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악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 <colbgcolor=#dbdbe2,#555461><colcolor=#000,#fff> 체명악기 | 아시아의 체명악기 | ||
동아시아 | 목어 · 목탁 · 징 · 꽹과리 · 대금 · 편경 · 편종 · 탐탐 · 자바라 · 방향 · 운라 · 소라 · 특경 · 특종 · 풍경 | |||
동남아시아 | 떠릉 · 공 | |||
유럽/기타 지역의 체명악기 | ||||
유럽 | 글라스 하프 · 심벌즈 · 캐스터네츠 · 실로폰 · 글로켄슈필 · 첼레스타 · 튜블러 벨 · 크로탈레스 · 윈드차임 · 우드블록 · 템플블록 · 루테 · 카우벨 · 클래퍼 · 토이 피아노 · 트라이앵글 · 행 · 핸드팬 · 핸드벨 · 오르골 · 스크라발라이 | |||
아프리카 | 마림바 · 음비라(칼림바) · 아고고벨 · 시스트럼 · 카시롤라 · 카쉬카 | |||
아메리카 | 글라스 하모니카 · 스틸팬 · 비브라폰 · 워터폰 · 카혼 · 피들스틱 · 클라베스 · 구이로 · 마라카스 · 레인스틱 · 카바사 | |||
지역 공통 | ||||
셰이커 · 주즈하프 | ||||
막명악기 | 아시아의 막명악기 | |||
동아시아 | 장구 · 대고 · 소고 · 영고 · 갈고 · 좌고 · 타이코 · 사물북 · 소리북 · 츠즈미 | |||
중앙아시아 | 도이라 | |||
남아시아 | 타블라 · 바얀 | |||
서아시아 | 다르부카 | |||
유럽/기타 지역의 막명악기 | ||||
유럽 | 베이스드럼 · 스네어드럼 · 탬버린 · 톰톰 · 테너드럼 · 팀파니 | |||
아프리카 | 콩가 · 젬베 · 토킹 드럼 · 봉고 · 벤디르 | |||
아메리카·오세아니아 | 쿠이카 · 랄리 · 티파 | |||
타현악기 | ||||
양금 | 양금 · 덜시머 · 침발롬 | |||
피아노 | 피아노(그랜드 · 업라이트) · 클라비코드 | |||
이외 | 베림바우 | |||
기명악기 | ||||
오르간(파이프 오르간 · 풍금 · 아코디언 · 바얀) · 윈드 머신 · 호루라기 · 경적 | ||||
}}}}}}}}} |
영어 | Castanets |
독일어 | Kastagnetten |
프랑스어 | Castagnettes |
이탈리아어 | Nacchere |
스페인어 | Castañuelas |
1. 개요
서양의 타악기 중 하나. 악기의 몸체가 충격으로 울리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디오폰(체명악기)' 으로 분류되고 일정한 음정이 없으므로 무율 타악기로도 분류된다.2. 설명
발상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은데, 지중해 지방 어딘가로 막연하게 추측할 따름이다. 스페인에서 유래했다는 주장도 있는데 그 때문인지 이 악기 하면 스페인 음악 혹은 그 스타일을 취한 곡에서 빠뜨리지 않고 삽입하는 관례가 생겼다.[1] 스페인에서는 어원이 밤나무를 뜻하는 스페인어 단어인 카스타뇨(castaño)에서 왔다고 하면서 자기들이 원조라고 줄기차게 주장하는 중.'캐스터네츠'란 명칭은 밤나무 열매가 아니라 과거 이 악기의 재료가 밤나무나 마로니에 같은 경질목재였기 때문에 붙었다. 물론 요즘은 플라스틱이나 강화유리섬유로 만드는 경우가 더 많지만.
모양이 같은 나뭇조각 한 쌍을 조개처럼 끈으로 연결해 놓고 양손에 쥐고 친다. 칠 때는 주로 검지나 중지 손가락을 움직여 소리를 내는데, 매우 경쾌하면서 딱딱한 소리를 내기 때문에 음악에 강세를 주는 데 안성맞춤이다.
실제로 스페인에서도 캐스터네츠는 플라멩코 음악에서 기타와 함께 빠뜨릴 수 없는 필수요소였고 지금도 그러하다.마하트마 간디도 좋아한 악기이다.
트라이앵글, 탬버린과 함께 유딩이나 초딩 시절 리듬 세트로 연주하는 것이 다반사였기에 자신있게 연주할 수 있는 악기라고 대답하는 등 연주하기 쉽다고 보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여느 악기가 그렇듯이 소리를 낼 수 있는 것과 연주에 통달했다는 것은 완전히 다른 개념이다. 아래의 영상을 보자.
이런 캐스터네츠는 영어로 '핸드 캐스터네츠(hand casternets)'라고 하는데 연주하려면 이 악기에 통달해야 하기 때문에 관현악이나 취주악 등에서는 '머신 캐스터네츠(maschine castanets. 또는 패들 캐스터네츠 paddle castanets)'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나무판자에 캐스터네츠 한 쌍을 부착한 형태인데 나무판과 캐스터네츠 사이는 스프링으로 벌어져서 치면 탄성으로 빨리 되돌아온다. 음색은 둘 다 비슷하지만 소리는 머신 캐스터네츠 쪽이 좀 더 큰 듯.
주로 캐스터네츠 부위를 손으로 두드려 소리를 내는데 때로는 손이 아닌 드럼스틱이나 펠트채 등으로 두드리기도 한다. 손아귀에 쥐고 소리내야 하는 핸드 캐스터네츠보다는 빠른 리듬형도 훨씬 쉽게 낼 수 있음이 큰 장점.
스페인 작곡가뿐 아니라 스페인색을 작품에 녹여낸 작곡가들이 굉장히 많이 도입했는데 비제의 오페라 '카르멘'이나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스페인 기상곡, 드뷔시의 이베리아, 라벨의 스페인 광시곡 등에서 소리를 들어 볼 수 있다. 재즈트럼페터 마일즈 데이비스와 편곡자 길 에반스가 합작한 앨범 'Sketches of Spain'에서도 마찬가지.
하지만 요즘에는 이런 용법도 특별한 지방색을 내는 양념처럼 쓰기보다는 전위적인 음악의 타악기군에 편입시켜 활용하는 대안을 모색하는 작곡가들도 많다. 타악기를 광범위하게 작곡과 음악교육에 활용한 칼 오르프도 캐스터네츠를 스페인색이 전혀 없는 자작곡에 수시로 사용하였다.
3. 매체에서 등장
[1] 라벨의 어릿 광대의 아침 노래(아예 원 제목이 스페인어다.) 비제의 카르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