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16:50:18

테티스(위성)


토성의 위성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font-size:.9em; letter-spacing:-.2px"
<colbgcolor=#f3deb3><colcolor=#000> D 고리
C 고리
내위성 B고리 S/2009 S 1
카시니 간극
A고리 엥케 간극
킬러 간극 다프니스
로슈 간극 아틀라스 · 프로메테우스
F고리
판도라 · 에피메테우스 · 야누스
G고리 아이가이온
E고리 미마스*
알키오니데스 메토네 · 안테 · 팔레네
엔셀라두스*
테티스* 트로이 위성 텔레스토L4 · 칼립소L5
디오네* 헬레네L4 · 폴리데우케스L5
레아* · 타이탄* · 히페리온 · 이아페투스*
불규칙 위성 <colbgcolor=#f3deb3><colcolor=#000> 이누이트군
(순행 1)
키비우크군 S/2019 S 1 · 키비우크 · S/2005 S 4 · S/2020 S 1 · 이지라크
파알리아크군 파알리아크
샤르나크군 S/2004 S 31 · 타르케크 · S/2019 S 14 · 샤르나크 · S/2020 S 3 · S/2020 S 5
갈릭군
(순행 2)
알비오릭스 · 베비온 · S/2007 S 8 · LX · 에리아푸스 · 타르보스 · S/2020 S 4
노르스군
(역행)
포에베군 포에베 · S/2006 S 20 · S/2006 S 9
스카티 · S/2007 S 5 · S/2007 S 7 · S/2007 S 2 · S/2004 S 37 · S/2004 S 47 · S/2004 S 40 · S/2019 S 2 · S/2019 S 3 · S/2020 S 7 · 스콜 · S/2020 S 2 · S/2019 S 4 · S/2004 S 41 · S/2004 S 42 · 히로킨 · 그레이프 · S/2004 S 13 · S/2007 S 6 · 문딜파리 · S/2006 S 1 · S/2004 S 43 · S/2006 S 10 · S/2019 S 5 · 그리드르 · 베르겔미르 · 야른삭사 · 나르비 · 수툰그르(수퉁) · S/2007 S 3 · S/2004 S 44 · S/2004 S 45 · 하티 · S/2004 S 17 · S/2006 S 11 · S/2004 S 12 · 에그테르 · S/2006 S 13 · S/2007 S 9 · S/2019 S 7 · S/2019 S 8 · 파르바우티 · 트리므르 · 베스틀라 · S/2019 S 9 · S/2004 S 46 · 앙그르보다 · S/2019 S 11 · 아에기르 · 벨리 · S/2019 S 10 · S/2019 S 12 · 게르드 · S/2019 S 13 · S/2006 S 14 · 군로드 · S/2019 S 15 · S/2020 S 6 · S/2004 S 7 · S/2006 S 3 · S/2005 S 5 · 스크리미르 · S/2006 S 16 · S/2006 S 15 · S/2004 S 28 · S/2020 S 8 · 알바디 · 카리 · S/2004 S 48 · 게이로드 · 펜리르 · S/2004 S 50 · S/2006 S 17 · S/2004 S 49 · S/2019 S 17 · 수르투르(수르트) · S/2006 S 18 · 로게 · 이미르 · S/2019 S 19 · S/2004 S 21 · S/2019 S 18 · S/2004 S 39 · S/2019 S 16 · S/2004 S 53 · S/2004 S 36 · 티아지 · S/2019 S 20 · S/2006 S 19 · LXIV · 포르뇨트 · S/2004 S 51 · S/2020 S 10 · S/2020 S 9 · LVIII · S/2019 S 21 · S/2004 S 52
미분류
(순행)
S/2006 S 12 · S/2019 S 6 · S/2004 S 24
※ 위성들은 토성에서부터의 거리 순으로 정렬
※ *: 대형 위성
※ 모든 내위성 및 대형 위성은 순방향 공전
 
}}}}}}}}} ||
테티스
Tethys / テティス / 土卫三
파일:테티스.jpg
촬영: Cassini (NASA, 2015)
모천체 <colbgcolor=#fff,#1f2023>토성
구분 대형 위성
지름 1 062.2±1.2 km[1]
질량 (6.174 959±0.000 146)×1020 kg
밀도 0.9840±0.0033 g/cm3
궤도 장반경 294 619 km
궤도 경사각 1.12°(토성 적도면 기준)
이심률 0.0001
공전 주기 1.887 802일
자전 주기 조석 고정
자전축 기울기
표면 온도 평균 86±1K(-187°C)
겉보기 등급 10.2
표면 중력 0.146 m/s2

[Clearfix]
1. 개요2. 상세
2.1. 발견사2.2. 궤도 특징2.3. 물리적 특성2.4. 지형
3. 관련 문서

1. 개요

테티스(Tethys) 또는 토성 III는 토성의 제3위성이며 내부 주요 위성에 속한다.

2. 상세

밋밋하기 짝이 없는 Ctrl+CV 중 첫째로, 다른 두 위성과 마찬가지로 아무런 특징이 없는 표면 때문에 인지도는 바닥을 긴다(...)

2.1. 발견사

1684년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에 의해 발견되었다. 카시니는 테티스, 디오네, 레아, 이아페투스의 4개 위성을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의 이름을 붙인 "Sidera Lodoicea"(루이의 별들)라고 이름붙였으나[2], 17세기 말이 되자 테티스, 디오네, 레아, 타이탄, 이아페투스의 5개 위성은 토성 I~V로 불리게 되었다. 이후 윌리엄 허셜에 의해 미란다엔셀라두스가 발견되어 숫자가 2씩 높아졌고, 마지막으로 하이페리온이 이아페투스 앞에 끼어들면서 궤도 순서대로 토성 I~VIII가 정해진 후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이름 테티스는 윌리엄 허셜의 아들 존 허셜이 티탄족 신들의 이름을 붙이자고 주장한 것이 받아들여져 붙여지게 되었다.

2.2. 궤도 특징

294 619 km의 거리에서 원에 가까운 궤도를 가지고 있다. 공전 주기는 1.9일이지만 토성은 10시간 30분에 한번 자전을 하는데, 이 때문에 토성과 같은 각속도를 가지는 자기장에 갇힌 전하가 후행 반구에 충돌하면서 표면을 어둡게 만든다.

테티스의 L4 지점(60° 선행)에 텔레스토가, L5지점에는 칼립소가 같은 궤도를 공유하고 있다.

2.3. 물리적 특성

지름은 약 1,062.2km(1,076.8×1,057.4×1,052.6)로, 태양계에서 16번째로 큰 위성이다. 대형 위성 중에서는 작은 편인데다 밀도까지 낮아서 질량은 의 1%가 채 되지 못한다.

밀도가 0.98로 대부분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표면 아래에 바다가 있을 가능성은 낮다고 점쳐진다. 테티스가 이루는 타원체의 형상은 내부가 균질한 경우를 상정해 예측한 결과와 일치하기 때문에 테티스는 초대형 얼음 덩어리(...)라는 결론이 나온다.

인접한 다른 위성들과 마찬가지로 반사율이 매우 높다. 보통 얼음 위성들은 고에너지 우주선 등의 입자에 의해 표면이 어두워지는데, 테티스의 경우 엔셀라두스에서 뿜어져 나오는 얼음 입자들이 형성하는 E고리 내부에 있기 때문에 계속 새로운 얼음 표면이 생성되기 때문에 흰 표면이 유지된다. 또한 상술한 자기장에 의한 효과 따문에 선행 반구가 후행 반구보다 10~15% 더 밝다.

2.4. 지형

테티스의 지형은 대부분 거대한 크레이터들로 구성된 구릉지이다. 후행 반구에는 약간의 평원이 있으며 균열이나 트로프 등의 지질활동 구조도 나타난다.

선행 반구의 서쪽에 직경 450km(!) 크기의 "오디세우스" 크레이터가 있다(문서 상단 사진에 보이는 초대형 크레이터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크레이터의 바닥은 테티스의 타원체와 일치하게 되었으나 가장자리는 평균 반지름보다 5km 높은 산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타카 협곡(Ithaca chasma)이라 불리는 거대한 계곡이 있는데, 길이가 무려 2000km, 넓이 100km, 깊이 3km로 위성 둘레의 4분의 3을 가로지른다. 이 지형의 형성은 테티스의 내부가 얼어붙으면서 팽창한 얼음 때문에 생겨났다는 설과 오디세우스 크레이터를 만든 충돌에 의해 생겼다는 설이 있는데, 카시니의 조사 결과 오디세우스 충돌구보다 이타카 협곡이 더 오래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3. 관련 문서


[1] 1076.8 × 1057.4 × 1052.6 km[2] 윌리엄 허셜천왕성조지 3세를 따라 "Georgium Sidus"(조지의 별)라 붙인 것과 같은 케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