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0 22:40:58

키리시마가 동아리 활동 그만둔대

역대 일본 아카데미상
파일:japan-academy-prize.png
최우수 작품상
제35회
(2012년)
제36회
(2013년)
제37회
(2014년)
8일째 매미 키리시마가 동아리 활동 그만둔대 행복한 사전
키리시마가 동아리 활동 그만둔대 (2012)
桐島、部活やめるってよ | The Kirishima Thing
파일:키리시마가 동아리 활동 그만둔대.jpg
감독 요시다 다이하치
각본 키야스 코헤이
원작 아사이 료 - 소설 《내 친구 기리시마 동아리 그만둔대》[1]
제작 키타지마 카즈히사, 에다미 요코
출연 카미키 류노스케
하시모토 아이
히가시데 마사히로
오고 스즈카
야마모토 미즈키
장르 학원, 드라마, 스포일러
음악 콘도 타츠오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쇼게이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주)마운틴픽쳐스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2년 8월 1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년 6월 26일
상영 시간 103분
스트리밍
[[넷플릭스|
NETFLIX
]]
#!if 링크 != null
[[https://www.netflix.com/title/|▶]]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www.netflix.com/title/|▶]]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www.netflix.com/title/|▶]]
#!if 주석2 != null
^^^^



국내 등급 파일:영등위_15세이상_초기.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예고편3. 시놉시스4. 등장인물5. 사운드트랙
5.1. 삽입곡
6. 평가7. 여담

1. 개요

戦う、ここが俺たちの世界だ。
俺たちはこの世界で生きていかなければならないだから。
싸우자, 이 곳이 우리들의 세계다.
우리들은 이 세계에서 살아가야만 하니까.
역대 최연소로 나오키상을 수상한 작가 '아사이 료'의 소설 《내 친구 기리시마 동아리 그만둔대》를 원작으로 하는 일본 영화.

2013년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작품상 수상작이다.

2. 예고편

▲ 예고편

3. 시놉시스

그 날 이후, 우리의 세상은 무너졌다!
평소와 다를 바 없는 금요일 방과 후. 학교 최고의 인기인 '키리시마'가 배구부를 그만뒀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평온했던 교내가 술렁이기 시작한다. 배구부원들과 친구들은 혼란에 빠지고, 서서히 이들의 감정에 미묘한 기류가 흐른다. 그러던 중 '키리시마'와는 가장 먼 존재였던 영화부 마에다가 움직이게 되고, 이야기는 전혀 엉뚱한 방향으로 흘러가게 되는데...

4. 등장인물

<nopad> 파일:000a34c27697e684c745b46e4d0d1826.jpg <nopad> 파일:c368c1b924d3e8501571069e0bf8f3c2.jpg
<nopad> 파일:549a05c55f211afbdeabae0a989ab6f4.jpg <nopad> 파일:405b3f544af9dd65ccab648013fc495c.jpg
캐릭터 포스터
이 작품은 군상극으로, 캐릭터의 비중 분배가 골고루 이루어져있어서 한명을 콕 집고 주인공이라고 하기 어렵다. 주로 마에다를 주인공으로, 그와 대비되는 히로키를 또 다른 주인공으로 본다.
  • 타케후미 - 마에다 토모야
    영화부. 마에다의 절친이며 영화부의 부부장과 같은 역할을 맡고 있다.
  • 이이다 리사 - 야마모토 미즈키
    귀가부. 키리시마의 여자친구이자 학교 최고 인기녀이다. 키리시마가 갑자기 모든 연락을 끊고 학교와 학원에도 나오지 않자 혼란을 겪는다.
  • 사나 - 마츠오카 마유
    귀가부. 리사 일행 중 한명으로, 히로키의 여자친구이다.
  • 미야베 미카 - 시미즈 쿠루미
    배드민턴부. 리사 일행 중 한명으로, 배드민턴 천재였으나 사고로 죽은 언니가 있다.
  • 류타 - 오치아이 모토키
    귀가부. 히로키의 친구.
  • 쿠보 코스케 - 스즈키 노부유키
    배구부 주장. 원래는 부주장이었으나 키리시마의 탈퇴로 갑작스레 부장 역할을 맡게 된다.
  • 코이즈미 후스케 - 나카노 타이가
    배구부. 키리시마가 동아리를 그만둔 후 갑작스레 리베로 역할을 맡게 된다.
  • 캡틴[2] - 타카하시 슈헤이
    야구부. 작중 주요인물 중 유일한 3학년이다. (나머지는 모두 2학년.)

==# 줄거리 #==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

월요일

화요일

제목과 달리 키리시마는 단 한번도 제대로 나오지 않으며, 대사 하나 없이 후반부에 옥상에서 아주 잠깐 목격될 뿐이다. 유일하게 키리시마를 가까이서 본 게 그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던 마에다라는 것이 아이러니.

5. 사운드트랙

유튜브 재생목록

총 세 곡으로, 절반 이상이 취주악부와 관련된 음악이다.

5.1. 삽입곡

陽はまた昇る(태양은 다시 떠오른다)
영화 '키리시마가 동아리 활동 그만둔대'의 주제가.

주연 카미키 류노스케가 연기하는 영화부 마에다의 "그 후"가 그려진 작품. 감독 요시다 다이하치
유튜브 뮤직비디오 설명.
타카하시 유우의 싱글앨범 陽はまた昇る가 엔딩곡으로 삽입되었다. 비가 결국 그치고 해가 다시 떠오르듯이 희망이 보이지 않아도 포기하지 않고 나아가라는 내용의 가사. 어찌보면 영화를 요약하는 음악이다. 해당 음악의 뮤직비디오는 영화의 미래 시점을 다룬 내용이기 때문에 영화를 다 본 후 뮤직비디오를 보기를 추천한다. 뮤직비디오의 감독도 영화의 감독인 요시다 다이하치다.

마에다 역의 카미키 류노스케가 피자 배달부 아르바이트생 역으로 등장. 영화 이후 성인이 된 시점으로 추측된다. 피자 배달을 하러 녹음 스튜디오에 갔다가 타카하시 유우가 열정적으로 음악을 연주하는 것을 듣게 되며 과거의 기억(열정적으로 영화부 활동을 하던)을 되살린다는 내용이다.

====# 가사 #====
가사 출처
陽はまた昇る
自分だけが置いてけぼりを喰らっているような気がする
지분다케가오이테케보리오쿠랏테이루요-나키가스루
자신만이 홀로 남겨진것 같은 기분이 들어

誰かがこっちを指差して笑っているような気がする
다레카가콧치오유비사시테와랏테이루요-나키가스루
누군가가 이쪽을 손가락질 하면서 웃고있는 기분이 들어

同じような孤独を君も感じてる?
오나지요-나코도쿠오키미모칸지테루?
같은 고독을 너도 느끼고 있어?

愛も平和もなにもかも他人事のように聞こえる淋しさを
아이모헤-화모나니모카모히토코토노요-니키코에루사비시사오
사랑도 평화도 모두 남의 일과 같이 들리는 외로움을

移ろい行く人の世を さんざめく時代を
우츠로이이쿠히토노요오 산자메쿠지다이오
변해가는 세상을 요란스러운 시대를

憂いて受け入れて 次はどこへ行く
우레이테우케이레테 츠기와도코에이쿠
우려하면서 받아들이면서 다음은 어디로 가는걸까

愛しき人よ どうか君に幸あれ
이토시키히토요 도-카키미니사치아레
사랑스러운 사람아 부디 너에게 행복이 가득하길

たとえ明日を見失っても 明けぬ夜はないさ
타토에아스오미우시낫테모 아케누요루와나이사
비록 내일이 보이지 않아도 밝아오지 않는 밤은 없어요



後ろから「早く行け」と急かされながら前に踏み出してる
우시로카라[하야쿠이케]토세카사레나가라마에니후미다시테루
뒤에서 [빨리 가]라는 재촉을 들으면서 앞으로 나아가고 있어요

前の人が「押すな」と言わんばかり振り向きざまこっちを睨んでる
마에노히토가[오스나]토이완바카리후리무키자마콧치오니란데루
앞의 사람이 [밀지마]라고 말하면서 뒤돌아서서 여길 노려보고 있어요

同じような窮屈を君も感じてる?
오나지요-나큐쿠츠오키미모칸지테루?
같은 거북함을 너도 느끼고 있어?

不幸せばっか拾い集めなきゃいけないような淋しさを
후시와세밧카히로이아츠메나캬이케나이요-나사비사오
불행만 가까이 하지 않으면 안될 것 같은 외로움을

遥か彼方に射す 光を浴びたくて
하루카카나타니사스 히카리오아비타쿠테
아득히 저 멀리 비치는 빛을 쬐고 싶어서

我先に我を失い 今も尚奪い合うよ
와레사키니와레오우시나이 이마모나오우바이아우요
내 미래에 나를 잃고 지금도 계속 서로 빼앗고 있죠

愛しき人よ どうか泣かないでくれ
이토시키히토요 도-카나카나이데쿠레
사랑스러운 사람아 부디 울지 말아요

たとえ今が土砂降りでも 止まぬ雨はないよ
타토에이마가도샤부리데모 야마누아메와나이요
비록 지금 비가 억수같이 쏟아져도 그치지 않는 비는 없어요



「どんなにあがいてみても なんも変えられやしないなら
[돈나니아가이테미테모 난모카에라에라레야시나이나라
[아무리 몸부림 쳐봐도 아무것도 바뀌지 않을것 같다면

最初から諦めた方が賢明」
하나카라아키라메타호-가켄메이]
처음부터 포기하는 편이 현명]

口々に嘆きながらも僕ら歩いてる
쿠치구치니나게키나가라모보쿠라아루이테루
각자가 한탄하면서도 우리들은 걷고 있어요

あの丘の向こう側にその胸躍らせながら
아노오카노무코-가와니소노무네오도라세나가라
저 언덕의 저편으로 그 가슴을 뛰게하면서



選ばれし才能も お金も地位も名誉も
에라바레시사이노모 오카네모치이모메이요모
선택받은 재능도 돈도 지위도 명예도

持っていたっていなくたって 同じ空の下
못테이탓테이나쿠탓테 오나지소라노시타
가지고 있다고 없다고 해도 같은 하늘 아래

愛しき人よ ほら見渡してみて
이토시키히토요 호라미와타시테미테
사랑스러운 사람아 한번 바라봐봐요

尊い今というときを 陽はまた昇るさ
토-토이이마토이우토키오 히와마타노보루사
소중한 지금이라는 시간을 태양은 또 떠올라요

移ろい行く人の世を さんざめく時代を
우츠로이이쿠히토노요오 산자메쿠지다이오
변해가는 세상을 요란스러운 시대를

憂いて受け入れて 次はどこへ行く
우레이테우케이레테 츠기와도코에이쿠
우려하면서 받아들이면서 다음은 어디로 가는걸까

愛しき人よ どうか君に幸あれ
이토시키히토요 도-카키미니사치아레
사랑스러운 사람아 부디 너에게 행복이 가득하길

たとえ明日を見失っても 明けぬ夜はないさ
타토에아스오미우시낫테모 아케누요루와나이사
비록 내일이 보이지 않아도 밝아오지 않는 밤은 없어요
==# 원작과의 차이점 #==
  • 국내 정발판은 외래어 표기법이 적용되어서 등장인물 이름이 대부분 약간씩 다르다. 리시마, 쿠치, 모히로 등.

6. 평가

희망 없이도 행복할 수 있다는 것.
이동진 (★★★★☆) 영화당리뷰
휘말리고 부대껴야 청춘
박평식 (★★★)

7. 여담


[1] 한국 정발판 제목.[2] 작중 이름이 언급되지 않으며, 캡틴은 엔딩 크레딧에 표기된 배역의 이름이다.[스포일러] 중반부에 1989년 영화 "철남 테츠오"를 마에다가 보러 가는데, 흑백으로 나오긴 하지만 영화가 많이 잔혹하다. 후반부, 마에다의 상상 속 좀비 영화 촬영을 보여주는데, 좀비에 의해 다리가 뜯기고, 내장이 나오고, 팔이 뜯기고, 목덜미를 물어뜯기는 등의 장면이 여과없이 나온다. 피를 과장되게 흘려서 덜 잔인하게 보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