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09:14:34

틀:타이틀곡2

[[@문서명@|
@문서명=타이틀곡@|@트랙번호=??@
@제목=타이틀곡@|@트랙번호=??@
]]
[[@문서명@#@앵커@|
@앵커=타이틀곡@|@트랙번호=??@
@제목=타이틀곡@|@트랙번호=??@
]]


1. 개요2. 매개 변수3. 예시
3.1. 기본 형태3.2. 단색 배경3.3. 그라데이션 배경3.4. 테두리색3.5. 글자 크기 조정
4. 주의 사항

1. 개요

음반 문서에서 타이틀곡 표기 시 사용하는 틀 입니다.

틀:타이틀곡의 파생 버전입니다.

2. 매개 변수

사용할 수 있는 매개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include(틀:타이틀곡2, 문서명=, 앵커=, 제목=, 배경색=, 형태=, 방향=, 그라데이션=, 글자색=)]
  • 문서명
    클릭했을 때 이동할 문서를 정합니다.
  • 앵커
    클릭했을 때 이동할, 문서의 앵커를 선언합니다. 생략할 수 있습니다.
  • 제목
    출력되는 텍스트를 선언합니다. 생략하면 문서명이, 앵커가 있으면 앵커에 선언한 내용이 출력됩니다.
  • 트랙번호
    출력되는 트랙번호를 선언합니다.
  • 테두리색
    헥스 코드, CSS 색상명으로 테두리의 색상을 선언합니다. 기본값은 none이며 테두리의 두께는 0.3px입니다.
  • 배경색
    헥스 코드, CSS 색상명으로 배경색을 선언합니다. 배경색은 그라데이션 뒤에 그려집니다. 기본값은 gray, #808080입니다.
  • 형태, 형태2, 형태3
    그라데이션의 형태를 선언합니다. conic(원형), linear(선형), radial(회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생략할 경우 기본값은 linear입니다.
  • 방향, 방향2, 방향3
    선형 그라데이션의 방향, 원형 그라데이션의 중심, 회전 그라데이션의 시작 지점을 선언합니다. 기본값은 to right으로 원형과 회전 그라데이션을 사용할 때는 꼭 방향 매개변수를 지정해야합니다.
  • 그라데이션, 그라데이션2, 그라데이션3
    그라데이션에 넣을 색상을 선언합니다. 쉼표(,) 앞에 반드시 백슬래시(\)를 입력해야 합니다.
  • 글자색
    헥스 코드, CSS 색상명으로 글자의 색을 선언합니다. 기본값은 white, #ffffff입니다.
  • 글자크기
    글자의 크기를 선언합니다. 숫자와 단위(px, em 등)를 같이 입력해야 합니다. 기본값은 0.82em으로 1em = 15px인 espejo 스킨 기준 12.3px입니다.

3. 예시

3.1. 기본 형태

타이틀곡|01
[include(틀:타이틀곡2)]
  • 단순 틀 삽입 시 해당 형태로 작동합니다.
  • 문서 내에서 include 문법을 통해 위와 같이 호출해줍니다.
  • 클릭 시 페이지가 새로고침 됩니다.

3.2. 단색 배경

Higher|03

[include(틀:타이틀곡2, 문서명=THE FIFTY, 앵커=Higher, 배경색=#e68bc8, 글자색=#000, 트랙번호=03)]
  • 해당 구문을 복사하여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3.3. 그라데이션 배경

Flip That|02
[include(틀:타이틀곡2, 문서명=Flip That, 앵커=Flip That, 방향=to right, 그라데이션=#a3d278{{{\}}}, #c5b2ec, 글자색=#fff, 트랙번호=02)]
  • 글배경으로 그라데이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그라데이션을 사용할 경우, "쉼표 (,)" 앞에 반드시 "백슬래시 (\)"를 삽입해야 합니다.
  • 해당 구문을 복사하여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3.4. 테두리색

첫 만남은 계획 대로 되지 않아|01
[include(틀:타이틀곡2, 문서명=Sparkling Blue, 앵커=첫 만남은 계획 대로 되지 않아, 배경색=#fff, 글자색=#0350a3, 테두리색=#0350a3, 트랙번호=01)]
  • 해당 구문을 복사하여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3.5. 글자 크기 조정

Girls' Capitalism|02
[include(틀:타이틀곡2, 문서명=ↀ, 앵커=Girls' Capitalism, 배경색=ededed, 글자크기=1.2em, 글자색=#017ffd, 트랙번호=02)]

4. 주의 사항

  • 배경색과 글자색은 나무위키:문법 도움말을 참조하여 #012abc 형태 혹은 red, gray 등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 해당 틀을 사용하여 씌운 음영 내부에서 글자 색상을 다르게 바꿀때는 #글자바꿀색상 형태로는 변경이 되지 않으며,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bbbbbb35"
이전 본문<span style="color: #글자바꿀색상">바꾼 색상 적용</span>다음 본문 }}} 형태로 써야 합니다.
  • 이 틀이 문단 맨 앞에 오는 경우 틀 다음 내용이 강제개행되며, 강제개행을 막으려면 문단 맨 앞에 다음중 하나를 넣어야 합니다.
    • 적당한 것
    • 일반 텍스트
    • {{{{{{#!wiki style="display:none"
}}}}}}
  • '''''' (작은 따옴표 6개로 굵게 표시하는 문법을 한번 호출함)
  • 첫글자나 마지막 글자에 공백을 추가로 더 넣어야 하는 경우 스페이스키로 공백을 입력하지 말고 &nbsp;를 입력해야 합니다.

[1] 사용 방법만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wiki style="font-size:(수)em"[br]서식이 적용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