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타이완 시리즈|2023년 타이완 시리즈]] 로고 |
1. 개요
台灣大賽, Taiwan Series대만 프로야구 리그의 최종 승자를 가리는 경기. 원년인 1990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상위권의 2개 팀이 모여, 4선승제로 진행하며 우승팀을 가린다. 개최 방식은 대만프로야구가 이런저런 사정으로 수시로 팀 수가 늘었다 줄었다 해왔기 때문에(...) 역사가 짧은 데도 불구하고 꽤나 많이 바뀌었다.
2002년까진 중화 직업야구 연맹 연간왕자 결승전[1]이라는 명칭이었고 때문에 우승 구단도 연간왕자(年間王者)란 명칭으로 불렀으나 2003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했다.
2. 개최 방식
개최 방식은 꽤 많이 바뀌었지만 기본 4선승제는 똑같다. 또 시리즈 명칭은 쉬운 이해를 위해 타이완 시리즈로 통일한다.연도 | 진행 방식 |
1990년 ~1997년 | 전/후기 우승팀이 다를 경우, 전/후기 우승팀이 타이완 시리즈에 출장해 최종승자를 겨루며, 전/후기 전부 같은 팀이 우승했을 경우 시리즈를 개최하지 않고 전/후기 우승팀을 그 해의 최종 우승팀으로 정함. |
1998년 ~1999년 | 시즌이 전/후기로 나뉘지 않고 단일시즌으로 치러진 유일한 시기이며, 시즌 승률 2, 3위 팀이 2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러 플레이오프 우승팀이 시즌 승률 1위 팀과 타이완 시리즈에서 격돌해 최종승자를 겨룬다. |
2000년 ~2004년 | 전/후기 우승팀이 다를 경우, 전후기 우승팀이 타이완 시리즈에 출장해 최종승자를 겨루며, 전/후기 전부 같은 팀이 우승했을 경우 전/후기 우승팀과 시즌 승률 2위 팀이 타이완 시리즈에 출장해 최종승자를 겨룸. 이때 전/후기 우승팀에겐 1승 어드밴티지를 준다. |
2005년 ~2008년 | 전/후기 우승팀이 다를 경우, 전/후기 우승팀 중 시즌 승률이 낮은 팀과 전/후기 우승팀 이외의 팀들 중에서 시즌 승률이 가장 높은 팀(와일드카드 획득팀)이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러 플레이오프 우승팀이 전/후기 우승팀 중 승률이 높은 팀과 타이완 시리즈에서 격돌해 최종승자를 겨루며, 전/후기 전부 같은 팀이 우승했을 경우엔 시즌 승률 2, 3위 팀이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러 플레이오프 우승팀이 전/후기 우승팀과 타이완 시리즈에서 격돌해 최종승자를 겨룸. |
2009년 ~2021년 | 전/후기 우승팀이 다를 경우, 그 중 한 팀이 시즌 승률 1위일 경우엔 전/후기 우승팀이 타이완 시리즈에 출장해 최종승자를 겨루며, 어느 팀도 시즌 승률 1위가 아닐 경우[2]엔 전/후기 우승팀 중 시즌 승률이 낮은 팀과 시즌 승률 1위 팀이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러 플레이오프 우승팀이 전/후기 우승팀 중 승률이 높은 팀과 타이완 시리즈에서 격돌해 최종승자를 겨룸. 전/후기 전부 같은 팀이 우승했을 경우, 시즌 승률 2, 3위 팀이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러 플레이오프 우승팀이 전/후기 우승팀과 타이완 시리즈에서 격돌해 최종승자를 겨룸. 이때 전/후기 우승팀에겐 1승 어드밴티지를 준다. |
2022년 ~현재 | 전/후기 우승팀이 다를 경우, 전/후기 우승팀 중 시즌 승률이 낮은 팀과 우승하지 못한 팀들 가운데 시즌 승률이 1위인 팀이 4판 3선승제의[3] 플레이오프를 치러 플레이오프 우승팀이 전/후기 우승팀 중 승률이 높은 팀과 타이완 시리즈에서 7판 4선승제로[4] 격돌해 최종승자를 겨룸. 전/후기 전부 같은 팀이 우승했을 경우, 시즌 승률 2, 3위 팀이 5판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러[5] 플레이오프 우승팀이 전/후기 우승팀과 타이완 시리즈에서 격돌해 최종승자를 겨룸. 이때 전/후기 우승팀에겐 1승 어드밴티지를 주기 때문에 6판 4선승제이다. |
3. 역대 시리즈
승패 현황의 기호는 우승팀을 기준으로 한다. 괄호 안은 부전승. 참고로 아직까지 타이완 시리즈에서 무승부가 나온 적은 없다.연도 | 우승팀 | 패전팀 | 전적 | 승패 현황 |
1990 | 웨이취안 드래곤스 | 싼상 타이거스 | 4 - 2 | OXOOXO |
1991 | 퉁이 라이온스 | 웨이취안 드래곤스 | 4 - 3 | XOXOOXO |
| 슝디 엘리펀츠 | 없음 | 통합우승으로 시리즈가 취소됨. | |
1993 | 슝디 엘리펀츠 | 퉁이 라이온스 | 4 - 2 | OOXOXO |
| 슝디 엘리펀츠 | 없음 | 통합우승으로 시리즈가 취소됨. | |
| 퉁이 라이온스 | 없음 | 통합우승으로 시리즈가 취소됨. | |
1996 | 퉁이 라이온스 | 웨이취안 드래곤스 | 4 - 2 | OXOOXO |
1997 | 웨이취안 드래곤스 | 스바오 이글스 | 4 - 2 | XXOOOO |
1998 | 웨이취안 드래곤스 | 싱농 불스 | 4 - 3 | OXOXXOO |
1999 | 웨이취안 드래곤스 | 허신 웨일스 | 4 - 1 | OOOXO |
2000 | 퉁이 라이온스 | 싱농 불스 | 4 - 3 | OXOOXXO |
2001 | 슝디 엘리펀츠 | 퉁이 라이온스 | 4 - 3 | OXXXOOO |
2002 | 슝디 엘리펀츠 | 중신 웨일스 | 4 - 0 | (O)OOO |
2003 | 슝디 엘리펀츠 | 싱농 불스 | 4 - 2 | OXOOXO |
2004 | 싱농 불스 | 퉁이 라이온스 | 4 - 3 | OOXXXOO |
2005 | 싱농 불스 | 청타이 코브라스 | 4 - 0 | OOOO |
2006 | 라뉴 베어스 | 퉁이 라이온스 | 4 - 0 | OOOO |
2007 | 퉁이 라이온스 | 라뉴 베어스 | 4 - 3 | OOXOXXO |
2008 | 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 | 슝디 엘리펀츠 | 4 - 3 | XOXOOXO |
2009 | 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 | 슝디 엘리펀츠 | 4 - 3 | OOXOXXO |
2010 | 슝디 엘리펀츠 | 싱농 불스 | 4 - 0 | OOOO |
2011 | 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 | 라미고 몽키스 | 4 - 1 | OOXOO |
2012 | 라미고 몽키스 | 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 | 4 - 1 | OOXOO |
2013 | 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 | EDA 라이노스 | 4 - 0 | OOOO |
2014 | 라미고 몽키스 | 중신 브라더스 | 4 - 1 | OOOXO |
2015 | 라미고 몽키스 | 중신 브라더스 | 4 - 3 | OXXXOOO |
2016 | 이다 라이노스 | 중신 브라더스 | 4 - 2 | XXOOOO |
2017 | 라미고 몽키스 | 중신 브라더스 | 4 - 1 | (O)XOOO |
2018 | 라미고 몽키스 | 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 | 4 - 2 | (O)OXXOO |
2019 | 라미고 몽키스 | 중신 브라더스 | 4 - 1 | OXOOO |
2020 | 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 | 중신 브라더스 | 4 - 3 | OXXXOOO |
2021 | 중신 브라더스 | 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 | 4 - 0 | OOOO |
2022 | 중신 브라더스 | 라쿠텐 몽키스 | 4 - 0 | OOOO |
2023 | 웨이취안 드래곤스 | 라쿠텐 몽키스 | 4 - 3 | OXXOXOO |
2024 | 중신 브라더스 | 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 | 4 - 1 | OXOOO |
4. 우승횟수
팀 | 우승 | 준우승 | 우승 연도 | '''최근 우승 후''' |
중신 브라더스 | 10 | 8 | 1992, 1993, 1994, 2001, 2002 2003, 2010, 2021, 2022, 2024 | [age(2024-01-01)]년 |
퉁이 라이온스 | 10 | 8 | 1991, 1995, 1996, 2000, 2007 2008, 2009, 2011, 2013, 2020 | [age(2020-01-01)]년 |
라쿠텐 몽키스 | 7 | 4 | 2006, 2012, 2014, 2015, 2017 2018, 2019 | [age(2019-01-01)]년 |
웨이취안 드래곤스 | 5 | 2 | 1990, 1997, 1998, 1999, 2023 | [age(2023-01-01)]년[6] |
푸방 가디언즈 | 3 | 5 | 2004, 2005, 2016 | [age(2016-01-01)]년 |
중신 웨일스 | 0 | 2 | - | 해체 |
싼상 타이거스 | 0 | 1 | - | 해체 |
스바오 이글스 | 0 | 1 | - | 해체 |
디미디어 티렉스 | 0 | 1 | - | 해체 |
5. 기타
- 2022년부터 전/후기 우승팀이 다를 경우 타이완시리즈 직행팀이 한국시리즈와[7]동일하게 1/2/5/6/7차전 홈구장 자격을 갖는다. 만약 한 팀이 전/후기 우승을 싹쓸이 한 경우는 그 팀이 1승 어드벤티지 및 1/2/5/6차전에서 홈 경기 개최권을 가지며 플레이오프 승리팀은 3/4차전 홈 경기 개최권을 갖는다.
- 경기 개최 구장은 출전 구단의 홈 구장이 아닌 경우가 종종 있다. 2005년 시리즈 4경기 중 두 팀의 홈구장 경기는 1경기가 개최되었고, 2009년은 시리즈 6경기가 5개 구장에서 개최되었다. 슝디 엘리펀츠가 4전 전승으로 우승한 2010년은 4경기 모두 각각 다른 구장에서 열렸다.(타이중-더리우-타오위안-신좡) 퉁이 라이온스가 4전 전승으로 우승한 2013년도 마찬가지.(타이중-타이난-신좡-가오슝) 2016년 EDA 라이노스는 홈경기를 가오슝이 아닌 라미고의 연고 타오위안에서 개최했다. 반면 라미고 몽키스는 쭉 타오위안에서만 홈경기를 가졌다. 2007시즌에는 양팀의 홈구장에서만 경기를 가졌으며. 최근 타이완시리즈는 과거와 달리 소속팀의 홈구장에서만 열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 팀이 적은 대만 특성상 포스트시즌 단계가 플레이오프-타이완시리즈로 심플하다 보니[8] 업셋우승이 심심찮게 일어난다. 플레이오프가 있던 시즌이 2022년까지 총 9번 있었는데 이 중 무려 4번이나 업셋우승이 나왔다. 2023년에는 아예 플레이오프에서 업셋이 일어났는데 플레이오프 승리팀인 라쿠텐 이글스가 2010년 일본프로야구의 치바 롯데 마린즈마냥 하극상을 벌이게 될 수 있을지가 관심사였으나 아쉽게도 타이완 시리즈에서는 웨이취안 드래곤스에 패해 준우승에 그쳤다.
[1] 中華職棒年度總冠軍賽、CPBL Seasonal Championship Series[2] 즉, 승률 1위 팀이 전/후기 어느 쪽도 우승하지 못했을 경우.[3] 우승했으나 시즌 승률이 낮아 플레이오프로 밀린 팀이 부전승을 갖는다.[4] 이 경우 타이완 시리즈 직행팀도 부전승을 받지 못한다.[5] 즉 시즌 2위팀이 전/후기 중 어느 리그도 우승하지 못한 경우에는 부전승이 없다. 전/후기 중 한 번 우승을 하고도 2위로 밀려야 부전승을 받는다/[6] 2000~2020년 동안 팀이 리그에 참가하지 않았다.[7] 2020 한국시리즈부터 적용했지만 코로나 19로 인해 고척 스카이돔 전 경기 중립개최로 실질적으로는 2022 한국시리즈부터 적용되었다.[8] 메이저리그와 KBO 리그, 멕시칸리그는 4단계로, 일본프로야구는 3단계로 포스트시즌이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