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겨 스케이팅 스핀 | ||||
업라이트 스핀 USp | 카멜 스핀 CSp | 싯 스핀 SSp | 레이백 스핀 LSp | 컴비네이션 스핀 CoSp |
컴비네이션 스핀 | |
시마다 마오의 체인지 풋 컴비네이션 스핀 레벨 4[1] | |
이름 | 컴비네이션 스핀(Combination Spin) |
약자 | CoSp |
유형 | 스핀 |
[clearfix]
1. 개요
컴비네이션 스핀은 말 그대로 여러 스핀 자세들의 조합이다. 레벨은 CoSp 바로 뒤에 숫자를 붙여서 CoSp4 처럼 표시한다.2. 지정 기술로서 컴비네이션 스핀
컴비네이션 스핀을 플라잉 도입으로 하면 앞에 FCoSp로 표시가 되고, 발을 바꾸면 CCoSp, 플라잉 도입과 함께 발을 바꾸면 FCCoSp로 표시된다. 싱글 종목에서 컴비네이션 스핀은 쇼트에서 한 번(CCoSp), 프리에서는 서로 다른 종류로 두 번까지 수행할 수 있다.3. 넌 베이직 포지션
넌 베이직(Non-Basic) 자세는 컴비네이션 스핀에서만 돌 수 있는 자세로 스핀을 분류하는 기본 카테고리인 업라이트, 카멜, 싯 3가지에 속하지 않는 중간 단계 자세를 말한다. 어려운 변형으로 수행할 때에는 스케이팅을 하는 다리를 구부려서 업라이트와 싯의 중간 격의 자세를 흔히 사용한다. 상체를 앞으로 135° 이상 기울여 한쪽 다리를 높게 휘두르며 도는 동작인 윈드밀(또는 일루전) 또한 업라이트와 카멜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넌 베이직의 어려운 변형 중 하나이다. 단 윈드밀은 다른 자세와 다르게 3회전을 유지해야 윈드밀을 수행했다고 인정받는다.4. 컴비네이션 스핀의 조건 및 평가
업라이트, 카멜, 싯 세 개의 기본 자세를 모두 인정받아야지만 온전한 컴비네이션 스핀으로 인정된다.과거의 싱글 스케이팅에서는 두 개의 자세만 있을 때 스핀을 인정해주지 않았지만[2] 현재는 컴비네이션 스핀으로 인정해주는 대신 V기호를 붙여 온전하지 못함을 표현하고 기초점과 가산점을 깎는다.
5. 레벨별 점수
점수 | |||||||||||
레벨 | -5-50% | -4-40% | -3-30% | -2-20% | -1-10% | 기초점 | +110% | +220% | +330% | +440% | +550% |
(F)CoSp | |||||||||||
(F)CoSp B | -0.75 | -0.60 | -0.45 | -0.30 | -0.15 | 1.50 | +0.15 | +0.30 | +0.45 | +0.60 | +0.75 |
(F)CoSp 1 | -0.85 | -0.68 | -0.51 | -0.34 | -0.17 | 1.70 | +0.17 | +0.34 | +0.51 | +0.68 | +0.85 |
(F)CoSp 2 | -1.00 | -0.80 | -0.60 | -0.40 | -0.20 | 2.00 | +0.20 | +0.40 | +0.60 | +0.80 | +1.00 |
(F)CoSp 3 | -1.25 | -1.00 | -0.75 | -0.50 | -0.25 | 2.50 | +0.25 | +0.50 | +0.75 | +1.00 | +1.25 |
(F)CoSp 4 | -1.50 | -1.20 | -0.90 | -0.60 | -0.30 | 3.00 | +0.30 | +0.60 | +0.90 | +1.20 | +1.50 |
(F)CoSpV | |||||||||||
(F)CoSp BV | -0.57 | -0.45 | -0.34 | -0.23 | -0.11 | 1.13 | +0.11 | +0.23 | +0.34 | +0.45 | +0.57 |
(F)CoSp 1V | -0.64 | -0.51 | -0.38 | -0.26 | -0.13 | 1.28 | +0.13 | +0.26 | +0.38 | +0.51 | +0.64 |
(F)CoSp 2V | -0.75 | -0.60 | -0.45 | -0.30 | -0.15 | 1.50 | +0.15 | +0.30 | +0.45 | +0.60 | +0.75 |
(F)CoSp 3V | -0.94 | -0.75 | -0.56 | -0.38 | -0.19 | 1.88 | +0.19 | +0.38 | +0.56 | +0.75 | +0.94 |
(F)CoSp 4V | -1.13 | -0.90 | -0.68 | -0.45 | -0.23 | 2.25 | +0.23 | +0.45 | +0.68 | +0.90 | +1.13 |
(F)CCoSp | |||||||||||
(F)CCoSp B | -0.85 | -0.68 | -0.51 | -0.34 | -0.17 | 1.70 | +0.17 | +0.34 | +0.51 | +0.68 | +0.85 |
(F)CCoSp 1 | -1.00 | -0.80 | -0.60 | -0.40 | -0.20 | 2.00 | +0.20 | +0.40 | +0.60 | +0.80 | +1.00 |
(F)CCoSp 2 | -1.25 | -1.00 | -0.75 | -0.50 | -0.25 | 2.50 | +0.25 | +0.50 | +0.75 | +1.00 | +1.25 |
(F)CCoSp 3 | -1.50 | -1.20 | -0.90 | -0.60 | -0.30 | 3.00 | +0.30 | +0.60 | +0.90 | +1.20 | +1.50 |
(F)CCoSp 4 | -1.75 | -1.40 | -1.05 | -0.70 | -0.35 | 3.50 | +0.35 | +0.70 | +1.05 | +1.40 | +1.75 |
(F)CCoSpV | |||||||||||
(F)CCoSp BV | -0.64 | -0.51 | -0.38 | -0.26 | -0.13 | 1.28 | +0.13 | +0.26 | +0.38 | +0.51 | +0.64 |
(F)CCoSp 1V | -0.75 | -0.60 | -0.45 | -0.30 | -0.15 | 1.50 | +0.15 | +0.30 | +0.45 | +0.60 | +0.75 |
(F)CCoSp 2V | -0.94 | -0.75 | -0.56 | -0.38 | -0.19 | 1.88 | +0.19 | +0.38 | +0.56 | +0.75 | +0.94 |
(F)CCoSp 3V | -1.13 | -0.90 | -0.68 | -0.45 | -0.23 | 2.25 | +0.23 | +0.45 | +0.68 | +0.90 | +1.13 |
(F)CCoSp 4V | -1.32 | -1.05 | -0.79 | -0.53 | -0.26 | 2.63 | +0.26 | +0.53 | +0.79 | +1.05 | +1.32 |
[1] 레벨 업 요소는 싯 비하인드(코크스크류)-포지션의 어려운 변경(싯 스핀>카멜 스핀)-카멜 포워드(하프 비엘만)-업라이트 스트레이트(I 스핀)이며 8회전 유지, 명확한 속도 증가라는 두 가지의 레벨 업 요소를 더 추가하여 가산점을 확보하였다.[2] 페어 스케이팅은 점수를 조금 받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