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19:01:07

커크 하인릭

파일:커크 하인릭.jpg
커크 하인릭
Kirk Hinrich
본명 커크 제임스 하인릭
Kirk James Hinrich
출생 1981년 1월 2일 ([age(1981-01-02)]세)
아이오와주 수시티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캔자스 대학교
신장 189cm (6' 2")
체중 84kg (185 lbs)
포지션 포인트 가드 / 슈팅 가드
드래프트 2003 NBA 드래프트 1라운드 7순위
시카고 불스 지명
소속 구단 시카고 불스 (2003~2010)
워싱턴 위저즈 (2010~2011)
애틀랜타 호크스 (2011~2012)
시카고 불스 (2012~2016)
애틀랜타 호크스 (2016)

1. 개요2. 아마추어 시절3. 선수 시절
3.1. 시카고 불스 1기3.2. 워싱턴 위저즈 시절3.3. 애틀랜타 호크스 1기3.4. 시카고 불스 2기3.5. 애틀랜타 호크스 2기
4. 여담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미국의 전직 농구선수로 터프한 수비와 장거리 슛을 무기로 삼은 시카고 불스의 프랜차이즈 선수였다.

별명은 캡틴 커크.[1]

2. 아마추어 시절

아이오와주 수시티에서 농구 선수 출신 짐 하인릭[2]과 어머니 낸시 하인릭 사이에서 둘째로 태어나 7살 때부터 농구 캠프에 참가하는 등의 경험을 살려 아버지가 코치로 재직했던 수시티 웨스트 고등학교에서 득점, 스틸, 어시스트 부문에서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다.

고등학교 졸업 후 캔자스 대학교로 진학한 첫 시즌에는 123개의 어시스트를 기록해 클라이드 로벨레트 최우수 선수상 수상, 이듬해 시즌에는 통산 어시스트 8위에 오른데다 3점슛 성공률 50.5%로 기록을 달성했다.

마지막 시즌에는 대학교 동기인 닉 콜리슨과 함께 NCAA 토너먼트 베스트 4에 공헌했지만 신입생이었던 카멜로 앤서니가 이끈 시라큐스 대학교와의 챔피언 결정전에서 패해 준우승에 머무르며 대학 4년을 마치고 전체 7순위로 시카고 불스에 입단했다.

3. 선수 시절

3.1. 시카고 불스 1기

첫 시즌에는 기본기와 탄탄한 플레이 메이킹, 리더십, 놀라운 수비력을 집중하면서 평균 12.0점, 6.8어시스트, 3점슛 성공률 39%로 좋은 기록을 세우며 올루키 퍼스트 팀에 선정되었다.[3] 특히 2004년 2월 28일에 열린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와의 홈경기에서 11점 12리바운드 10어시스트로 트리플 더블을 달성하는 기록을 세웠다.

이듬해 2004-05 시즌에는 주전 포인트 가드로 뛰며 드래프트로 들어온 벤 고든, 루올 뎅과 함께 팀의 중심이 되어 8년만에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했고, 2005-06 시즌에는 81경기를 선발로 출전해 평균 15.9점, 3.6리바운드를 기록한데 이어 야투 성공률 41.8%, 자유투 성공률도 81.5%로 커리어 하이를 기록하며 2년 연속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2008-09 시즌에는 1순위에 지명된 데릭 로즈에게 포인트 가드 자리를 빼앗겨 백업으로 전락했고, 엄지손가락 부상으로 시달리는 등 전년기보다 평균 이하의 기량이 떨어졌다.

3.2. 워싱턴 위저즈 시절

2010-11 시즌에는 17순위로 시카고 불스에 지명된 케빈 세라핀과 함께 블라디미르 벨레미에코와 맞바꾸는 트레이드를 통해 워싱턴 위저즈로 트레이드되어 존 월의 백업으로 뛰었으나 평균 11.1점, 4.4어시스트, 2.2리바운드를 저조한 성적을 남기고 애틀랜타 호크스로 트레이드되었다.

3.3. 애틀랜타 호크스 1기

애틀랜타에서의 첫 시즌은 동부 컨퍼런스 5번 시드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올랜도 매직과의 1라운드 6차전에서 햄스트링을 다쳐 시즌아웃되었고, 2년차 때는 다친 왼쪽 어깨의 영향으로 커리어 최저치인 평균 6.6점, 2.8 어시스트로 마무리했다.

3.4. 시카고 불스 2기

다시 불스로 돌아온 2012-13 시즌, 데릭 로즈가 잦은 부상으로 시즌아웃되면서 주전 포인트 가드로 나서 7.7점, 5.2어시스트, 2.6리바운드, 1.1스틸을 기록했고, 2013-14 시즌에 부상에서 복귀한 로즈가 10경기 만에 반월상 연골 파열로 시즌아웃되면서 다시 주전으로 나섰다. 시즌 초반에는 야투율과 3점슛이 많지 않아 고전했지만 올스타 브레이크 이후 엄청 향상되었다.

3.5. 애틀랜타 호크스 2기

하지만 2016년 2월 18일, 삼각트레이드를 통해 트레이드된 애틀랜타 호크스에서 11경기를 뛰고 선수생활에 마침표를 찍었다.

4. 여담

  • 농구 선수 이전에는 미식축구와 야구 선수로 뛰었다.
  • 선수 시절 롤모델은 게리 페이튼이었다.
  • 2010-11 시즌 중반부터 현역을 은퇴할 때까지 고글을 쓰고 뛰었는데 공격권을 가진 과정에서 왼쪽 눈에 맞으면 시력을 잃을 수 있다는 의료진의 말을 알고나서부터였다고 한다.
  • 선수 시절에는 일리노이주 배녹번에 거주했다가 은퇴 후에는 가족들과 함께 사우스다코타주 수폴스로 이사를 가 농구 강사로 제2의 인생을 살고 있다.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커크 하인릭의 수상 이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파일:FIBA 농구 월드컵 로고.svg
2006

베스트팀
파일:NBA 로고.svg
2nd : 2006-07
파일:NBA 로고.svg

시카고 불스 등번호 12번
케빈 올리
(2001~2002)
커크 하인릭
(2003~2010, 2012~2016)
대니얼 개퍼드
(2019~2021)
워싱턴 위저즈 등번호 12번
얼 보이킨스
(2009~2010)
커크 하인릭
(2010~2011)
오티우스 제퍼스
(2011)
애틀랜타 호크스 등번호 6번
마리오 웨스트
(2007~2009, 2010)
커크 하인릭
(2011~2012)
페로 안티치
(2013~2015)
{{{#fff [[애틀랜타 호크스|애틀랜타 호크스]] 등번호 12번}}}
존 젠킨스
(2012~2015)
커크 하인릭
(2016)
타우린 프린스
(2016~2019)
}}} ||
[1] 커크 선장을 뜻하며 스타트렉 시리즈의 주인공 제임스 T. 커크의 별명이다.[2] Jim Hinrich. 브라이어 클리프 대학교 출신으로 1969년 1월 9일 페루 주립대학교와의 경기에서 역대 단일 경기 최다 득점 기록인 40득점을 올렸고, 리바운드 337개를 기록해 역대 통산 리바운드 5위에 올랐다. #[3] 나머지 선수는 2003 드래프트 동기인 르브론 제임스, 드웨인 웨이드, 크리스 보시, 카멜로 앤서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