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22:19:30

타르보사우루스(한반도의 공룡 시리즈)


파일:스크린샷 2021-01-10 오후 10.26.08.png
파일:스크린샷 2021-01-10 오후 10.26.20.png
한반도의 공룡에서의 모델링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500px-Fullsizephoto218512-1-.jpg파일:스크린샷 2021-01-11 오전 1.06.31.png
극장판 모델링 극장판 공식 소개


1. 개요

한반도의 공룡 시리즈에 등장하는 타르보사우루스들. 이 시리즈의 주인공인 점박이가 속한 종이다.

2. 개체 목록

2.1. 한반도의 공룡

2.2.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3D

2.3.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2: 새로운 낙원

3. 복원 오류

  • 다큐판, 극장판 공통
    • 테리지노사우루스와 공존한 것은 사실이지만 실제론 7천만년 전 쯤에 등장했고 당연히 한반도에 살지는 않았다.
    • 이 시리즈에 등장하는 고생물들 중 테리지노사우루스사이카니아, 카로노사우루스, 사우롤로푸스, 갈리미무스를 제외하면 그 어떤 동물들과도 공존하지 않았다.
    • 특유의 포효와 같은 소리를 내는데 실제 공룡은 그런 큰 소리를 내는 기관이 따로 없어 새나 악어 같은 소리만 낼 수 있었다.[1]
    • 이 시리즈에 등장하는 모든 수각류 공룡들에게 해당되는 사항으로, 앞발이 서로 마주보는 구조로 복원되어 있지 않다. 다만 영화 1편 한정으로 어느 정도 구현되었다.
    • 걸을 때 발에서 쿵쿵거리는 소리가 나는데 수각류는 발바닥의 조직이 부드럽고 충격을 분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걸을 때 큰 소리가 나지 않았을 것이다.[2]
  • 다큐판
    • 타르보사우루스의 치악력이 7톤에 달한다고 언급되는데, 실제로는 2021년 연구 기준 4톤 이하로 추정되고 있다. 물론 이 정도만 해도 굉장히 강한 수준으로 티라노사우루스처럼 충분히 먹잇감의 뼈를 부술 수 있는 힘이다.[3]
    • 어미 타르보사우루스의 몸길이가 13m라고 나오는데 이는 티라노사우루스 중에서도 큰 개체만 도달할 수 있었던 크기라 그보다 훨씬 작은 타르보사우루스는 도달할리가 없다. 실제 몸길이는 10~11m 내외였다고 한다. 또한 몸무게가 7톤에 이른다고 나오는데[4] 이는 티라노사우루스의 평균 몸무게(6~7톤)에 육박하는 것이고 프로필상 몸길이인 14m에 비해선 꽤 저체중이다. 실제 체중은 최대 4~5톤 정도였다.
    • 점박이가 건기 도중 70cm에서 150cm까지 자랐다고 나오고 5살 때에 막 청소년기에 접어들었다는 듯이 묘사했지만 근연종인 티라노사우루스가 10살이 넘어서야 5미터 넘게 큰다는 것을 감안하였을 때에 잘못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극장판에서도 이어진다.
    • 작중 두상은 쥬라기 공원 시리즈에 등장하는 티라노사우루스에 가깝게 복원되었는데 현생 동물로 비유하자면 구름표범의 얼굴을 스밀로돈 수준으로 두개골을 과장시킨 호랑이의 얼굴 모양과 유사하게 표현한 셈이다. 이미 메이킹 필름에서 자문위원으로 초청되었던 허민 교수가 두 공룡들 간의 두개골 간격 차이를 설명했다고 보여주었는데도 불구하고 이렇게 나온 것을 보면 의도적으로 무시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arbosaurus_and_Tyrannosaurus.jpg
    • 다행히 새끼 타르보사우루스의 두상은 실제 화석에 가깝게 복원되었는데 아무래도 우연의 일치인 듯하다.
      파일:스크린샷 2021-02-14 오후 3.29.01.png
    • 성체 타르보사우루스의 이빨이 악어처럼 불규칙하게 자라나 있다.
  • 극장판
    • 실제 공룡보다 머리가 너무 크고 두껍게 복원되었고[5] 성체와 새끼 둘 다 악어 가죽 같은 비늘이 등 위를 덮고 있는데 실제 타르보사우루스를 비롯한 티라노사우루스과는 물론 다른 육식공룡들에게도 이런 특징은 발견된 적이 없다.
    • 티라노사우루스류에 속하는 공룡들이 현생 포유류처럼 체계적인 무리 사냥을 했는지에 관해선 아직 확실한 답안이 없으며, 그나마 단체로 발견된 화석도 알베르토사우루스, 다스플레토사우루스와 (추정상) 테라토포네우스 외에는 발견된 기록이 없다.
    • 작중에서 토로사우루스의 목을 물고 던져버리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는 타르보사우루스보다 체급에 훨씬 큰 티라노사우루스도 불가능한 일이며, 타르보사우루스는 신체 특성상 토로사우루스같은 대형 뿔 공룡을 사냥하기가 어렵다.[6] 무엇보다도 타르보사우루스는 몽골에서, 토로사우루스는 북미에서 살았기 때문에 만날 일이 없다.
    • 극장판에서 애꾸눈을 꼬리로 칠 때 꼬리가 유연하게 꺾이는데, 실제 수각류들의 꼬리는 상당히 뻣뻣해 이런 동작이 불가능하다.

4. 기타

  • 이 시리즈의 제작자이자 감독인 한상호 감독이 제일 좋아하는 공룡인지 그가 집필을 맡은 매체에선 모두 타르보사우루스가 주인공이다. 심지어 그의 자작 소설인 공룡전사 빈에서도 이러하다.
  • 극장판 시리즈의 암컷 타르보들은 모두 험한 꼴을 당한다. 어미와 쌍둥이 누나들은 절벽에 떨어져 죽고, 푸른눈은 매번 애꾸눈에게 당하다가 부상으로 죽고 벨로키랍토르들의 먹이가 되었으며 둘째는 화산폭발로 피신하던 도중 바위에 깔려 가족들 중 제일 먼저 사망했다. 송곳니는 카르노들의 물량공세 때문에 패배한다.
  • 다큐판에서 논란거리가 극장판보다 많은 편이다.

[1] 이건 공룡이 등장하는 작품 대다수에 해당하는 오류이다.[2] 이것도 공룡이 등장하는 작품에 매번 등장하는 오류이다.[3] 다만 작품이 등장한 시기를 감안한다면 당시에는 공룡 화석의 복원이 원활하지 않아서일 수도 있다.[4] 하지만 프로필 상으로는 4~5톤이라고 나온다.[5] 위의 사진에서처럼 실제 타르보사우루스는 두개골이 티라노사우루스에 비해 좁은 형태였다.[6] 일단 체급 면에서 타르보사우루스는 최대 4~5톤 정도이고 토로사우루스는 4~6톤 정도로 체급에서 우위를 가지지 못한다. 또한 괴물같은 신체능력 덕에 각룡류의 뿔을 피해 빠르게 몸을 틀어 옆에서 목덜미를 물거나 사기적인 턱힘과 목 근육을 아용해 두꺼운 프릴을 부술 수 있던 티라노사우루스와 달리 타르보사우루스는 티라노에 비해 피지컬이 한참 부족한지라 티라노처럼 사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7] 사실 기가노토사우루스를 잘못 소개한 것이다. 다만 우습게도 Dinosaur Planet의 공식 웹사이트에선 이 녀석을 여전히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로 칭했다는 점...[8] 참고로 성체 타르보사우루스들이 이 효과음을 극장판에선 안 썼다가 어째서인지 그 극장판의 후속작에서 다시 쓴다. 원작다큐의 느낌을 그대로 살리기 위해서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