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케라톱스 | |
백악기 후기 마스트리히트절 66,000,000만 년 전 북아메리카 | |
학명 | |
Ott & Larson, 2010 |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계통군 | 석형류Sauropsida |
상목 | 공룡상목Dinosauria |
목 | †조반목Ornithischia |
아목 | †각각아목Cerapoda |
하목 | †각룡하목Ceratopsia |
과 | †케라톱스과Ceratopsidae |
족 | †트리케라톱스족Triceratopsini |
속 |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
|
|
복원도 |
[clearfix]
1. 개요
백악기 후기 마스트리히트절인 6600만 년 전에 북아메리카에서 서식했던 각룡류. 속명의 뜻은 '타탄카의 뿔 달린 얼굴'.2. 연구사
사우스다코타의 버팔로타운에 살던 쌍둥이 형제인 스탠 새크리슨과 스티븐 새크리슨이 버팔로타운에서 북서쪽으로 약 16km 떨어진 지역에서 두개골 일부로 구성된 표본(BHI 6626)을 발견했다. 2010년 크리스토퍼 오트와 피터 라슨은 이 화석을 타탄카케라톱스로 명명하였다.하지만 2011년에 니콜라스 롱리치가 작성한 논문에서, 타탄카케라톱스의 표본이 어린 트리케라톱스와 성체 트리케라톱스의 특징이 섞여 있는 것으로 보이며 해당 표본이 별개의 속이 아니라 발달 장애로 인해 성장이 멈춘 트리케라톱스의 표본일 것이라는 논문을 작성했다. 같은 년도에 토머스 홀츠와 그의 동료들은 다 자라지 않은 트리케라톱스의 표본일 것이라고 강력하게 주장하는 논문을 기록했고 2019년에 공개된 매튜 일리스와 덴버 파울러의 논문에서는 아예 타탄카케라톱스를 유효한 속으로 간주하지 않고 그 이후 후속 연구의 저자들은 타탄카케라톱스를 트리케라톱스와 동일한 속으로 간주하고 있다.
3. 관련 문서
4. 참고 문헌
1. 문서1 -크로스토퍼 오트, 피터 라슨의 타탄카케라톱스 명명과 설명 논문(2010)2. 문서2 -니콜라스 롱리치의 의심 주장 논문(2011)
3. 문서3 -토머스 홀츠와 그의 동료들의 의심 주장 논문(2011)
4. 문서4 -매튜 일리스와 덴버 파울러의 타탄카케라톱스 무효 논문(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