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8 14:20:51

태징에서 넘어옴

타악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colbgcolor=#dbdbe2,#555461><colcolor=#000,#fff> 체명악기 아시아의 체명악기
동아시아 목어 · 목탁 · · #악기 · 꽹과리 · 대금 · 편경 · 편종 · 탐탐 · 자바라 · 방향 · 운라 · 소라 · 특경 · 특종 · 풍경
동남아시아 떠릉 ·
유럽/기타 지역의 체명악기
유럽 글라스 하프 · 심벌즈 · 캐스터네츠 · 실로폰 · 글로켄슈필 · 첼레스타 · 튜블러 벨 · 크로탈레스 · 윈드차임 · 우드블록 · 템플블록 · 루테 · 카우벨 · 슬레이벨 · 클래퍼 · 토이 피아노 · 트라이앵글 · · 핸드팬 · 핸드벨 · 오르골 · 스크라발라이
아프리카 마림바 · 음비라(칼림바) · 아고고벨 · 시스트럼 · 카시롤라 · 카쉬카
아메리카 글라스 하모니카 · 스틸팬 · 비브라폰 · 워터폰 · 카혼 · 피들스틱 · 클라베스 · 구이로 · 마라카스 · 레인스틱 · 카바사
지역 공통
셰이커 · 주즈하프
막명​악기 아시아의 막명악기
동아시아 장구 · 대고 · 소고 · 영고 · 갈고 · 좌고 · 타이코 · 사물북 · 소리북 · 츠즈미
중앙아시아 도이라
남아시아 타블라 · 바얀
서아시아 다르부카
유럽/기타 지역의 막명악기
유럽 베이스드럼 · 스네어드럼 · 탬버린 · 톰톰 · 테너드럼 · 팀파니
아프리카 콩가 · 젬베 · 토킹 드럼 · 봉고 · 벤디르
아메리카·오세아니아 쿠이카 · 랄리 · 티파
타현악기
양금 양금 · 덜시머 · 침발롬
피아노 피아노(그랜드 · 업라이트) · 클라비코드
이외 베림바우
기명악기
오르간(파이프 오르간 · 풍금 · 아코디언 · 바얀) · 윈드 머신 · 호루라기 · 경적
}}}}}}}}}
파일:징.jpg
1. 악기
1.1. 쇠북
2. 신발, 편자 등을 고정하는 쇠못3. 왕도둑 징의 등장인물

1. 악기

국악기로 사물놀이와 여러 음악에 쓰이는 악기 중 하나. 꽹과리와 마찬가지로 놋쇠를 두드려 만들며 크기는 꽹과리 보다 훨씬 크다. 두께도 두껍고 무거우며 서서 칠때는 옆면에 난 구멍에 끈을 연결하여 들고 치고 앉아서 칠때는 징걸이에 걸어서 친다. 사물에서 맡고 있는 역할은 바람. 징을 쳐 보면 소리가 절에 있는 범종이랑 유사하다.

꽹과리와는 달리 가락면에서는 기교가 많지 않지만(사실 굳이 따지면 하나밖에 없다.) 치고 나서 채를 돌리는 부분에서 간지를 뿜는 악기. 같이 리듬을 책임지는 보다 지속음이 훨씬 길기 때문에 가능한 일. 일반적으로는 끝에 있는 장식이 흔들리게 손목으로 빙빙 돌리지만 잘 하는 사람은 뭔가 현란한 솜씨로 던지기도 하면서 휘두른다. 그러면서 박자는 잘 맞춘다.(사실 그런 동작은 익숙해지면 박자 맞추는데 도움이 된다.) 선반 연주에선 상모나 고깔을 쓰고 설렁설렁 걸어가며 징을 다리 앞뒤로 흔들어가며 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농악 연주를 볼 기회가 있다면 꼭 징수를 한번 눈여겨 보자.

채는 굵은 막대기에 뭔가 두툼한 것이 달려 있는데 뜨개질로 만든 망이나 없어보이는 것은 양말을 뒤집어 씌어 놓기도 하는데 그 안쪽에는 실과 천으로 둘둘 감겨 있다. 반대 편에는 너슬을 묶어두곤 한다. 이 띠들이 바람에 저항을 받아서 띠를 안 매다가 멋있다고 갑자기 묶고 치면 허공에 던지거나 할 때 회전 속도가 줄어서 당황하게 된다.

사물놀이에서는 한손을 징 안쪽에 넣어 소리를 조절하거나, 징걸이에 걸려있는 끈을 쥐었다 놓았다 하며 소리를 조절한다. 실제로 시끄러울 것 같지만 가까이서 듣지 않으면 종소리 비슷하게 은은하게 퍼지는 소리가 난다. 물론 귀를 대면 시끄럽다. 칠 때 표면의 둥글게 파인 홈의 중앙에 가까이 정확히 칠 수록 맑은 소리가 난다. 마당놀이 등에선 일부러 엇나가게 쳐서 구와아앙 하는 소릴 내기도 한다. 다만 그 구왕소리가 사물 가락 연주 중에 터지면 진짜로 창피하고 마치 징수가 패의 블랙홀인 듯한 자괴감에 빠지게 할 수도 있다. 특히 인사굿이나 가락 초입에서 조용할 때 소리가 터지는 경우.

악기 특성상 박자를 맞추는 역할이기 때문에 패에서는 그냥 가락을 잘 파악하고 있는 사람이 친다. 징은 가락마다 모두 리듬이 다르다. 그래서 징소리만 듣고도 가락을 파악하는 것도 가능할 정도라 리듬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다. 물론 여기에 현란한 채돌리기까지 합쳐지면 최고의 징수. 근데 사실, 풍물에서 이렇게 채를 돌리고 하는 것들은 호흡에 '달통'해야 자연스럽다. 거기다 4명이서만 하는 선반에서는 개인놀이 때 소고도 들어야 하므로 풍물의 호흡이 몸에 쩔어 있는 사람이 아니면 사실 제대로 해내기도 어렵다. 적게 친다고 쉬워보일 거라는 생각을 하고 접근하는 사람들은 여기서 막힌다. 거기다가 은근히 소리 크게 내기가 어려워서 7명 선을 넘어가면 소리가 묻힌다.

몇몇 징이 빠지는 가락에선 부쇠 역이나 북으로 가기도 한다. 부쇠가 이미 있거나 북이 많으면 뒤에서 받쳐주는 정도지만 인원이 적거나 할 땐 어쩔 수 없다. 쇠들이 도와주지 않는다면 징에 걸이만 해도 무거운데 북까지 들어야 하는 참사가 일어난다.

서양권에서는 인도네시아에서 유래된 징과 매우 비슷한 악기인 (gong)이 사용된다. 단, 징에 비해 더 얇기 때문에 음정이 대체로 더 높다.

특유의 소리 때문에 특정한 순간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용도로 징이 사용되기도 했다. 과거 민속씨름대회줄다리기의 매 판마다 경기 시작과 종료 때 징을 쳤고[1] 코미디빅리그에서는 각 코너의 공연이 끝나고 다음 코너로 넘어갈 때 징맨이 나와서 징을 친다. 또한 독일 ARD의 메인 뉴스인 타게스샤우도 징 소리를 시보로 내보낸다.

1.1. 쇠북

에서 사용하는 법구 중 징과 외형이나 소리가 비슷한 도구가 있는데 우리말로는 쇠북[2], 구리로 만든 북이라고 동북, 한자어로는 금고(金鼓), 금구(禁口), 반자(飯子, 半子)라고 부른다. 얼핏 보기에는 징과 비슷하지만 보통은 징과 달리 앞뒤가 모두 막히고 따로 소리가 나오는 구멍이 있다. 하지만 징처럼 한쪽이 완전히 트여 징과 별 차이가 없는 것도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쇠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신발, 편자 등을 고정하는 쇠못

신발의 뒷굽과 가죽 창 사이, 말 등의 발굽에 박는 편자등을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짧은 못. 보통 놋쇠로 만들어진다. 오니가 쓰는 방망이에도 박혀있다. 최근에는 터프해 보이려는 의도로 가죽 의상에도 장식으로 박으며, 구어에서는 발음을 이라고 된소리로 발음해 악기 징과 구분한다.

3. 왕도둑 징의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징(왕도둑 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그러나 현재는 호루라기로 시작과 종료를 알리고 있다.[2] 참고로 쇠북은 종의 우리말 표현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