의 무승부를 거두었다. 2경기에서 12득점을 주고받은 흔지 않은 경험.

2.분데스리가 13라운드는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와의 홈 경기에서 1:1의 무승부를 거두며 7경기 연속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초반 13라운드까지의 성적은 3승 7무 3패로 승점 16점이며 중간 순위는 중위권인 10위.

14라운드 VfB 슈투트가르트전에서는 무승부가 종료되었으나 승리 대신 0:3으로 완패하며 12위까지 떨어졌다. 이어 15라운드 SSV 얀 레겐스부르크와의 경기에서는 4:1로 완승을 거두며 지난 6라운드 이후 9경기만에 승리를 추가하였다.

전반기 후반부였던 16라운드에서는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와 무승부를 기록하였고 SpVgg 그로이터(17R)에는 패하며 전반기를 마쳤다. 전반기의 성적은 4승 8무 5패승점 20점이며 중간 순위는 13위.

후반기에서는 더욱 좋지 않은 분위기.
후반기 첫 경기였던 SV 비스바덴에 패하였으며 디나모 드레스덴 원정에서도 패하면서 어느덧 강등권으로 추락하였다. 이에 따라 알로이스 슈바르츠 감독이 경질되고 후임으로 팀의 수석 코치를 맡아오던 크리스티안 아이히너가 승진하여 새로운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아이히너의 선임 이후 VfL 오스나브뤼크와 무승부를 기록하였으며 SV 잔트하우젠에 승리하며 후반기 첫 승리를 거두었다. 23라운드까지 5승 9무 9패의 성적이며 잔트하우젠전 승리에도 여전히 강등권에 위치해있다.

24라운드 1. FC 뉘른베르크에 패하였고 다시 1.FC 하이덴하임에 1:3으로 완패하며 17위까지 순위가 떨어졌다. 이후 VfL 보훔-하노버 96-FC 장크트파울리에 연이어 무승부를 기록하며 어렵사리 승점을 추가하고 있다.

30라운드에서는 FC 에르츠게비르게에 0:1로 패하며 힘겨운 잔류경쟁을 펼치고 있다. 30라운드까지의 전적은 6승 12무 12패승점 30점이며 중간 순위는 16위.
30라운드까지 승점 33점을 쌓은 1.FC 뉘르베르크(15위) 및 17 ~ 18위로 승점 28점씩을 기록하고 있는 SV 비스바덴SG 디나모 드레스덴과 강등에서 벗어나기 위한 경쟁을 펼치고있다.

31라운드 VfB 슈투트가르트와의 뷔르템베르크 더비에서는 2:1로 승리하며 잔류에 큰 희망이 생겼다.
다음 경기였던 32라운드에서는 SSV 얀 레겐스부르크에 패하며 다시 강등 위기에 빠졌다.

33라운드에서는 이미 리그 우승을 확정지은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를 만나 3:1로 진행되던 후반 막바지 2골을 넣으며 3:3 동점을 만들었다. 동시에 슈투트가르트가 뉘른베르크를 6:0으로 승리하며 뉘른베르크에 승점 2점차로 접근하였다. 카를스루어의 승점은 34점이며 뉘른베르크의 승점은 36점.

리그 마지막 경기에서는 SpVgg 그로이터 퓌르트에 3:1로 승리하며 자력으로 최종 순위 15위를 확정지었다. 최종 전적은 8승 13무 13패승점 37점. 16위인 1. FC 뉘른베르크와 승점이 같지만 골 득실차이에서 앞섰기에 잔류를 확정지었던 시즌.

치열한 잔류 경쟁을 펼친 결과 2.분데스리가 2019/20 시즌의 15위 ~ 18위의 전적은 다음과 같다.
[15위 = 카를스루어 SC] (8승 13무 13패 승점 37점, GF 45 - GA 56, GD -11) = 잔류
[16위 = 1. FC 뉘른베르크] (8승 13무 13패 승점 37점, GF 45 - GA 58, GD -13) = 승강 플레이오프
[17위 = SV 베헨 비스바덴] (9승 7무 18패 승점 34점, GF 45 - GA 65, GD -20) = 3. 리가 강등
[18위 = SG 디나모 드레스덴] (8승 8무 18패 승점 32점, GF 32 - GA 58, GD -26) = 3. 리가 강등

3.1.2. DFB-포칼

2.분데스리가로 승격함에 따라 자동 진출한 DFB-포칼 1라운드에서는 어려운 상대인 하노버 96을 만났으나 2:0으로 승리하고 2라운드에 진출하였다.

2라운드 상대는 같은 2.분데스리가 소속의 SV 다름슈타트 98.
양팀 무득점의 행진이 진행되던 후반 39분 호프만의 결승골로 1:0으로 승리하고 3라운드(16강)에 진출하였다.

포칼 16강(3라운드)에서는 레기오날리가 소속의 1. FC 자르브뤼켄을 만나게되었다. 새롭게 선임된 아이히너 감독의 데뷔전.
전후반 90분 동안 득점이 나오지 않으면서 연장전에 돌입하였으나 역시 득점이 나오지 않으면서 돌입한 승부차기에서 3:5로 패하며 허무하게 이번 시즌 포칼 일정을 마무리하였다.

3.1.3. 시즌 성적 요약

파일:2. 분데스리가 로고.svg
2. 분데스리가
15위
34전 8승 13무 13패
(45득점 56실점, GD -11)
파일:DFB-포칼 로고.svg
DFB-포칼
3라운드 탈락
3전 2승 1무[11]
(3득점 0실점, GD +3)
합산 성적[PS/N] 승률 27.03%
37전 10승 14무 13패
(48득점 56실점, GD -8)

3.2. 2020-21 시즌

지난 시즌 다시 돌아온 2.분데스리가에서 승점 37점을 기록하며 잔류에 성공한 카를스루어 SC.
카를스루어는 지난 시즌 중반부터 팀의 어려운 시절에 가능성을 인정 받은 크리스티안 아이히너 체제에서 다시 시즌을 맞이하기로 하였으며 아이히너 감독은 처음부터 팀을 맡아 지휘력을 시험받게 되었다.

카를스루어는 지난 시즌까지 골문을 지키던 베냐민 우포프SC 프라이부르크로 자유이적하였기에 대체 자원으로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SV 마테르스부르크에서 뛰던 마르쿠스 쿠스터를 자유 계약으로 영입하였다. 쿠스터는 기존의 골리인 마리우스 게르스베크와 주전을 다툴 것으로 보인다.

한편, 스토크 시티에서는 센터백 케빈 비머를 임대 영입하였으며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에서는 센터백 로빈 보르무트를 자유계약으로 영입하며 FC 한자 로스트크로 자유 이적한 다미안 로스바흐의 이적에 대비하였다. 또한 함부르크SV 에서는 자비에 아메치를 임대 영입하며 공격력을 강화하였다.

지난 시즌의 아쉬운 성적을 뒤로 하고 2.분데스리가에서 다시 가능성을 인정 받을지 궁금한 시즌의 성적.

3.2.1. 2.분데스리가

카를스루어 SC 2020-21 2.분데스리가
전반기
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H96
파일:VfL 보훔 로고.svg
BOC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REG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SVS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FCN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SVD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STP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
EBS
파일:SC 파더보른 07 로고.svg
SCP
파일:VfL 오스나브뤼크 로고.svg
0SN
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
F95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AUE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HSV
파일:FC 뷔르츠부르크 키커스 로고.svg
FWK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SGF
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KSV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HDH
구장 A H A H A H A A H A H A H A H A H
0 0 0 3 1 3 3 3 1 2 1 1 1 4 3 3 1
2 1 1 0 1 4 0 1 0 1 2 4 2 2 2 2 1
결과
승점 0 0 0 3 4 4 7 10 13 16 16 16 16 19 22 25 26
순위 16 17 18 17 15 17 15 9 8 5 9 10 14 10 8 6 7
후반기
R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H96
파일:VfL 보훔 로고.svg
BOC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REG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SVS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FCN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SVD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STP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
EBS
파일:SC 파더보른 07 로고.svg
SCP
파일:VfL 오스나브뤼크 로고.svg
0SN
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
F95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AUE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HSV
파일:FC 뷔르츠부르크 키커스 로고.svg
FWK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SGF
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KSV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HDH
구장 H A H A H A H H A H A H A H A H A
1 2 0 3 0 1 0 0 2 0 2 0 1 2 2 3 2
0 1 0 2 1 0 0 0 2 1 3 0 1 2 2 2 1
결과
승점 29 32 33 36 36 39 40 41 42 42 42 43 44 45 46 49 52
순위 6 5 5 5 5 5 5 6 5 6 7 8 7 8 9 7 6

리그 첫 경기인 하노버 96과의 원정에서 0:2로 완패하며 시즌을 시작하였다.
이어진 홈 개막전에서는 VfL 보훔에 패하더니 SSV 얀 레겐스부르크와의 원정 3라운드에서는 전반 42분 REG의 알버스에게 실점하며 끝내 0:1의 패배를 기록하며 개막 후 3연패를 이어가게 되었다.

이어 SV 잔트하우젠과의 4라운드에서는 시즌 첫 승을 거두었으며 5라운드에서는 1. FC 뉘른베르크와의 원정 경기에서는 전반 13분 FCN의 로켐퍼에게 실점하였으나 후반 7분 바니체크가 동점골을 성공시키며 1:1의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초반 5경기에서 1승 1무 3패의 전적.

6라운드 SV 다름슈타트 98에 3:4로 패하였으나 FC 장크트파울리-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SC 파더보른 07(9R)-VfL 오스나브뤼크로 이어지는 4연전을 모두 승리하며 중상위권으로 도약하였다. 10라운드까지 5승 1무 4패로 중간 순위 5위.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와의 8라운드에서는 상대 자책골과 바니체크의 추가골로 전반을 2:1로 앞섰으며 후반 17분 최경록의 추가 득점으로 3:1로 완승을 거두었다.

4연승 이후 포르투나 뒤셀도르프-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함부르크 SV로 이어지는 3연전을 패하며 오락가락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동시에 중간 순위 역시 급하락하여 14위까지 떨어졌다. 13라운드까지의 전적은 5승 1무 7패로 승점 16점.

이후 이번 시즌 2.분데스리가로 승격한 FC 뷔르츠부르크 키커스와의 14라운드에서는 4:2로 승리하며 분위기 반전에 성공하였고 SpVgg 그로이터 퓌르트홀슈타인 킬을 잡아내며 중상위권으로 도약하였다. 전반기 마지막 경기였던 1.FC 하이덴하임과는 1:1의 무승부를 기록.

결국 전반기 초반의 3연패를 극복하며 연승과 연패를 오가는 경기력 끝에 8승 2무 7패로 마감하였다. 승점은 26점이며 중간 순위는 6위.

후반기에도 중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리그 선두권을 달리고 있던 VfL 보훔과의 19라운드에서는 1:1로 맞선 후반 38분 곤도로프의 결승골로 2:1로 승리하며 귀중한 승점 3점을 획득하였다.

이어진 21라운드 SV 잔트하우젠에 승리하였으며 22라운드 1.FC 뉘르베르크와의 패배를 제외하면 패하지 않는 경기력을 선보이고 있다. 승리 대신 무승부가 많은 것이 상위권으로 도약하지 못하는 이유.
24라운드 SV 다름슈타트 98 원정에서는 1:0으로 승리하였으나 FC 장크트파울리-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SC 파더보른 07로 이어진 3연전은 모두 무승부로 종료.

27라운드에서는 VfL 오스나브뤼크와의 홈 경기에서 패하면서 중간 순위 6위로 떨어졌고 포르투나 뒤셀도르프 원정에서 다시 패하면서 이번 시즌 승강 플레이오프 진입이 힘들어졌다. 이어 FC 에르츠게비르게함부르크 SV전에서 연이어 무승부를 기록하며 결국 승강 플레이오프 진입이 좌절되었다.
30라운드까지의 전적은 12승 8무 10패승점 44점.

31라운드에서는 강등권인 FC 뷔르츠부르크 키커스에 무승부를 기록하며 3연속 무승부 경기로 마쳤으며 SpVgg 그로이터 퓌르트와의 32라운드에서는 2:1로 앞선 후반 24분 SGF의 흐르고타에게 페널티 킥 골을 내어주며 2:2로 경기를 마쳤다. 4경기 연속 무승부.

마지막 홈 경기였던 33라운드에서는 홀슈타인 킬에 승리하며 23라운드 이후 10경기만에 승리하였고 1. FC 하이덴하임과의 34라운드에서는 2:1로 승리하며 시즌을 마감하였다.

지난 시즌보다 한층 안정적 전력을 보였으나 중반 이후 무승부가 많아진 탓에 상위권으로 도약하지 못하였으며 중상위권으로 시즌을 마감하게되었다.
시즌 최종 성적은 14승 10무 10패. 승점 52점이며 최종 순위는 6위.

다음은 2020/21 시즌 2.분데스리가 5위~8위팀의 성적과 명단.
[5위 = 포르투나 뒤셀도르프] (16승 8무 10패 승점 56점, GF 55 - GA 46, GD +9)
[6위 = 카를스루어 SC] (14승 10무 10패 승점 52점, GF 51 - GA 44, GD +7)
[7위 = SV 다름슈타트 98] (15승 6무 13패 승점 51점, GF 63 - GA 55, GD +8)
[8위 = 1. FC 하이덴하임] (15승 6무 13패 승점 51점, GF 49 - GA 49, GD 0)

3.2.2. DFB-포칼

포칼 1라운드에서는 분데스리가로 소속을 옮긴 1. FC 우니온 베를린과 경기를 가졌다.
전후반 무득점의 행진이 진행되며 연장전에 돌입하였고 연장 후반 11분 니코 슐로터베크에게 실점하며 허무하게 1라운드에서 탈락하였다.

3.2.3. 시즌 성적 요약

파일:2. 분데스리가 로고.svg
2. 분데스리가
6위
34전 14승 10무 10패
(51득점 44실점, GD +7)
파일:DFB-포칼 로고.svg
DFB-포칼
1라운드 탈락
1전 1패
(0득점 1실점, GD -1)
합산 성적[PS/N] 승률 40%
35전 14승 10무 11패
(51득점 45실점, GD +6)

3.3. 2021-22 시즌

지난 시즌 2.분데스리가에서 안정적인 중상위권을 형성하였으나 결국 6위에 그치며 분데스리가 승격이 좌절된 카를스루어 SC.

카를스루어는 수비형 미드필더 루카스 프로데를 FC 한자 로스토크로 임대를 보내었으며 센터백과 수비형 미드필더 알렉산더 그로이스1. FC 자르브뤼켄으로 자유 이적하였다. 이외 센터백 루카스 디르크 칼르손(더크 칼센)이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로 이적하였으며 백업 공격수 바바카르 게유역시 FC 에르츠게비르게로 이적하였다.

반대로 지난 시즌 임대로 카를스루어 SC에 합류하여 주전 레프트백으로 활약한 필리프 하이제를 잉글랜드 노리치 시티 FC에서 완전 영입하였으며 공격 자원 파비안 슐로이제너와 라이트윙어 파비오 카우프만을 각각 자유계약으로 1. FC 뉘른베르크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에서 영입하였다. 또한 센터백 유망주 펠릭스 오모루이 이로레레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서 영입하였다.
한편, HJK 헬싱키소속의 핀란드의 주전 센터백 대니얼 오쇼네시는 다음해 1월부터 팀에 합류하게 된다.

지난 시즌 한층 안정된 전력으로 6위를 차지했던 만큼 분데스리가 승격 또는 승강 플레이오프 진입이 기대되는 시즌.

3.3.1. 2.분데스리가

카를스루어 SC 2021-22 2.분데스리가
전반기
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파일:FC 한자 로스토크 로고.svg
FCH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SVD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SVS
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svg
SVW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FCN
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KSV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S04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STP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REG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AUE
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
F95
파일:SC 파더보른 07 로고.svg
SCP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HSV
파일:FC 잉골슈타트 04 로고.svg
FCI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H96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SGD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HDH
구장 A H A H A H A H A H A H H A H A H
3 3 0 0 1 2 2 1 2 2 1 2 1 1 4 1 3
1 0 0 0 2 2 1 3 2 1 3 4 1 1 0 3 2
결과
승점 3 6 7 8 8 9 12 12 13 16 16 16 17 18 21 21 24
순위 4 1 2 4 6 8 5 9 10 7 8 9 10 10 9 10 10
후반기
R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파일:FC 한자 로스토크 로고.svg
FCH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SVD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SVS
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svg
SVW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FCN
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KSV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S04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STP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REG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AUE
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
F95
파일:SC 파더보른 07 로고.svg
SCP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HSV
파일:FC 잉골슈타트 04 로고.svg
FCI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H96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SGD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HDH
구장 H A H A H A H A H A H A A H A H A
2 2 0 1 4 2 1 1 1 3 2 2 0 2 0 2 0
2 2 2 2 1 0 1 3 1 0 2 2 3 2 2 2 2
결과
승점 25 26 26 26 29 32 33 33 34 37 38 39 39 40 40 41 41
순위 10 10 10 11 11 9 9 9 9 9 9 9 10 9 12 11 12

1라운드 한자 로스토크 원정에서 3-1로 승리하며 기분좋게 시작했으며 2라운드 SV 다름슈타트 98과의 홈경기에서 3-0 완승을 거두며 2라운드 기준 선두에 올랐다. 최경록은 다름슈타트전에서 팀의 2번째 득점을 올렸다.

3라운드 SV 잔트하우젠과의 원정 경기에서는 무득점 무승부를 기록하였고 지난 시즌 분데스리가에서 강등된 SV 베르더 브레멘과 오랜만에 경기를 가져 0:0의 무승부를 기록하여 초반 2승 2무의 전적을 보이고 있다.

5라운드 1. FC 뉘른베르크와의 원정 경기에서는 1:2로 패하며 시즌 첫 패배를 안았고 이어 홀슈타인 킬과는 2:2의 무승부를 거두며 중상워권의 성적을 보이고 있다.

펠틴스 아레나에서 펼쳐진 7라운드 FC 샬케 04 원정에서는 최경록이 전반 초반 선제골을 기록하였고 전반 14분 S04의 데로테에게 실점하였으나 후반 42분 바니체크의 극적인 결승골에 힘입어 2:1로 승리하고 시즌 3승째를 거두었다. 8라운드에서는 FC 장크트파울리를 홈으로 불러들였으나 1:3으로 완패하였다. 초반 8경기의 성적은 3승 3무 2패.

이어 9라운드 SSV 얀 레겐스부르크와 무승부를 거두었고 10라운드에서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에 승리를 거두며 10라운드까지 4승 4무 2패의 전적으로 중간 순위 7위를 달리고 있다.

그러나 포르투나 뒤셀도르프SC 파더보른 07(12R)에 연달아 패하더니 함부르크 SVFC 잉골슈타트 04(14R)와의 경기에서는 무승부를 기록하며 순위가 하락하고 있다. 15라운드 하노버 96과의 경기에서는 4:0의 완승을 거두며 오랜만에 승점 3점을 따냈다.

전반기 후반부였던 16라운드 SG 디나모 드레스덴과의 원정 경기에서는 1:3으로 패하였으나 1. FC 하이덴하임을 홈에서 잡아내며 전반기를 마쳤다. 전반기 최종 성적은 6승 6무 5패, 승점 25점이며 중간 순위는 10위.

지난해의 부족했던 뒷힘 문제가 반복되며 승격 경쟁에서는 힘들어보이지만 2.분데스리가에서는 무난한 잔류가 예상되는 중간 성적.
한편, 겨울 휴식기가 끝난 후 여름에 미리 계약해 둔 핀란드 국가대표 센터백 대니얼 오쇼네시가 팀으로 합류 할 예정.

후반기 첫 경기였던 FC 한자 토스토크와의 홈 경기에서는 2:2의 무승부를 기록하였고 19라운드에서는 리그 2위를 달리고 있는 SV 다름슈타트를 상대하였다. 최경록, 로빈 보르무트, 팀 브라이트하우프트 등 결장자도 많은 상황이라 쉽지 않아보였지만 루카스 쿠에토의 맹활약으로 2:2 무승부를 거둔다. 한편 대니얼 오쇼네시는 선발로 출전해 팀 데뷔전을 치렀다.

한편 겨울 이적시장의 마지막 날에는 전 시즌 좋은 활약을 펼친 윙어 베냐민 골러를 임대해 왔으며 반대로 유망주 윙어 도미니크 코터SV 발트호프 만하임으로 임대 보냈다.

20라운드 SV 잔트하우젠과의 경기가 연기된 가운데 먼저 경기한 21라운드 SV 베르더 브레멘전에서는 최근 팀의 공격을 이끌던 루카스 쿠에토가 이탈한 가운데 1:2로 패하였다. 필리프 호프만이 동점골을 성공시켰으나 다시 실점하며 패배.

연기된 SV 잔트하우젠과의 20라운드 홈 경기에도 제롬 곤도르프의 자책골 등이 겹치며 0:2로 패하여 연패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22라운드 1. FC 뉘른베르크전 에서는 필리프 호프만의 2G-1A의 활약으로 뉘른베르크를 4:1로 완파하며 후반기 첫 승을 올렸다.
이어진 홀슈타인 킬(23R) 원정 경기에서도 대니얼 오쇼네시의 원더골에 힘입어 2:0 승리하며 2연패 후 2연승을 달렸다.

24라운드 FC 샬케 04를 상대로는 1:1의 무승부를 기록하였으며 FC 장크트파울리에게는 1:3으로 완패하며 여전히 중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이후 얀 레겐스부르크와 무승부를 거두었고 포르투나와 파더보른과도 무승부를 기록하며 승점을 쌓는 속도가 현저히 느려졌다. 다만 리그 8위 ~ 13위까지 혼돈의 상태이므로 10위권을 유지하는 모습.

필리프 하이제, 마리우스 게르스베크, 최경록 등 주축이 다수 이탈한 채 떠난 함부르크 SV와의 30라운드 원정경기에서는 전반 30분 발생한 다니엘 고든의 퇴장 등 악재가 겹치며 0:3으로 완패하고 말았다.
이에 더해 리그 최하위 FC 잉골슈타트 04(31R)를 상대로도 승리하지 못했다. 고든의 퇴장 징계로 출전한 대니얼 오쇼네시는 부상으로 36분만에 필드를 떠났으며, 펠릭스 오모루이 이로레레가 시즌 첫 출전 기회를 받았다. 0:2로 끌려가던 KSC는 마르빈 바니체크의 멀티 도움에 힘입어 힘겹게 2:2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경고 누적으로 결장한 에이스 호프만에 대한 영향력 때문인지 하노버 96와의 32라운드 원정 경기에서는 0:2의 패배를 기록하였다.
호프만이 빠지자 무게감이 확 떨어진 공격진이 패인. 한편 해당 경기 직후 필리프 호프만이 여름 이적시장을 통해 VfL 보훔으로 이적이 확정되었다.

33라운드 SG 디나모 드레스덴을 상대로 한 이번 시즌 마지막 홈 경기에서는 필리프 호프만이 홈팬들과 작별의 시간을 가졌으며 후반 27분 직접 역전골까지 기록하였다. 다만 경기는 드레스덴의 마이클 아코토에게 극장골을 내주며 2:2의 무승부로 만족해야했다.

마지막 라운드이자 에이스 필리프 호프만의 고별전, 상대는 1. FC 하이덴하임이었다. 스쿼드에 이탈자가 많았기에 힘든 경기가 이어졌고, 결국 전반 2골을 얻어맞으며 0대2 패배로 시즌을 마감했다.

시즌 최종 성적은 9승 14무 11패, 54득점 55실점으로 GD -1, 승점 41점을 획득했다. 최종 순위 역시 지난 시즌 보다 하락한 12위.
하지만 이번 시즌도 안정적인 잔류권에 들었기에 크리스티안 아이히너 감독의 카에스체가 이제 2. 분데스리가의 안정적인 팀의 궤도에 접어들었다고 볼 수도 있는 시즌이다.

다만 주포이자 에이스 필리프 호프만이 자유 계약으로 팀을 이탈하기에 그의 대체자를 찾는 것이 시급해졌다.

3.3.2. DFB-포칼

포칼 1라운드에서는 오버리가 베스트팔렌(5부) 소속의 VfL 슈포르트프로인데 로테와 경기를 가졌다.
슐로이제너와 호프만, 카우프만이 연이어 득점포를 가동하며 4:1로 로테를 제압하고 2라운드에 진출하였다.

2라운드에서는 1.분데스리가 소속의 바이어 04 레버쿠젠을 만났다.
전반 4분 쿠에토의 득점이 나오면서 앞서나갔으며 프림퐁에게 후반 9분 실점하였으나 최경록이 후반 18분 레버쿠젠의 골리 흐라데츠키의 골킥을 탈취하고 침착하게 득점으로 연결하며 2:1로 승리를 거두었다. DFB-POKAL 2021/22 2R vs LEV

코로나 확진자가 나오는 와중에 펼쳐진 3라운드에서는 3.리가 소속의 TSV 1860 뮌헨을 만나 마르빈 바니체크의 페널티킥 골로 1:0 신승을 거두며 8강에 진출하였다. 한편, 팀 내 코로나 확진자가 연이어 나오며 SV 잔트하우젠과의 주말 리그 경기는 연기되었다.

4라운드(8강) 상대는 함부르크 SV.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에서 펼처진 이번 경기에서는 전반 26분 최경록이 부상으로 이탈했지만 필리프 하이제의 프리킥 원더골 및 필리프 호프만의 추가골로 2:0 리드를 잡았다.
그러나 HSV의 로베르트 글라첼에게 만회골을 내준 후 계속 공세를 내줬으며 결국 페널티킥까지 내주고 말았다. 불운하게도 페널티킥을 내준 크리스토프 코발트는 경고 누적으로 퇴장당하며 수적 열세에서 경기하게 되었다. 다만 골리로 나선 마리우스 게르스베크가 HSV의 조니 키텔의 슈팅을 막아내며 리드는 유지.

게르스베크의 여러 번의 선방을 바탕으로 2:1을 유지하며 승리를 눈앞에 두었으나 후반 46분 글라첼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며 승부를 연장전까지 진행되었으며 연장전에서도 득점이 나오지 않은 관계로 승부차기까지 이어졌다.
함부르크의 1번 키커 제바스티안 숀라우의 킥을 게르스베크가 막아내었지만 KSC는 3-4-5번으로 나선 키커가 모두 다니엘 호이어 페르난드스의 벽에 막히며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승부차기의 결과는 2:3. DFB-POKAL 2021/22 4R vs HSV
결국 어렵게 올라온 포칼에서 8강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준결승전 진출이 좌절되고 말았다. 너무나 아쉬웠던 경기.

3.3.3. 시즌 성적 요약

파일:2. 분데스리가 로고.svg
2. 분데스리가
12위
34전 9승 14무 11패
(54득점 55실점, GD -1)
파일:DFB-포칼 로고.svg
DFB-포칼
4라운드 탈락
4전 3승 1무[14]
(9득점 4실점, GD +5)
합산 성적[PS/N] 승률 31.58%
38전 12승 15무 11패
(63득점 59실점, GD +4)

3.4. 2022-23 시즌

지난 시즌 2.분데스리가에서 승점 41점에 그치며 12위로 마감한 카를스루어.

이번 시즌 급선무는 분데스리가 VfL 보훔으로 자유 이적한 필리프 호프만의 대체자를 영입하는 것. 호프만의 대체 자원으로 오스트리아 FC 파두츠시모네 라프를 낙점했으나 라프가 프리 시즌 도중에 목 부상을 당하며 스쿼드에서 이탈하게 되었다.
호프만 이외 팀과 재계약을 맺지 못하고 이탈한 마르쿠스 쿠스터의 백업 골키퍼 자리는 카이 아이젤레가 대체하게 되었다. 주전 골리 마리우스 게르스베크가 부상 상태이기에 시즌 초반 책임이 막중해보이는 상황.

한편, 공격력을 보완하기 위해 최전방 보강을 위해 덴마크 출신의 미켈 카우프만을 FC 코펜하겐 임대 영입하였으며 하노버 96의 주장 마르셀 프랑케,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의 센터백 플로리안 발라스를 모두 자유 계약으로 데려와 로빈 보르무트의 이탈에 대처했다.

또한 켈빈 아라세파울 네벨을 데려와 윙어 자리를 보강하였다. 이는 마르크 로렌츠베냐민 골러가 팀을 떠났으며 믿을맨 최경록은 지속적으로 부상에 신음 중이기에 필수 불가결한 보강이었다. 이외에도 파비오 카우프만, 야니스 라볼트, 리카르도 판레인 등을 방출하였다.

3.4.1. 2.분데스리가

카를스루어 SC 2022-23 2.분데스리가
전반기
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파일:SC 파더보른 07 로고.svg
SCP
파일:1. FC 마그데부르크 로고.svg
FCM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SGF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SVS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REG
파일:FC 한자 로스토크 로고.svg
FCH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HSV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HDH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
EBS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FCN
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DSC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SVD
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
F95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H96
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KSC
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svg
FCK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STP
구장 A H A H A H A H A H A H H A H A H
0 2 1 3 6 2 0 0 1 3 2 1 0 0 1 0 4
5 3 1 2 0 0 1 0 2 0 1 2 2 1 4 2 4
결과
승점 0 0 1 4 7 10 10 11 11 14 17 17 17 17 17 17 18
순위 18 18 16 14 10 8 9 9 10 8 6 8 10 10 10 13 13
후반기
R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파일:SC 파더보른 07 로고.svg
SCP
파일:1. FC 마그데부르크 로고.svg
FCM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SGF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SVS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REG
파일:FC 한자 로스토크 로고.svg
FCH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HSV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HDH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
EBS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FCN
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DSC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SVD
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
F95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H96
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KSC
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svg
FCK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STP
구장 H A H A H A H A H A H A A H A H A
0 1 2 3 1 2 4 2 1 1 4 1 2 2 1 2 1
1 1 1 0 0 0 2 5 1 1 2 2 3 1 2 0 1
결과
승점 18 19 22 25 28 31 34 34 35 36 39 39 39 42 45 46 49
순위 15 14 12 11 10 9 8 8 8 9 9 9 10 8 10 7 7

개막 라운드 상대는 SC 파더보른 07.
크리스티안 아이히너 감독은 4-3-3 포메이션을 내세웠으며 부상자와 이탈자가 다수인 윙어에는 루카스 쿠에토팀 로스만이 자리했다. 떠난 에이스 필리프 호프만의 자리에는 부상자 시모네 라프 대신 미켈 카우프만이 자리했다. 마르셀 프랑케는 예상대로 바로 주전 센터백으로 투입되었고, 주전 골키퍼 마리우스 게르스베크의 부상으로 카이 아이젤레가 선발로 나섰다.

전반전은 백중세였다. 오히려 결정적인 찬스는 카에스체에게 왔지만 카우프만이 결정적인 찬스를 골키퍼 정면으로 날리며 선제 득점 찬스는 무산되었다. 그러다 56분 페널티킥으로 선제 실점을 한 뒤에 완전히 무너져내렸다. 이후 20분간 무려 4골을 더 내주며 0:5의 완패를 당하고 말았다.

2라운드 홈 개막전 상대는 1. FC 마그데부르크. 톱으로는 파비안 슐로이제너가 기용되었다. 카이 아이젤레다니엘 고든의 끔찍한 실수로 인해 전반을 0대3으로 크게 뒤지며 마무리했다. 후반에는 그나마 분전했다. 마르빈 바니체크가 카에스체의 시즌 첫 득점을 터뜨렸고, 2분 후 미켈 카우프만이 추격골을 득점하며 동점 직전까지 갔으나 결국 2대3으로 패배했다.

분데스리가에서 강등된 SpVgg 그로이터 퓌르트 원정을 떠난 3라운드, 시모네 라프가 선발 데뷔전을 가졌고, 주전 골키퍼 마리우스 게르스베크도 복귀전을 치렀다. 이번에도 선제골을 실점하며 끌려갔지만, 약 10분 뒤 마르빈 바니체크가 PK 득점에 성공하며 균형을 맞췄다. 이 스코어가 경기 종료까지 이어지며 승점 1점을 획득, 시즌 첫 승점을 확보했다.

홈에서 펼쳐진 4라운드 SV 잔트하우젠전, 또 다시 선제골을 내주며 좋지 못한 출발을 했지만 첫 선발 기회를 받은 말리크 바트마츠가 동점골을 득점하며 1대1로 전반을 마쳤다. 62분 허술한 수비로 또 다시 실점하며 또 승리를 거두지 못하나 했으나, 84분, 교체로 들어온 시모네 라프가 동점골을 터뜨렸고, 엄청난 기세로 몰아붙인 결과 3분 후 루카스 쿠에토가 기어이 역전골까지 뽑아내며 3대2, 시즌 첫 승리를 만들어냈다.

5라운드 시즌 초반 기세가 좋은 SSV 얀 레겐스부르크 원정에서 무려 6:0 대승을 거두며 완전히 기세를 탔음을 알렸다. 파비안 슐로이제너, 말리크 바트마츠, 파울 네벨이라는 새로운 공격 트리오가 완벽히 자리를 잡은 모습을 보였고, 급하게 임대로 팀에 합류한 슈테판 암브로시우스는 바로 선발로 투입되어 70분 가량을 소화하며 좋은 활약을 했다. 특히 파비안 슐로이제너는 2골 1도움 맹활약을 하며 인생경기 급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6라운드 FC 한자 로스토크를 상대로도 2:0 깔끔한 승리를 거두어 리가 3연승을 이룩했다. 공격 트리오는 이번 라운드에도 빛났고, 필리프 하이제는 2년만의 득점에 성공했다.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 원정의 7라운드, 마찬가지로 좋은 기세를 달리고 있는 함부르크 SV의 스쿼드는 한 수 위였다.
뤼도빗 레이스에게 중거리 득점을 헌납하고 이를 극복하지 못하며 그대로 0:1 패하며 3연승을 마감하였다. 7개의 유효슈팅은 모두 다니엘 호이어 페르난드스 키퍼에게 막혔다. 다음 라운드인 8라운드에서는 리그 상위권을 달리는 1. FC 하이덴하임을 홈으로 불러들여 0:0의 무득점 무승부를 거두었다.

9라운드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원정에서 1:2로 석패했다. 앤서니 우자의 파괴력에 고전하며 브라운슈바이크에게 무려 10개의 유효슈팅을 허용했다.

A매치 기간 이후의 10라운드 1. FC 뉘른베르크전, 마르코 티데 대신 제바스티안 융이 시즌 첫 선발 경기를 가진 경기에서 마르빈 바니체크의 1골 1도움 맹활약과 필리프 하이제의 원더골로 3:0으로 완승을 거두었다. 여담으로 뉘른베르크의 로베르트 클라우스 감독은 해당 경기의 부진한 성적으로 경질되었다.

이후 11라운드 빌퍼펠트전에서도 승리하며 연승을 이어나갔으나 12라운드인 SV 다름슈타트전을 시작으로 포르투나 뒤셀도르프-하노버 96-홀슈타인 킬-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으로 이어지는 5연전을 모두 패하며 전반기를 마치게되었다.
전반기의 성적은 5승 3무 9패승점 18점이며 11라운드 종료 후 6위까지 올랐던 중간 순위 역시 13위로 하락.

후반기에는 SC 파더보른에 패하고 1. FC 마그데부르크와 무승부를 기록하였으나 20라운드부터 SpVgg 그로이터 퓌르트 -SV 잔트하우젠-SSV 얀 레겐스부르크-FC 한자 로스토크-함부르크 SV로 이어지는 5연전에 모두 승리하며 중간 순위 8위까지 뛰어올랐다.

25라운드 하이덴하임 전에는 2:5로 완패하였으나 브라운슈바이크와 뉘른베르크와 무승부를 기록하여 승점을 쌓았고 28라운드에서는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를 잡아내며 안정적 순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29라운드에서 SV 다름슈타트 98에 1:2로 패하더니 다시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에 2:3으로 패하며 10위까지 순위가 내려갔다. 30라운드까지의 중간 성적은 11승 6무 13패승점 39점.

이번 시즌 2.분데스리가의 승격 팀은 SV 다름슈타트 981. FC 하이덴하임함부르크 SV로 정해진 상태였기에 카를스루어는 30라운드까지 승점 39점을 확보하였으나 남은 경기 결과에 관계없이 2.분데스리가 잔류가 확정되었다.

이후 31라운드 홀슈타인 킬에 패하였으나 하노버 96과 1.FC 카이저슬라우테른을 잡아내었으며 마지막 34라운드에서는 FC 장크트파울리와 무승부롤 벌이며 시즌 합산 13승 7무 14패의 성적으로 마쳤다. 최종 순위는 7위.

3.4.2. DFB-포칼

리그 초반 2연패로 시작하고 마주한 DFB-포칼에서 1라운드에서는 TSG 노이슈트렐리츠와 만났다. 경기 결과 8:0의 완승을 거두며 분위기 반등에는 성공했다. 첫 출전을 가진 시모네 라프도 멀티골을 터뜨렸다.

포칼 2라운드 상대는 같은 2.분데스리가 소속의 SV 잔트하우젠.
접전 끝에 2:2의 무승부를 기록하고 맞이한 승부차기에서 9:10으로 패하며 아쉽게 이번 시즌 포칼 일정을 마쳤다,

3.4.3. 시즌 성적 요약

파일:2. 분데스리가 로고.svg
2. 분데스리가
7위
34전 13승 7무 14패
(56득점 53실점, GD +3)
파일:DFB-포칼 로고.svg
DFB-포칼
2라운드 탈락
2전 1승 1무[16]
(10득점 2실점, GD +8)
합산 성적[PS/N] 승률 38.89%
36전 14승 8무 14패
(66득점 55실점, GD +11)

3.5. 2023-24 시즌

지난 시즌 중상위권을 유지하였으나 13승 7무 14패에 그치며 7위로 시즌을 마감한 카를스루어 SC.

카를스루어는 팀의 미래로 평가받았던 팀 브라이트하우프트가 분데스리가 FC 아우크스부르크로 250만 유로의 이적료 수입을 남기고 이적하였으며 레프트윙어 도미니크 코더는 자유 계약으로 SSV 얀 레겐스부르크로 이적하였다.
또한 주전 골키퍼 마리우스 게르스베크는 36만 유로에 헤르타 BSC로 이적하였고 레프트윙어 루카스 쿠에토는 SG 디나모 드레스덴으로 자유 이적하였다.

한편, 라르스 슈틴들이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와의 계약이 종료 후 팀에 복귀하였다. 지난 2009/10 시즌 이후 14번째 시즌만의 복귀.
또한 수비형 미드필더 니콜라이 라프를 SV 베르더 브레멘에서 영입하였으며 FC 장크트파울리에서는 센터백 마르셀 바이푸스를 영입하여 수비력을 보강하였다. 서브 골리로 파트리크 드레베스를 SV 잔트하우젠에서 영입하였으며 미드필더 제니스 부르니치를 1.FC 하이덴하임에서 영입하며 중원을 보강하였다.

지난 시즌 안정적 성적을 유지하였으나 7위에 그치며 분데스리가 승격이 좌절되었기에 다시 도전하는 분데스리가 승격.

3.5.1. 2.분데스리가

카를스루어 SC 2023-24 2.분데스리가
전반기
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파일:VfL 오스나브뤼크 로고.svg
OSN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HSV
파일:SV 베헨 비스바덴 로고.svg
WIE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
EBS
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
F95
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svg
FCK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SGF
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KSV
파일:1. FC 마그데부르크 로고.svg
FCM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S04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STP
파일:SC 파더보른 07 로고.svg
SCP
파일:헤르타 BSC 로고.svg
BSC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FCN
파일:FC 한자 로스토크 로고.svg
FCH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H96
파일:SV 07 엘버스베르크 로고.svg
ELV
구장 A H A H A H A H A H A H A H H A H
3 2 0 2 1 1 3 0 1 3 1 0 2 4 2 2 3
2 2 1 0 3 1 4 2 1 0 2 3 2 1 2 2 2
결과
승점 3 4 4 7 7 8 8 8 9 12 12 12 13 16 17 18 21
순위 4 4 9 6 10 9 12 14 14 12 14 16 15 14 14 14 12
후반기
R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파일:VfL 오스나브뤼크 로고.svg
OSN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HSV
파일:SV 베헨 비스바덴 로고.svg
WIE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
EBS
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
F95
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svg
FCK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SGF
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KSV
파일:1. FC 마그데부르크 로고.svg
FCM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S04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STP
파일:SC 파더보른 07 로고.svg
SCP
파일:헤르타 BSC 로고.svg
BSC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FCN
파일:FC 한자 로스토크 로고.svg
FCH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H96
파일:SV 07 엘버스베르크 로고.svg
ELV
구장 H A H A H A H A H A H A H A A H A
2 4 2 0 2 4 4 0 7 0 2 1 3 1 2 1 3
1 3 2 2 2 0 0 1 0 0 1 1 2 0 1 2 0
결과
승점 24 27 28 28 29 32 35 35 38 39 42 43 46 49 52 52 55
순위 11 8 8 11 11 9 8 9 7 6 7 7 5 5 5 5 5

VfL 오스나브뤼크와의 개막전을 가져 바니체크의 멀티 득점과 부르니치의 후반 41분 추가골에 힘입어 오스나브뤼크에 3:2로 어렵게 승리하였다.

이어진 홈 개막전에서는 2.분데스리가의 강자 함부르크 SV를 홈으로 불러들여 경기하였다.
전반 13분 나온 슐라이제너의 선취골로 앞서 나갔으나 후반 20분 HSV의 베네스에게 동점골을 허용하고 다시 4분 후 글라첼에게 역전골을 내주어며 패색이 짙어졌다. 그러나 후반 50분 슈틴들의 페널티 박스내 스루 패스를 받은 지브지바체가 극적인 동점골을 기록하며 2:2로 무승부로 경기를 마쳤다. https://www.youtube.com/watch?v=BglnCR6BG54

그러나 3라운드에서는 SV 베헨 비스바덴에 0:1로 패하였으며 다시 4라운드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전에서는 승리하는 등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5라운드에서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에 1:3의 완패를 당하며 중간 순위 10위까지 추락하였다. 6라운드 경기였던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과는 1:1로 무승부.

이후 난타전 끝에 SpVgg 그로이터 퓌르트(7R)에 3:4로 패하고 다시 홀슈타인 킬에 패하면서 14위까지 내몰리게되었다.

9라운드에서는 1.FC 마그데부르크와 무승부를 기록하고 10R FC 샬케 04와의 홈 경기에서 시즌 2승째를 수확하며 강등권에서 벗어나는 모습.
10라운드까지의 성적은 3승 3무 4패승점 12점으로 중간 순위 12위.

이후 원정 경기로 진행된 FC 장크트파울리전은 물론 홈에서 펼쳐진 12라운드 SC 파더보른전에 연패하며 어느덧 강등권에 위치하게되었다. 다행히 13라운드 헤르타 BSC전에서는 2:2로 무승부.

14라운드에서는 홈에서 1.FC 뉘른베르크를 잡아내었고 다시 FC 한자 로스토크하노버 96(16R)를 상대로 무승부를 거두며 승점을 쌓았다.

겨울 휴식기 이후 첫 경기이자 전반기 마지막 경기인 SV 07 엘베스베르크에 승리를 거두며 전반기를 5승 6무 6패 승점 21점, 중간 순위 12위로 마쳤다.
승점 9점의 간격이 있는 6위 SC 파더보른의 승점 27점부터 15위인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의 승점 18점 사이에 무려 10팀이 몰려있는 이번 시즌 2.분데스리가의 특징상 순위가 요동치고 있는 모습.

후반기 첫 경기인 오스나브뤼크에 승리를 거둔데 이어 함부르크 SV 원정에서는 난타전 끝에 4:3으로 잡아내며 단 두 경기만에 12위에서 8위로 4계단이 올랐다.

21라운드 원정에서 이번 시즌 하위권으로 쳐진 브라운슈바이크에 일격을 당하였으나 다음 23라운드 카이저슬라우테른과 24R에서 그로이터를 잡아내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22라운드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와의 홈 경기는 2:2의 무승부.

이러한 상승세를 바탕으로 카를스루어는 4~5위 구간에 있는 하노버 96과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의 승점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으며 SC 파더보른 07, SpVgg 그로이터 퓌르트, 헤르타 BSC, 1. FC 뉘른베르크 및 SV 07 엘버스베르크와 혼전을 벌이고 있는 양상.
5위 하노버의 승점 40점11위 엘베스베르크의 35점 사이로 7팀이 몰려있기에 2~3경기의 연승 또는 연패를 기록할 경우 3~4위씩 순위가 요동치고있다.

26라운드에서는 1. FC 마그데부르크를 7:0으로 완파하며 시즌 10승째(8무 8패, 승점 38점)를 올렸다. 26라운드까지는 같은 승점이지만 골 득실에서 그로이터에 앞서 중간 순위 7위를 기록. 27라운드 샬케와의 원정 경기에서는 0:0의 무승부.

28라운드에서는 선두를 달리고 있는 FC 장크트파울리와 홈에서는 만났다.
프랑케가 전반 1분만에 선취 득점에 성공하였으나 STP의 어빈에게 전반 37분 헤더 동점골을 내어주며 승부는 1:1의 원점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후반 23분 바니체크의 로빙패스를 교체 투입되었던 슐라이제너 받아 쇄도하던 네벨에게 연결하며 다시 득점에 성공하며 앞서 나갔다. 결국 2:1로 승리. https://www.youtube.com/watch?v=AGW-YSLeq9s

29라운드 SC 파더보른과의 원정에서는 전반 19분 SCP 콘테에게 먼저 실점하였으나 5분 후 마타노비치에게 동점골이 나오며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고 결국 1:1로 무승부로 마쳤다.

리그 5경기가 남은 가운데 1.분데스리가 16위와 승강 플레이오프 자격을 얻게 될 2.분데스리가 3위인 포르투나가 비스바덴에 승리를 거두며 52점이 되었기에 사실상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멀어지는 분위기. KSC는 29라운드까지 승점 43점을 획득.

30라운드 헤르타와의 홈 경기에서 후반 32분 마르빈 바니체크의 결승골에 힘입어 3:2로 승리하며 중간 순위에서 하노버를 제치고 5위로 뛰어올랐다. 다음 경기였던 뉘른베르크 원정에서는 마타보비치의 결승골에 힘입어 승점 49점째를 달성하며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을 위한 희망을 이어나갔다. 지난 라운드와 마찬가지로 중간 순위는 5위.

32라운드 FC 한자 로스토크와의 홈 경기에서는 1:1로 맞선 후반 11분 바니체크의 페널티 킥 골에 힘입어 2:1로 승리하며 뒤늦은 3연승을 달렸다. (14승 10무 8패, 승점 52)
그러나 3위 포르투나가 뉘른베르크에 3:1로 승리하며 승점이 59점을 확보하였으며 4위 함부르크의 승점도 55점이기에 다음 시즌에도 2.분데스리가 소속으로 남게되었다.

33라운드 경기에서는 하노버의 포글자머에게 전반 18분 선취골을 내어주었으나 전반 43`, 네벨이 동점골을 만들어내며 전반을 마쳤다. 그러나 후반 20분 할스텐베르크에게 다시 실점하며 1:2로 패하며 하노버와 승점 동점을 이루었다. 두 팀 모두 승점 55점으로 5-6위를 달리고 있으며 골 득실에서 앞선 KSC가 5위.

리그 마지막 경기였던 SV 07 엘버스베르크와의 경기에서는 후반 7분과 10분에 연이어 나온 지브지바체와 하이체의 득점과 후반 34분 슈틴들의 마무리 득점에 힘입어 3:0으로 엘버스베르크에 완승을 거두며 시즌을 마감하였다.

최종 성적은 15승 10무 9패승점 55점이며 승점 58점의 함부르크에 이은 5위.
후반기에만 10승 4무 3패, 승점 34점을 획득하며 약진을 거듭하였으나 결국 리그 초중반의 부진한 모습이 발목을 잡은 시즌의 결과였다. 시즌 초반(3라운드)의 비스바덴전 패배와 후반기 네 번째 경기였던 브라운슈바이크전 패배가 아쉬움으로 남는 대목.

후반기 상승세를 타며 승강 플레이오프 진입을 눈앞에 두었으나 결국 다음 시즌에도 2.분데스리가 소속으로 남게되었다.
다음은 2.분데스리가 2023/24 시즌 중상위권인 4위~7위의 승점과 명단.
[4위 = 함부르크 SV] (17승 7무 10패 승점 58점, GF 64 - GA 44, GD +20)
[5위 = 카를스루어 SC] (15승 10무 9패 승점 55점, GF 68 - GA 48, GD +20)
[6위 = 하노버 96] (13승 13무 8패 승점 52점, GF 59 - GA 44, GD +15)
[7위 = SC 파더보른 07] (15승 7무 12패 승점 52점, GF 54 - GA 54, GD 0)

3.5.2. DFB-포칼

포칼 1라운드에서 3. 리가 소속의 1. FC 자르브뤼켄과 경기를 가졌다.
전반을 실점 없이 마쳤으나 후반 초반 SBR 치비야에게 실점하였고 이를 슈틴들이 만회하며 1:1의 균형을 이루었으나 후반 45분 브륑커에게 실점하며 1:2의 패배를 기록하며 이번 시즌 포칼 일정을 마무리하였다.

3.5.3. 시즌 성적 요약

파일:2. 분데스리가 로고.svg
2. 분데스리가
7위
34전 15승 10무 9패
(68득점 48실점, GD +20)
파일:DFB-포칼 로고.svg
DFB-포칼
1라운드 탈락
1전 1패
(1득점 2실점, GD -1)
합산 성적[PS/N] 승률 42.86%
35전 15승 10무 10패
(69득점 50실점, GD +19)

3.6. 2024-25 시즌

지난 시즌 2.분데스리가에서 안정적인 중상위권의 성적을 유지하였으나 5위에 그친 카를스루어 SC.

시즌을 앞두고 지난 2024년 3월, 이미 은퇴을 알린 라르스 슈틴들이 은퇴함에 따라 새로운 자원의 영입이 필요한 상황. 슈틴들은 독일 U-20 축구 국가대표팀 수석 코치에 선임되며 지도자의 길로 들어섰다.
슈틴들 이외 레프트윙어 팀 로스만이 포르투나 뒤셀도르프로 자유 이적하였으며 미드필더로 많은 경기에 출전하였던 제롬 곤도르프가 카를스루어 인근의 SG 스투페리히(SG Stupferich)라는 작은 클럽으로 이적하며 선수 생활을 이어나갔다.
또한 핀란드 출신의 센터백 대니얼 오쇼네시는 다시 핀란드 HJK 헬싱키로 돌아갔다.

한편, VfL 보훔의 주전 골키퍼 마누엘 리만이 팀과 갈등을 일으키며 선수단에서 제외되었으며 이에 따라 서브 골리를 찾던 보훔이 파트리크 드레베스를 100만유로에 영입하며 1년만에 팀을 떠났다.

카를스루어는 FC 바이에른 뮌헨에서 다비트 헤롤트를 영입하여 레프트백을 보강하였으며 라세 귄터를 FC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영입하였다. 귄터는 레프트백과 레프트윙백이 가능한 자원.
또한 VfB 슈투트가르트에서 출전 기회를 얻지 못하였던 릴리안 에글로프를 영입하며 공격력을 강화하였으며 중앙 공격수 루카 파이퍼를 FC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임대 영입하였다. 이외 TSG 1899 호펜하임에서는 레프트윙어 밤바세 콘테를 임대하였다.

지난 시즌 후반기의 상승세를 바탕으로 승강 플레이오프로의 진입을 노렸으나 아쉽게 실패하였기에 절치부심에 성공할 수 있을지 기대되는 시즌.

3.6.1. 2.분데스리가

카를스루어 SC 2024-25 2.분데스리가
전반기
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FCN
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
F95
파일:SV 07 엘버스베르크 로고.svg
ELV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
EBS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S04
파일:1. FC 마그데부르크 로고.svg
FCM
파일:1. FC 쾰른 로고.svg
KOE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SVD
파일:SSV 울름 1846 로고.svg
ULM
파일:헤르타 BSC 로고.svg
BSC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H96
파일:SC 프로이센 뮌스터 로고.svg
PRM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SGF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HSV
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svg
FCK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REG
파일:SC 파더보른 07 로고.svg
SCP
구장 H A H A H A A H A H A H A H A H A
3 0 3 2 2 2 4 3 1 1 1 1 3 1 1 4 2
2 0 2 1 0 2 4 3 0 3 2 1 2 3 3 2 1
결과
승점 3 4 7 10 13 14 15 16 19 19 19 20 23 23 23 26 29
TD[Td] +1 +1 +2 +3 +5 +5 +5 +5 +6 +4 +3 +3 +4 +2 +0 +2 +3
순위 5 8 4 2 2 2 3 4 3 4 5 4 2 5 9 7 2
후반기
R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FCN
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
F95
파일:SV 07 엘버스베르크 로고.svg
ELV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
EBS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S04
파일:1. FC 마그데부르크 로고.svg
FCM
파일:1. FC 쾰른 로고.svg
KOE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SVD
파일:SSV 울름 1846 로고.svg
ULM
파일:헤르타 BSC 로고.svg
BSC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H96
파일:SC 프로이센 뮌스터 로고.svg
PRM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SGF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HSV
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svg
FCK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REG
파일:SC 파더보른 07 로고.svg
SCP
구장 A H A H A H H A H A H A H A H A H
1 2 2 0 1 3 1 0 0 1 1 1 1 2
2 3 2 2 2 1 0 3 0 3 0 1 0 1
결과
승점 29 29 30 30 30 33 36 36 37 37 40 41 44 47
TD[Td] +2 +1 +1 -1 -2 0 +1 -2 -2 -4 -3 -3 -2 -1
순위 6 8 8 10 10 10 9 10 10 10 10 10 9 8

리그 첫 경기는 1. FC 뉘른베르크와의 대결.
KSC는 4-4-2를 내세웠다. 골리 바이스를 시작으로 귄터-베이푸스-프랑케-융이 4백을 이루었고 미드필더는 바니체크-렙-옌젠-부르나치의 조합. 공격진으로는 지브자바체와 슐로이제너가 나섰다.
전반 20`, 칸지에게 선취골을 내주었으며 10분 후에는 픽에게 추가골을 내어주며 패색이 짙어졌다. 그러나 전반 추가 시간 지브지바제의 추격골이 나오면서 전반을 1:2로 마쳤고 후반 26분에는 교체 투입된 콘테의 패스를 받아 지브지바체가 터닝 슈팅으로 동점골을 만들어냈다. 6분 후에는 다시 다시 지브지바체가 터닝 슈팅으로 역전골을 만들어내며 0:2에서 3:2로 역전승을 기록하며 시즌을 출발하였다. 2.분데스리가 MD-1 vs 뉘른베르크

리그 2라운드는 포르투나 뒤셀도르프 원정.
지난 시즌 리그 3위를 기록한 포르투나를 맞아 점유율 49%:51%, 슈팅(유효)갯수 9(2):20(5)로 맞섰으나 득점을 기록하지 못하면서 무득점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이어진 3라운드에서는 SV 07 엘버스베르크를 홈으로 불러들여 경기를 가졌다.
전반 18분 귄터의 선제골로 앞서 나갔으나 슈넬하버에게 동점골을 내어주며 경기가 원점으로 돌아갔다. 그렇게 전반전은 1:1로 종료.
후반 2`, 슐로이제너가 다시 앞서나가는 득점을 기록하였으나 아슬라니에게 후반 14분 다시 동점골을 내주며 다시 동점이되었다. 후반 29분에는 슐로이제너 대신 투입된 헌지커가 다시 앞서나가는 득점을 기록하며 3:2를 만들었다. 이후 리드를 살려내며 3:2의 힘든 승리를 거두었다.

4라운드는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원정.
전반 13분만에 BTSV의 비차크치치에게 선취골을 내어주며 전반을 0:1로 마쳤다. 그러나 후반 27분 교체 투입된 헌지커의 동점골이 나오더니 후반 43분 지브자바체가 역전골에 성공하며 2:1의 역전승을 거두었다. 지브지바체는 4경기만에 4득점을 기록.

리그 5라운드에서는 샬케 04를 홈으로 불러들였다.
전반 48`, 프랑케의 페널티 박스내 로빙패스를 시작으로 혼전상황에서 지브지바체의 득점이 나오면서 전반을 1:0으로 앞선 채 마쳤다.
후반 27분에는 바니체크의 크로스를 이어받아 슐로이제너가 슈팅하였고 샬케의 산체스에 맞고 나온 공을 다시 지브지바체가 리바운드하며 추가 득점에 성공하며 경기를 마쳤다. 2.분데스리가 MD-5 vs 샬케 04
리그 초반 5경기까지의 성적은 4승 1무로 승점 13점이며 골득실에서 포르투나에 밀린 2위.

2.분데스리가 6라운드에서는 리그 중상위권에 위치하고 있는 1. FC 마그데부르크 원정에 나섰다.
마그데부르크의 아마에치에게 선취골(전반 5`)을 내주었으나 옌젠이 동점골로 경기를 원점으로 돌렸으며 이후 전반 29분에는 바치체크가 역전골을 성공시키며 2:1로 전반을 앞선 채 끝냈다. 후반에는 마그데부르크의 공세를 막아내며 승리를 눈앞에 두었으나 후반 32분 헤르허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며 2:2의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이어진 7라운드 1. FC 쾰른과의 리그 7라운드에서는 난타전이 벌어졌다.
KOE의 발트슈미트에게 전반 3분만에 선취골을 허용하고 다운스에게 다시 전반 7분과 14분 실점하며 0:3으로 끌려갔으나 바니체크가 연속 득점을 기록하며 2:3까지 추격하였다. 전반 추가 시간에는 렘펠레에게 다시 실점하며 전반을 2:4로 마무리.
그러나 후반 6분만에 옌전의 추격골이 나오면서 실마리가 생기기 시작하였고 바니체크가 후반 9분 4:4의 동점을 만들며 경기를 원점으로 돌렸다. 이후 공방을 주고 받았으나 추가 득점없이 마무리되며 4:4의 난타전은 마무리되었다.
2.분데스리가 MD-7 vs 쾰른 4:4

리그 8라운드에서는 SV 다름슈타트 98과 다시 3:3의 무승부를 거두며 3연속 무승부를 거두었다. 이에 따라 같은 라운드에서 얀 레겐스부르크에 승리한 SC 파더보른에 3위를 내주게되었으며 4위로 밀려나게 되었다.

2.분데스리가 9라운드에서는 3.리가에서 승격한 SSV 울름 1846을 상대하였다.
울름의 홈 구장에서 열린 이번 경기에서 점유율 55%:45%의 우위로 공격을 진행하였으나 3-4-2-1로 맞선 울름의 골문을 열리지 않았으며 무승부가 점쳐지던 후반 49분 프랑케의 극적인 득점이 나오면서 어렵게 승리하였다. 3경기 연속 무승부에서 벗어났으며 시즌 5승 4무, 승점 19점으로 다시 3위로 뛰어올랐다.

빌트파르크에서 진행된 10라운드 헤르타 BSC와의 홈 경기에서는 전반 9분만에 BSC의 마자에게 실점하였지만 지브지바체가 전반 추가시간 동점골을 성공시키며 1:1로 전반을 마쳤다. 후반 초반에는 4-4-2에서 기습적으로 3-5-2로 변형한 헤르타의 공격진에 수비가 와해되며 제파이크(후반 4`)와 니더레흐너(후반 13`)에게 연속 실점하며 1:3으로 패하고 말았다. 이번 시즌 리그 첫 패이며 홈에서 당한 충격적 패배.

11라운드에서는 리그 상위권에 올라있는 하노버 96와의 원정 경기에서 프랑케의 선제 득점으로 앞서 나갔으나 은간캄에게 동점골을 내어주었으며 다시 할스텐베르크에게 페널티 킥 실점을 하며 1:2의 역전패를 당하였다.

다음 경기였던 3.리가 승격팀 SC 프로이센 뮌스터와의 홈 경기에서는 1:0으로 앞서 나가며 승리를 눈앞에 두었으나 후반 47분 플렌케르트에게 극장골을 허용하며 아쉽게 1:1의 무승부를 기록하고 말았다.
13라운드에서는 SpVgg 그로이터 퓌르트 원정에서 3:2로 어렵게 승리하며 다시 2위에 올랐다.

그러나 14라운드에서는 함부르크 SV에 1:3으로 패하며 1경기만에 2위에서 5위까지 추락하였다. 상위권 팀들의 승점이 워낙 촘촘한 탓에 매 경기의 결과로 순위가 크게 바뀌고 있는 상황. 15라운드에서는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에 전반 초반 페널티 킥으로 실점하였으며 만회하지 못하며 1:3의 패배를 기록하며 9위까지 추락하였다.

전반기 후반부였던 16라운드에서는 하위권에 처져있는 3.리가 승격팀 SSV 얀 레겐스부르크를 상대로 4:2로 승리하며 연패에서 벗어났다.
전반기 마지막 경기였던 SC 파더보른 07과의 경기에서는 전반전에 나온 융과 지브지바체의 득점으로 만든 리드를 끝까지 지켜내며 파더보른을 6위로 밀어내고 2위를 탈환하였다. 전반기의 전적은 8승 5무 4패로 승점 29점이며 승점 28점인 3위 그룹과 단 1점차.

전반기 선두는 초반의 부진을 씻고 상승세에 있는 1.FC 쾰른이며 3위는 함부르크 SV. 그 뒤를 SV 엘버스베르크 등이 추격하고 있다. 다음은 치열한 승격 경쟁을 펼치고 있는 2.분데스리가 2024/25 시즌 전반기 상위권 팀들의 성적.
[1위 = 1. FC 쾰른] (9승 4무 4패 승점 31점, GF 32 - GA 23, GD +9)
[2위 = 카를스루어 SC] (8승 5무 4패 승점 29점, GF 34 - GA 31, GD +3)
[3위 = 함부르크 SV] (7승 7무 3패 승점 28점, GF 39 - GA 23, GD +16)
[4위 = SV 엘버스베르크] (8승 4무 5패 승점 28점, GF 31 - GA 22, GD +9)
[5위 = 1. FC 마그데부르크] (7승 7무 3패 승점 28점, GF 30 - GA 24, GD +6)
[6위 = SC 파더보른 07] (7승 7무 3패 승점 28점, GF 29 - GA 24, GD +5)
[7위 = 하노버 96] (8승 3무 6패 승점 27점, GF 22 - GA 17, GD +5)
후반기를 앞둔 2025년 1월 3일, 팀의 에이스 역할을 해온 부두 지브지바체가 1.FC 하이덴하임으로 떠남에 따라 남은 시즌 공백을 메우는 것이 중요해졌다.

후반기 첫 경기에서 1. FC 뉘른베르크에 패하였으며 다시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에 2:3으로 패하며 중간 순위가 2위에서 8위까지 떨어졌다. 이어진 20라운드에서는 전반기 상위권을 기록한 SV 07 엘버크베르크와 2:2의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2.분데스리가 21라운드에서는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를 홈으로 불러들여 경기를 가졌으나 0:2로 패하였다. 이어 FC 샬케 04와의 경기에서도 패하며 중위권으로 굳어졌다. 23라운드에서는 1.FC 마그데부르크에 승리하며 후반기 첫 승을 올렸다.
이어 리그 선두를 달리던 1. FC 쾰른과의 24라운드 경기에서는 후반 6분 쾰른 휘바스의 자책골이 나오며 행운의 승리를 기록하였다. 24라운드까지의 전적은 10승 6무 8패승점 36점으로 중간 순위 9위.

2.분데스리가 25라운드에서는 리그 중하위권을 달리고 있는 SV 다름슈타트 98을 상대로 승리에 도전하였으나 SVD 리드버그에게 먼저 실점하였으며 코레도르와 파펠라에 추가골을 내어주며 0:3의 완패를 기록하였다.
이어 리그 하위권인 SSV 울름 1846을 홈으로 불러들였으나 무득점 무승부를 기록하며 승점을 얻는 속도가 느려지고 있는 상황.

27라운드 헤르타 BSC를 상대로한 베를린 원정에서는 0:3의 완패를 기록하며 리그를 중위권으로 마칠 확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하노버 96을 상대로 승리하였으나 리그 하위권 SC 프로이센 뮌스터와 29라운드에서는 1:1의 무승부를 기록하며 승격에서 멀어지고 있다. 29라운드까지의 전적은 11승 8무 10패로 승점 41점.
1위 함부르크 SV의 승점이 52점이며 2위 1. FC 쾰른이 50점인 상황에 더해 3~4위권을 형성하고 있는 승점 47점의 SV 07 엘버스베르크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및 승점 46점인 1. FC 마그데부르크1. FC 카이저슬라우테른까지 있기에 승격은 쉽지 않아 보이는 상황.

2.분데스리가 30라운드에서는 리그 중하위권을 형성하고 있는 SpVgg 그로이터 퓌르트와의 홈 경기에서 후반 29분 바니체크의 득점을 지켜내며 1:0으로 어렵게 승리하고 승격 도전을 이어갔다.
이어 31라운드, 선두를 달리고 있는 함부르크 SV 원정에서는 전반 47분 바니체크의 득점으로 2:1로 승리하고 승점 47점째를 확보하였다.

31라운드까지 선두는 승점 54점의 1. FC 쾰른이며 이를 승점 53점의 함부르크 SV가 추격하고 있다.
다음은 2.분데스리가 31라운드까지의 경기 결과 3위~10위 팀이 성적과 명단.
[3위 = 1. FC 마그데부르크] (13승 11무 7패 승점 50), GF 59 - GA 43, GD +16 =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
[4위 = SV 07 엘버스베르크] (13승 10무 8패 승점 49), GF 56 - GA 35, GD +21
[5위 = SC 파더보른 07] (13승 10무 8패 승점 49), GF 52 - GA 42, GD +10
[6위 = 포르투나 뒤셀도르프] (13승 10무 8패 승점 49), GF 51 - GA 46, GD +5
[7위 =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14승 7무 10패 승점 49), GF 52 - GA 48, GD +4
[8위 = 카를스루어 SC] (13승 8무 10패 승점 47), GF 50 - GA 51, GD -1
[9위 = 하노버 96] (12승 10무 9패 승점 46), GF 37 - GA 33, GD +4
[10위 = 1. FC 뉘른베르크] (13승 6무 12패 승점 45), GF 54 - GA 51, GD +3
카를스루어와 승점 3점 차인 1. FC 마그데부르크가 승강 플레이오프권인 3위를 차지하고 있기에 가능성이 있어보이나 승점 49점을 기록하고 있는 앞의 4팀이 존재하기에 카를스루어의 분데스리가 승격 도전은 쉽지 않아 보이는 상황.



3.6.2. DFB-포칼

포칼 1라운드 상대는 레기오날리가(west,서부 지구) 소속의 VfL 슈포르트프로인데 로테.
로테의 홈 구장 Sportpark am Lotter Kreuz에서 펼쳐진 경기에서 헤럴드와 바니체크, 지브지바체의 득점과 상대 자책골에 힘입어 5:0으로 완승을 거두고 2라운드에 진출하였다.

2라운드 상대는 레기오날리가(Südwest, 남서부 지구)소속의 키커스 오펜바흐.
오펜바흐의 홈 구장 Sparda-Bank-Hessen-Stadion에서 펼쳐진 경기에서 점유율 72%:28%의 우세했던 영향력을 바탕으로 지브지바체와 센터백 베이푸스의 득점으로 2:0으로 승리하고 3라운드에 진출하였다.

3라운드 상대는 분데스리가 소속의 FC 아우크스부르크.
전반 40분 FCA의 에센데에게 실점하며 전반을 마쳤으나 후반 9분 슐로이제너의 동점포에 힘입어 1:1의 균형을 맞추었다. 이후 추가 득점이 없는 상태에서 돌입한 연장에서 연장 후반 5분 바니체크의 역전골에 힘입어 승리를 눈앞에 두었으나 연장 후반 종료 직전 루벤 바르가스에게 실점하며 결국 연장전까지 2:2로 승부를 가리지 못하였다.
결국 승부차기에 돌입하였으며 마지막 키커로 나선 호이저가 실축하며 4:5로 패배, 아쉽게 포칼 일정을 마무리하였다. 점유율 46%:54%, 슈팅(유효)갯수 13(8):15(3)의 접전을 보였던 경기 기록.

3.6.3. 시즌 성적 요약

파일:2. 분데스리가 로고.svg
2. 분데스리가

34전 승 무 패
(득점 실점, GD )
파일:DFB-포칼 로고.svg
DFB-포칼
3라운드 탈락
3전 2승 1무[21]
(9득점 2실점, GD +7)
합산 성적[PS/N] 승률 %
36전 승 무 패
(득점 실점, GD )

4. 라이벌

파일:카를스루어 SC 로고.svg 파일:Karlsruher FV.png
카를스루어 SC
Karlsruher S.C.
카를스루어 FV
Karlsruher F.V.
카를스루에 더비 (Karlsruher Stadtderby)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를스루에 더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카를스루에 더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카를스루에 더비#|]][[카를스루에 더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창단 초기에는 같은 카를스루에를 연고로 하는 카를스루어 FV와의 라이벌리가 있었다. 하지만 현재는...

이외에도 VfB 슈투트가르트,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SV 발트호프 만하임 울트라스와의 관계가 좋지 않다.

5. 스쿼드

5.1. 1군

파일:카를스루어 SC 로고.svg
카를스루어 SC 1군 스쿼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카를스루어 SC 2024-25 시즌[1]
<rowcolor=#003798><colcolor=#003798> 등 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파일:독일 국기.svg GK 막스 바이스 Max Weiß
2 파일:독일 국기.svg DF 제바스티안 융 Sebastian Jung
4 파일:독일 국기.svg DF 마르셀 바이푸스 Marcel Beifus
5 파일:핀란드 국기.svg DF 대니얼 오쇼네시 Daniel O'Shaughnessy
6 파일:독일 국기.svg MF 레온 옌센 Leon Jensen
8 파일:독일 국기.svg MF 제롬 곤도르프 Jérôme Gondorf 주장
9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FW 이고르 마타노비치 Igor Matanović [a]
10 파일:독일 국기.svg MF 마르빈 바니체크 Marvin Wanitzek
11 파일:조지아 국기.svg FW 부두 지브지바제 Budu Zivzivadze
13 파일:독일 국기.svg FW 라르스 슈틴들 Lars Stindl
15 파일:독일 국기.svg DF 제니스 부르니치 Dženis Burnić
16 파일:독일 국기.svg DF 필리프 하이제 Philip Heise
17 파일:독일 국기.svg MF 니콜라이 라프 Nicolai Rapp
18 파일:독일 국기.svg DF 다니엘 브로진스키 Daniel Brosinski
20 파일:독일 국기.svg DF 다비트 헤롤트 David Herold
21 파일:독일 국기.svg DF 마르코 티데 Marco Thiede
22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DF 크리스토프 코발트 Christoph Kobald
24 파일:독일 국기.svg FW 파비안 슐로이제너 Fabian Schleusener
28 파일:독일 국기.svg DF 마르셀 프랑케 Marcel Franke
29 파일:독일 국기.svg DF 라세 귄터 Lasse Günther
3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MF 에렌 외즈튀르크 Eren Öztürk
31 파일:독일 국기.svg FW 밤바세 콘테 Bambasé Conté [3]
32 파일:독일 국기.svg DF 로빈 보르무트 Robin Bormuth
39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DF 에페칸 실라로글루 Efe-Kaan Sihlaroglu
구단 정보
회장: 홀거 지크문트슐체 / 감독: 크리스티안 아이히너 / 홈 구장: BB방크 빌트파르크
출처: 공식 홈페이지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12월 17일

[1]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간략화된 틀도 수정해주세요.[a]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서 임대[3] TSG 1899 호펜하임에서 임대

}}}}}}}}} ||

6. 둘러보기

파일:독일 축구 연맹 로고(1926~1995).png
분데스리가 원년 멤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1961~1968).svg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1945~1964).svg
파일:MSV 뒤스부르크 로고(1951~1966).svg
파일:SC 프로이센 뮌스터 로고(1906~2008).svg
파일:TSV 1860 뮌헨 로고(1952~1964).svg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1949~1965).svg
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1962~1976,1977~1994).svg
파일:FC 샬케 04 로고(1963~1971).svg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파일:1. FC 자르브뤼켄 로고(1955~2010).svg
파일:카를스루어 SC 로고(1952~1960).svg
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1955~1969).svg
파일:1. FC 쾰른 로고(1948~1967).svg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1957~1965).svg
파일:함부르크 SV 로고(1950~1978).svg
파일:헤르타 BSC 로고(1923~1984).svg
}}}}}}}}} ||
[1] Karlsruhe는 '카를스루에'이지만, Karlsruher SC는 카를스루어 SC가 맞다.[2] 1993-94 시즌 UEFA 유로파 리그의 전신인 UEFA컵에서 여러 강호들을 이기고 4강에 오른걸 보고 생긴 별명이다.[3] #[4] '카에스체'라고 읽는다.[5] 분데스리가 출범 이전의 리그로, 각 지역 리그의 우승자들끼리 경기를 해서 전국 챔피언을 가려내는 방식이었다.[6] 분데스리가 출범 이전의 리그로 이 리그에서 우승한뒤 다른 지역 리그에서 우승한 팀과 붙는 방식이었다.[7] 분데스리가 출범 이전의 리그로 이 리그에서 우승한뒤 다른 지역 리그에서 우승한 팀과 붙는 방식이었다.[8] 독일 축구 선수권 대회는 1902년부터 시작되었으며 단일 리그가 아니라 전국 단위의 분할 리그에서 상위팀이 출전하여 토너먼트 형태로 전국 단위 우승팀을 가렸다.[9] 이때 발렌시아 감독은 우리가 잘 아는 거스 히딩크였다.[10] 분데스리가 강등 이후 1974/75 시즌 출범한 2.분데스리가 이전의 2부 리그의 역할을 해온 레기오날리가 소속 시즌 포함[11] 승부차기 경기는 무승부 처리[PS/N]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PS/N]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14] 승부차기 경기는 무승부 처리[PS/N]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16] 승부차기 경기는 무승부 처리[PS/N]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PS/N]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21] 승부차기 경기는 무승부 처리.[PS/N]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