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 | 요미우리 자이언츠 2025 시즌 코칭스태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0><colcolor=#fe5a1d> 감독 | 83 아베 신노스케 |
1군 | 76 니오카 토모히로 (헤드코치 겸 타격수석코치) · 75 하시가미 히데키 (작전전략코치) · 74 무라타 요시노리 (종합코치) · 81 스기우치 토시야 (수석투수코치) 77 우츠미 테츠야 (투수코치) · 93 마츠모토 테츠야 (외야수비·주루코치) · 79 카메이 요시유키 (타격코치) 88 사네마츠 카즈나리 (배터리코치) · 86 후루키 시게유키 (내야수비·주루코치) | |
2군 | 73 쿠와타 마스미 (2군 감독) · 78 카와이 마사히로 (야수종합코치) · 80 야노 켄지 (타격수석코치) · 71 야마구치 테츠야 (수석투수코치) · 72 오오타케 칸 (투수코치) 85 와키야 료타 (내야수비·주루코치) · 82 스즈키 타카히로 (외야수비·주루코치) · 87 하시모토 이타루 (타격코치) · 89 카토 켄 (배터리코치) | |
3군 | 70 코마다 노리히로 (3군 감독) · 100 미사와 코이치 (수석투수코치) 104 노가미 료마 (투수코치) · 105 요시카와 다이키 (내야수비코치) · 103 킨죠 타츠히코 (야수종합코치) 102 이치카와 토모야 (배터리코치) · 108 타테오카 소이치로 (외야수비·주루코치) | |
순회 | 84 쿠보 야스오 (순회투수코치) · 110 젤러스 휠러 (순회타격코치)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
틀:요미우리 자이언츠로 돌아가기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 |
<colbgcolor=#000000><colcolor=#fd5a1e> 요미우리 자이언츠 No.108 | |
타테오카 소이치로 立岡宗一郎 | Soichiro Tateoka | |
출생 | 1990년 5월 18일 ([age(1990-05-18)]세) |
구마모토현 아시키타마치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진사이 고등학교 |
신체 | 181cm, 82kg |
투타 | 우투좌타 |
포지션 | 외야수, 내야수 |
프로입단 | 2008년 드래프트 2위 |
소속팀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09~2012) 요미우리 자이언츠 (2012~2024) |
소속팀 | 요미우리 자이언츠 3군 외야 수비/주루 코치 (2025~) |
등장곡 | 방탄소년단(2021) <Permission to Dance> 방탄소년단(2022) |
응원곡 | 응원곡#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前 야구선수.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 야구 코치.[1]2. 선수 경력
2008년 드래프트에서 소프트뱅크에 지명되어 입단했다. 이후 2012년 트레이드로 소프트뱅크에서 요미우리로 이적했는데 리드 오프 자리의 구멍을 메우면서 성공적으로 정착했다. 이를 두고 일부 한국 야구팬들은 일본판 탈쥐효과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탈쥐효과라고 하기에는 원 소속팀이 너무나도 잘 나가고 있다.지금도 소프트뱅크에는 타테오카보다 훨씬 기량이 낫다고 평가받는 선수들이 1군에 자리가 없어서 2군에서 기회를 노리고 있으며, 그렇다고 현재의 1군 선수들이 팀에 민폐를 끼치면서 이들의 성장을 방해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타테오카의 경우에는 그 선수들보다 더 기량이 어정쩡했던 게 본인의 선수 커리어에 도움이 되는 기현상의 수혜를 받은 격. 현재 소프트뱅크의 1군 선수들은 그 선수들보다 한 수 위의 기량으로 지금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그야말로 팀 내 경쟁의 이상적인 형태.
대체적인 평가는 소프트뱅크에 남아 있었으면 2군에서도 대타, 대수비 요원 밖에 못 했을 것이라는 평이 지배적. 단, 소프트뱅크 시절에는 2군에서 조차 주전 자리를 장담 못했는데 새 팀에서 주전으로 자리잡은 타테오카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야마나카 히로후미 덕분에 소프트뱅크의 팜은 다른 팀 팬들이 군침을 흘리는 자원의 보고 취급을 받고 있다. 그러나 타테오카도 2019년에는 결국 1군에서 대주자 자리까지 빼앗기며 25경기밖에 못 나왔다. 애초에 2015년을 제외하면 주전으로 잘 나간 해도 없었고 결국은 한 해 반짝이라고 보는 게 맞다.[2]
한때 육성선수까지 내려갔다가 다시 지배하 선수로 등록되었지만 별다른 활약 없이 2024년까지 선수 생활을 이어갔고 24시즌 종료 후 현역에서 물러나 요미우리의 3군 코치로 지도자 커리어를 시작했다.
[1] 2015 시즌까지는 내야수로 출전한 경기도 꽤 많았지만 2016 시즌 이후로는 주로 외야수로 출전하고 있다.[2] 2015년에는 규정 타석은 미달이었지만 세 자릿수 안타에 타율 3할까지 기록했지만 2016~2017년은 200타수 정도, 2018년부터는 아예 대놓고 백업, 대주자로 추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