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6 17:29:40

키로프(함대 컬렉션)


함대 컬렉션
칸무스 {{{#!folding 해외함 칸무스 해외함 칸무스 퀵링크
독일함
미국 대형함
미국 소형함
이탈리아함
소련함
영국함
기타
}}} ||<|100><bgcolor=#dd0000> ||
바옌나-마르스코이 플롯 СССР
Военно-морской флот СССР
{{{#!folding [ 함선 리스트 ] 타슈켄트급 선도구축함
проекта 20И
네임쉽 파일:Tashkent_Banner.png
타슈켄트

Ташкент
아카츠키급(전후배상함)
Верный
네임쉽 파일:Верный_Banner.png
베르니

Верный
키로프급 순양함
проекта 26
1번함 파일:Ship_Banner_Kirov.png
키로프

Киров
강구트급 전함
типа «Севастополь»
1번함 파일:ㄱㄱㅌ2.png
강구트 → 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

Гангут → Октябрьская революция*
2번함 페트로파블로프스크 → 마라
Петропавловск → Марат
*
3번함 세바스토폴 → 파리쥐스카야 코뮤나
Севастополь → Парижская коммуна
*
4번함 폴타바 → 프룬제
Полтава → Фру́нзе
*
* Октябрьская революция: 10월 혁명
* Марат: 장 폴 마라
* Парижская коммуна: 파리 코뮌
* Фру́нзе: 미하일 프룬제
}}} ||


파일:1000132050.png 파일:1000132051.png
기본 중파



1. 소개2. 소개3. 캐릭터성4. 성능5. 기간한정 일러스트
5.1. (기간한정 일러스트명)
6. 획득 해역7. 대사
7.1. 기본 대사
8. 대사
8.1. 기본 대사8.2. 시보8.3. 기간 한정 추가 대사
9. 애니메이션10. 2차창작 및 기타

1. 소개

[ 키로프 ]
[include(틀:함대 컬렉션/캐릭터/데이터시트,
카드=,
도감넘버=,
함명=,
일어=,
함급=,
함종=,
함번=,
내구=,
화력=,
장갑=,
뇌장=,
회피=,
대공=,
탑재=,
대잠=,
속도=,
색적=,
사거리=,
운=,
연료=,
탄약=,
초기장비1=, 탑재1=,
초기장비2=, 탑재2=,
초기장비3=, 탑재3=,
초기장비4=, 탑재4=,
초기장비5=, 탑재5=,
)]
개장차트
키로프→ 키로프改(Lv65)
도감설명
北の国の海軍でイタリアの技術を導入して建造された、キーロフ級巡洋艦、その一番艦だ。ソ連邦新時代の巡洋艦として建造され、バルチック艦隊に配備、レニングラード防戦では陸軍を支援して、その防衛に貢献することになる。対地攻撃が多かった艦生だったな。

북쪽 나라의 해군에서 이탈리아의 기술을 도입해 건조한 키로프급 순양함, 그 1번함이다. 소련 신시대의 순양함으로 건조되어 발틱 함대에 배치, 레닌그라드 공방전에서 육군을 지원하고, 그곳의 방위에 공헌했지. 대지공격이 많은 함생이었어.
일러스트레이터 지지 성우 ?????

2. 소개

함대 컬렉션에 등장하는 칸무스로, 2025년 봄 이벤트 전단작전 '홋카이도 방위작전'에서 등장했다. 2018년에 등장한 타슈켄트 이후로 무려 7년만에 실장된 신규 소련 칸무스이다.

3. 캐릭터성

털털하면서도 활기찬 타슈켄트, 텐류와 비슷한 누님 속성이 있는 강구트에 비해 상당히 차갑고 진지하다 1인칭은 와레, 2인칭은 귀공이라고 칭하며 말투도 상당히 고풍스러운 편

성우가 러시아어 전문은 아니었던 지라 발음은 안 좋은 편이다.

시보를 보면 의외로 보드카나 다른 술등을 좋아하는 누님 속성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4. 성능

원본 함급이 경순양함으로도, 중순양함으로도 볼 수 있는 애매한 포지션이었기 때문에 전투시 아이콘은 '巡洋' 으로 출력되지만, 시스템상으로는 완전히 경순양함으로 취급된다. 기본 3슬롯, 개장 4슬롯이라는 해외 대형 경순양함 칸무스의 특성도 그대로 공유하며, 스탯은 이탈리아 경순양함을 참고한 것을 반영하여 루이지 디 사보이아 두카 델리 아브루치와 상당히 유사하다. 화뇌합과 운도 나쁘지는 않아 제한적인 조건 하에서는 컷인으로 활약하는 것도 불가능은 아닌 수준.

다만 1차 개장시에 해외함최신기술을 요구한다는 치명적인 부담이 있지만, 일단 2025년 이벤트 당시에는 丁 난이도까지 해외함최신기술을 배포하여 개장 문제 자체는 해결되었다. 문제는 훨씬 성능과 활용도가 뛰어난 리슐리외 deux가 있기에, 만약 지난해 이벤트에서 얻어둔 해외함최신기술이 하나도 없다면 우선순위가 자연스레 밀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

5. 기간한정 일러스트

5.1. (기간한정 일러스트명)

(개장여부)
width=100% width=100%
기본 중파

6. 획득 해역

2025년 봄 이벤트 '홋카이도 방위작전' E-3 해역의 돌파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7. 대사

7.1. 기본 대사

8. 대사

8.1. 기본 대사


8.2. 시보


8.3. 기간 한정 추가 대사


9. 애니메이션

10. 2차창작 및 기타

칸코레에 등장한 소련 칸무스 중 최초로 '소련에서 건조된' 칸무스가 되었다. 전후배상함인 베르니[1]는 일본에서, 타슈켄트는 이탈리아에서 건조되었고, 강구트는 러시아 제국 시기에 건조된 칸무스이기 때문.

그동안 이탈리아 칸무스만 그려오던 지지가 그린 첫 소련함이기도 하다. 사실 소련과 이탈리아는 타슈켄트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2차대전 이전에는 상당히 해군 교류가 활발했고, 종전 이후에도 콘테 디 카보우르급 전함 2번함 줄리오 체자레 등을 보상함으로 인수해가는 등 나름 인연이 있어서 뽑힌 게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외부적으로는 야도카리가 실질적인 은퇴[2]를 한 상태라, 그나마 소련과 연관이 있는 이탈리아 담당인 지지가 맡게 된 것으로 보인다. 만약 야도카리가 계속 작업을 맡았다면 키로프 역시 타슈켄트처럼 야도카리가 맡았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이름 덕분에 국내외로 레드얼럿 시리즈키로프 비행선과 엮이는 드립과 그림이 나오는 중이다.

이름의 어원은 세르게이 키로프에서 따왔다.

강구트와 타슈켄트 그리고 베르니도 그랬지만 이쪽 성우의 러시아어 발음도 은근히 안 좋은 편이다.[3]

강구트가 히비키를 꼬맹이로 언급하는 반면 이쪽은 카야를 바레보이로 정확하게 불렀다.
[1] 넓게 본다면 EK-31, 바레보이, 보스로슈존누이[2] 2024년 말에 오랫만에 애쉬암즈의 5주년 축전을 그리면서 생존 신고는 했지만 복귀는 하지 않았다.[3] 정작 전후 배상함인 시무슈와 카야는 러시아어를 구사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