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72a3cc> |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2024-25 시즌 선수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23e63,#ddd | <colbgcolor=#72a3cc><colcolor=#fff> 감독 | 김태술 |
코치 | 김강선 · 박찬희 | |
스태프 | 수석 트레이너 윤유량 · 트레이너 조승현 · 안정현 · 머레이 · 전력 분석 임기웅매니저 박건호 · 통역/국제업무 김정래 · 전력분석/국제업무 손창환 · 국제 스카우터 카바노 · 실장 박석조 | |
가드 | 0 민기남 · 2 조은후 · 3 박종하 · 4 이재도 · 5 홍경기 · 6 이정현 · 8 김도은 · 12 백지웅 · 55 김진유 | |
포워드 | 1 유진 · 7 함준후 · 9 정희재 [[주장| C ]] · 13 임동섭 · 14 이근준 · 20 문시윤 · 24 김영훈 · 28 켐바오 · 31 서동원 · 43 정성조 · 77 최승욱 | |
센터 | 27 카바 · 30 번즈 · 51 박진철 | |
군 입대 | 2023년 입대 조석호 · 조승원 · 2024년 입대 조재우 · 안정욱 | |
타 한국프로농구 구단 명단 | ||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선수단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케빈 켐바오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등번호 28번 | ||||
팀 창단 | → | 켐바오 (2024~) | → | 현역 |
<colbgcolor=#72a3cc><colcolor=#ffffff>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No. 28 | ||
GOYANG SONO SKYGUNNERS | ||
<bgcolor=#ffffff,#191919> | ||
케빈 켐바오 Kevin Quiambao | ||
출생 | 2001년 4월 22일 ([age(2001-04-22)]세) | |
국적 | [[필리핀| ]][[틀:국기| ]][[틀:국기| ]] | |
신체 | 키 192cm|체중 97kg | 윙스팬 208cm | |
포지션 | 포워드 | |
학력 | 드라살 대학교 (2024년 졸업) | |
KBL 입단 | 2024년 아시아 쿼터 자유계약 (고양 소노) | |
소속 |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2024~ ) |
[clearfix]
1. 개요
필리핀의 농구 선수로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소속 아시아 쿼터 포지션은 포워드.2. 선수 경력
2.1. 대학 시절
대학 시절부터 이미 필리핀 농구계에서 주목받던 대형 유망주였다. 2022년 대학에 입학한 뒤 만 19세의 나이에 국가대표로 출전하여 한국 대표팀과 평가전을 치른적이 있으며, 2023년과 2024년 모두 필리핀 대학 리그 MVP를 수상했으며 2023년에는 모교를 대학 챔피언에 올렸다.그렇기 때문에 한국 농구팬들에게 주목을 받았는데, 2023-24시즌 이후부터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와 구두 계약을 했다는 썰이 돌기 시작했다. 실제로 이에 대한 얘기가 나오자 일단 켐바오 본인은 대학 리그에 집중하겠다는 답변을 남겼다. 그리고 2024년 역시 대학 리그 파이널까지 올랐지만 아쉽게도 필리핀 대학교에게 패배했다.[1]
2.2.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대학 리그를 마친 뒤 2024년 12월 16일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가 공식적으로 3년 계약으로 맺으며 프로 무대를 밟게 되었다. 공식적으로 비자 문제가 해결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라 실제로는 2025년 1월부터 출장할 전망.이후 2025년 1월 12일 SK와의 홈경기에서 드디어 KBL 데뷔전을 치렀는데, 6분 56초 출장해서 3점슛 2개를 성공시키면서 좋은 출발을 알렸으나 이후 2쿼터 도중 3점슛 시도 과정에서 이를 수비하던 오세근의 발을 밟고 넘어지며 발목이 돌아가는 부상을 당해 결국 경기에서 빠지고 말았다.[2]
13일 정밀 검사 결과 4주 진단을 받았다고 한다. 소노 입장에서는 가뜩이나 이정현도 빠져있는 상황에서 절망적이라고 할 수 있다.
1월 28일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와의 경기에서 복귀해서 14득점 4리바운드 5어시스트를 기록했으나 팀은 69-94로 대패했다.
1월 31일 입단 이후 첫 원정경기 출전이었던 수원 kt 소닉붐 전에서 18득점 8리바운드 2어시스트를 기록했으나 팀은 4쿼터에 리드를 지키지 못하고 역전패했다.
2월 2일 원주 DB와의 홈 경기에서 36분을 소화하며 36득점 12리바운드 3어시스트 2스틸의 맹활약을 펼치며 86:82로 팀 승리를 이끌었다. 켐바오의 36득점은 아시아쿼터 선수 기준으로 창원 LG 칼 타마요의 37점에 이어 공동 2위 기록이다.
3. 플레이 스타일
기본적으로 아이솔레이션 플레이를 선호하지만 때론 패턴 플레이에도 능숙하며, 포인트포워드로 팀 동료가 득점을 할 수 있도록 눈이 번쩍이는 A 패스를 잘 넣어준다. 여기에 강점인 운동능력을 이용한 페이스 업 득점과 스텝 백 3점 슛이 주된 득점 루트이다.다만 볼 핸들링이 좋은 편은 아니어서 가끔 볼을 흘리며 트랩디펜스에 취약한 모습을 보여주며, 기본적으로 슛을 많이 던지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야투율이 떨어진다.
현재까지 켐바오와 가장 비슷한 스타일을 가진 선수로는 최준용이 꼽힌다. 그렇기 때문에 별명이 필준용.
4. 시즌별 성적
역대 성적 | ||||||||||
시즌 | 소속팀 | 경기수 | 2점슛 | 3점슛 | 자유투 | 득점 | 리바운드 | 어시스트 | 스틸 | 블록슛 |
2024-25 | 소노 | |||||||||
KBL 통산 (1시즌) |
5. 여담
- 23살의 나이에 2세가 생겼다.
- 필리핀 현지에서는 LG 세이커스의 칼 타마요보다 인기가 더 많다.
- 아시아 쿼터 선수들 중 영어 발음이 가장 안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