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4 06:18:05

파이어 모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붕괴3rd에 등장하는 단체}}}에 대한 내용은 [[불을 쫓는 나방]]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불을 쫓는 나방#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불을 쫓는 나방#|]]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붕괴3rd에 등장하는 단체: }}}[[불을 쫓는 나방]]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불을 쫓는 나방#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불을 쫓는 나방#|]]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제원 정보3. 설명4. 변형 기종들
4.1. 전용기4.2. 대셔 II
5. PC게임에서의 성능

1. 개요

Fire Moth. 배틀테크 세계관에서 등장하는 클랜제 20톤 옴니메크이며 매우 빠른 속도로 유명하다.

2. 제원 정보

파일:Fire Moth.png

파이어 모스의 메크 제원 정보
중량 20톤
동체구조 도미네이터 경량-알파 20(엔도강)
동력로 파이어박스 200 출력 초경량(XL) 핵융합 엔진
보행속도 시속 108km
주행속도 시속 162km
(MASC 작동시 시속 216km)
점프젯 포드 장착 가능
점프능력
장갑 아이스시트 철섬유 장갑(2톤)
냉각기 이중 냉각기 10개
무장 무기 포드 6.5톤이 있다. 이하 프라임
오른팔 : 파일:Missile_Weapon.webp 6연장 단거리 미사일 발사기 1문
오른쪽 몸통 : 파일:Missile_Weapon.webp 4연장 단거리 미사일 발사기 1문
왼팔 : 파일:Energy_Weapon.webp 사거리 연장 중구경 레이저 2문
생산자 도미니언 공업단지 카파-4 및 -5
주 생산 공장 고이토, 튤레
최초 생산년도 2870년
통신 시스템 위흐터마크트 IV-a
조준 추적 체계 하퀀 마이크로 시스템즈
가격 420만 8800 C빌(프라임 기준)
기종 특성 좁거나 낮은 몸체
팔이 머리 위에 있음

3. 설명

파이어 모스(Fire Moth)는 클랜 클라우드 코브라에서 개발했는데, 디자인을 보면 팔이 머리보다 높게 들어올린 채로 꺾여있는, 뭔가 기묘한 모양새로 인상깊다. 저 팔은 원래 2868년에 데뷔하여 2870년에 노바와 함께 성공적인 데뷔전을 치른 엘리멘탈 배틀 아머를 빠르게 수송하려는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기묘하게 생긴 팔은 원래 팔 아래에 보병 탑승용 포드를 장착하려는 목적으로 궁여지책으로 저렇게 만들었는데, 한번 테스트해보니 아니다 싶어서[1] 보병 탑승 포드를 뗐으나 팔은 그냥 내버려뒀다고 한다. 솔직히, 파이어 모스한테 지능이 있으면 클랜 과학자 멱살잡을 것 같다.

어쨌든 만들고보니 엔진은 20톤 기준에서는 빠방한 200출력 초경량 엔진을 넣어놔서 속력이 엄청 빨랐고, 순정 상태로 배틀메크 세계에서 가장 빠른 메크들 중 하나로 불린다. 커스텀 버전 중에는 슈퍼차저까지 달아서 더 빠른 것도 흔히 있지만 기본형에서는 파이어 모스를 능가하는 기종이 드물며 그만큼 빠른 속도를 유지할 수도 없고 가격도 훨씬 비싼 편이다. 기묘하게 팔을 치켜들고 MASC 켜고 우다다다 달리는 모양새가 어찌나 인상깊었는지 이너 스피어에서 대셔(Dasher)라는 코드네임을 붙여줄 정도.

막상 만들어놓고보니 클랜 고스트 베어에서 "오 이거 좋은데..." 하면서 교역권 5년치랑 바꿔서 사갔고, 헬즈 호시스에서도 좋다구나 사갔다. 그래서 실제 운용은 클라우드 코브라보다는 고스트 베어랑 헬즈 호시스에서 더 많이 한다. 장갑이 얇고 무장도 단거리용이다보니 주 용도는 정찰과 보병 지원, 가끔 결투용 같은 특수 용도로 쓰인다.

문제는 클랜 전사들의 삐뚤어진 군국주의적 정신세계에서 애초에 보병과 재래식 차량도 중요시 여기는 클랜 헬스 호시스를 제외하고는 보병 지원은 아무도 자의적으로 지원하고 싶어하지 않는 하찮고 천박한 하급 업무라는 것. 그래서 늙고 블러드 네임도 없어서 언제 죽어도 아쉽지 않은 뒷방 신세인 늙은 멕워리어들을 강제로 파이어 모스에 태워버린다. 클랜 놈들은 침대에서 죽는 것을 불명예로 여기기 때문에, 이제 진짜로 거동도 불편한 늙은 전사들은 경비 임무 같은 하찮은 일을 하다 전투가 벌어지면 자살돌격에 가까운 선봉대로 소모시켜버린다. 이걸 클랜 말로 솔라마 부대라고 부르는데, 파이어 모스를 탑승하고 보병 지원 임무를 하는 것은 아직 솔라마에 들어갈 정도는 아니지만 그 직전 상태인 늙은 전사에게 맡겨지기 때문에 파이어 모스 탄 영감들은 대개 엄청 사납고 기분이 더러운 경우가 대부분.

타는 영감들이야 어쨌든, 파이어 모스 자체는 꽤 좋은 메크다. 주로 주어지는 임무는 대개 빠른 속도를 이용해 접근해서 근접 화력을 퍼붓고 일격이탈을 하거나 속도를 살려서 정찰을 하는 것이다. 아주 가끔 직접 전투보단 지휘와 도주가 중요한 지휘관도 파이어 모스를 타는 일이 가끔 있다.

부활 작전 실행 후에는 장갑이 지나치게 얇다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없어서 팬텀[2], 울펜[3] 등 파이어 모스와 속도가 비슷하면서도 장갑과 무장이 증설된 옴니메크가 개발되었다. 둘 다 MASC는 없지만 통상 속도가 높아 충분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4. 변형 기종들

파이어 모스도 옴니메크이니 만큼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 A형: 능동 감지기, 태그를 장비한 강행 정찰 사양. 미사일 방어를 위해서 대 미사일 방어 체계를 붙여놨다. 이 형식은 4연장 스트릭 단거리 미사일 발사기가 유일한 무장이다.
  • B형: 중구경 펄스 레이저와 기관총 각각 두문을 채용한 보병 지원 사양. 전파 방해 슈트, 대 보병 살상 포드는 덤이다.
  • C형: 5연장 장거리 미사일 두기를 장비한 미사일 지원 사양. 방어를 위해서 AMS가 장비돼있다.
  • D형: 화염방사기와 ER 중구경 레이저 다섯문을 사용하는 일격 이탈전 구성이다. 조준 컴퓨터를 장비하여 명중률을 높였다.
  • E형: 6연장 차세대 전술 미사일 체계만 장비한 사양이다.
  • F형: B형의 뒤를 이은 보병 지원 사양이다. ER 중구경 레이저와 대 보병 가우스 라이플을 각각 세문씩 장비하고 있고 능동 감지기가 설치됐다.
  • H형: D형의 뒤를 이은 일격 이탈 사양. 조준 컴퓨터는 그대로 유지한 채 중형 소구경 레이저 9문을 무장으로 채용하였다. 2중 냉각기 1기가 냉각을 위해서 추가 설치돼있다.
  • I형: 5연장 장거리 미사일과 ER 대구경 레이저를 장비한 저격용 사양. 근거리 화력은 중형 소구경 레이저로 보충한다.
  • J형: 오른팔에 플라즈마 캐논과 탄약을, 왼팔에 ER 소구경 레이저 2문과 소구경 펄스 레이저를 장비한 대보병 사양.
  • K형: 중형 중구경 레이저 두문을 주 무장으로 경기관총을 3문씩 묶어서 두 묶음을 장비하였다. 대 배틀 아머 살상 포드는 덤이다.
  • M형: 15연장 장거리 미사일 발사기 한기와 ER 소구경 레이저 네문으로 무장한 경량 고속 미사일 지원 사양. 후술할 알레사 전용기와 비슷하다.
  • P형: 세구경 펄스 레이저 12문을 장착하고 강력 추진기를 장비하였다. 실질적으로 탄약 소요가 없는 기관총 12정을 장비한 것과 유사하다.
  • R형: 혼성 기술 기종으로 이너스피어에서 중구경 레이저, C3 보조 유닛을 장비하고 그 외 무장으로 개량판 중형 중구경 레이저 두문, ER 소구경 레이저, 대 멬 포드, 전파 방해 슈트를 장비한 정찰 사양.
  • T형: 기본형의 암흑기판으로 기본형의 ER 중구경 레이저 두문을 개량판 중형 중구경 레이저로 대체하고 4연장 단거리 미사일 발사기를 개량판 1회용 4연장 스트릭 단거리 미사일 발사기로 바꿨다.

4.1. 전용기

  • Aletha: 클랜 고스트 베어의 알파 은하대 사령관 알레사 카브린스키가 탔던 전용기이다. 오른팔엔 ER 대구경 레이저 한문, 왼팔에는 ER 소구경 레이저 세문으로 무장하고 전파 방해 슈트를 장착했다.

4.2. 대셔 II

파일:Dasher II.png
중량 40톤
동체구조 도미네이터 미디엄-알파 1(엔도강)
동력로 79형 400 출력 초경량(XL) 핵융합 엔진
보행속도 시속 108km
주행속도 시속 162km
장갑 컴파운드 6F형 철섬유 장갑(3톤)
무장 머스탱 4.5 ER 세구경 레이저 6문
생산자 DSF-IT1 제조 공장 내 4번 추가 생산 단지
주 생산 공장 DSS 포세이돈 이동식 생산 공장, 이타바이아나
통신 시스템 컴셋 1
조준 추적 체계 J-트랙 52
기종 특성 저성능
가격 863만 3893 C빌

파이어 모스를 40톤짜리 일반형 멬으로 만든 버전. 하지만 40톤 몸에 400 출력 초경량 엔진을 때려박는 바람에 클랜판 차저가 되었다.[4]

이하 변형기종들.
  • 2번 기종: 파이어 모스 D형과 비슷하게 만든 기종. ER 중구경 레이저 6문을 장비했으며 장갑도 2.5톤 늘고 MASC까지 장비했으나, 이렇게 만들기 위해서 매우 비싼 400 출력 극초경량 엔진을 써야만 했다.
  • 3번 기종: 양 팔에 발톱을 장비하고 중앙에 ER 하전 입자포를 장비한 기종. 엔진 출력을 320으로 내려서야 장비할 수 있었다.
  • 4번 기종: 2번 기종과 마찬가지로 극초경량 엔진을 이용한 기종. 이너스피어에서 초경량 회전의를 사서 장비했으며, 엔진 출력을 280까지 내리고 ER 대구경 레이저, ER 중구경 레이저, ER 소구경 레이저, 세구경 펄스 레이저, 5연장 장거리 미사일 발사기 두기와 체인 채찍을 장비하였다. 떨어지는 기동력을 보완하기 위해서 개량형 점프젯 8기와 3배 강화 마이오머가 사용되었다.

5. PC게임에서의 성능

5.1. 멕워리어 4[5]

파일:attachment/DasherM4.png
기본 성능
이름 파이어 모스(대셔)
기술 유형 클랜
본체 등급 및 중량 라이트, 20톤
장갑 종류/무게 철갑형/5.0톤
내부 구조 경량 철제(Endo Steel)
최대 속도(km/h) 139.97
무기 ER 중형 레이저, CSTRK[6]2 각각 두문
장착 가능한 보조 장치 BAP[7], ECM[8], LAMS[9], 고성능 자이로[10]
점프젯 장착 불가
냉각기 0톤
상세 성능
최대 속력 범위(km/h) 108.00-163.64
가속력-감속력(m/sec) 40-50
회전률 (°/sec) 1.40
몸통 회전 범위 (°) 140
몸통 회전 속도 (°/sec) 80
몸통 상하 가동 범위 (°) 30
무기 슬롯[11]
오른쪽 팔 E: 1, O: 1
오른쪽 몸통 H: 1
왼쪽 몸통 H: 1
왼쪽 팔 E: 1, O: 1

Mektek에서 배포한 MP2 패치를 적용한 용병의 사투(Mercenaries)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메크이다.

프라임 무장모다 장갑이 강화되었지만 속도가 떨어지고(뭣이?!) 무장도 약간 빈약해졌다. 속도는 아마도 파이어 모스 혼자만 넘사벽 수준의 기본 속도를 가지는 것을 염려해서 일부러 낮춘 것으로 보인다.[12] 빠른 속도하나만 가지고 정찰 및 적의 진형을 무너트리는 역할로 사용되는데, 아시다시피 클래스가 클래스인지라... CTF게임에서는 우월한 스피드로 활약을 할 수 있지만, CTF를 하는 유저는 정말 보기힘든다는 점이 문제이다.(...)
유일하게 최대 최고 속력이 160km/h를 넘는 기종이 파이어 모스이기 때문에[13] 개조는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속도를 최대로 끌어올리는 셋팅이 주가 된다. BAP와 ECM을 장착 할 수 있다는 점도 최고의 정찰메크로 쓸 수 있다만 이렇게 될 경우 남은 여유적재량은 딸랑 0.5톤(-_-;). 고성능 자이로를 빼고, 팔 장갑 등을 다 빼서 클랜 NARC을[14] 장착해서 적재적소하게 날려주면 아군 미사일 보트들에게 꽤 도움이 되니 아군과 손발이 척척 맞는 다면 시도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5.2. 멕워리어 온라인

2025년 2월 업데이트로 모습을 보였으며 기본형, B형, C형, D형, H형, K형, AL형[15]이 등장하였다.

5.3. 멕워리어 5: 클랜

파일:logo-clans-v3-c648c119.png
멕워리어 5: 클랜의 등장 메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text-align:center; max-width:100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경량 메크
파일:200px-57exb5w9exok0erew1l70anwba9btt4.png
클랜
파일:logoyogo-1-92.png
20T 파이어 모스(FMH)[DLC]
파일:미스트 링스2.png
25T 미스트 링스(MLX)
파일:아크틱 치타2.png
30T 아크틱 치타(ACH)
파일:키트 폭스2.png
30T 키트 폭스(KFX)
파일:애더2.png
35T 애더(ADR)
파일:logoyogo-1-92.png
35T 제너 IIC(JNR-IIC)[DLC]
파일:이너스피어.png
이너 스피어
파일:플리2.png
20T 플리(FLE)
파일:로커스트2.png
20T 로커스트(LCT)
파일:코만도2.png
25T 코만도(COM)
파일:스파이더2.png
30T 스파이더(SDR)
파일:어번메크.png
30T 어번메크(UM)
파일:자벨린2.png
30T 재블린(JVN)
파일:파이어스타터2.png
35T 파이어스타터(FS9)
파일:메크팬서.png
35T 팬서(PNT)
파일:제너2.png
35T 제너(JR7)
중형 메크
파일:200px-57exb5w9exok0erew1l70anwba9btt4.png
클랜
파일:메크바이퍼.png
40T 바이퍼(VPR)
파일:쉐도우캣2.png
45T 쉐도우 캣(SHC)
파일:노바2.png
50T 노바(NVA)
파일:logoyogo-1-92.png
50T 헌츠맨(HMN)[DLC]
파일:logoyogo-1-92.png
50T 헌치백 IIC(HBK-IIC)[DLC]
파일:스톰크로우2.png
55T 스톰 크로우(SCR)
파일:이너스피어.png
이너 스피어
파일:어쌔신2.png
40T 어쌔신(ASN)
파일:시케이더2.png
40T 시케이더(CDA)
파일:벌컨2.png
40T 벌컨(VL)
파일:블랙잭2.png
45T 블랙잭(BJ)
파일:해칫맨.png
45T 해칫맨(HCT)
파일:피닉스 호크2.png
45T 피닉스 호크(PXH)
파일:빈디케이터2.png
45T 빈디케이터(VND)
파일:센추리온2.png
50T 센추리온(CN9)
파일:헌치백2.png
50T 헌치백(HBK)
파일:인포서2.png
50T 인포서(ENF)
파일:크랩2.png
50T 크랩(CRB)
파일:트레뷰셋배틀.png
50T 트레뷰셋(TBT)
파일:메크울버린.png
55T 울버린(WVR)
파일:섀도우 호크2.png
55T 쉐도우 호크(SHD)
파일:그리핀2.png
55T 그리핀(GRF)
파일:킨타로2.png
55T 킨타로(KTO)
파일:더비쉬2.png
55T 더비쉬(DV)
중량 메크
파일:200px-57exb5w9exok0erew1l70anwba9btt4.png
클랜
파일:매드 독2.png
60T 매드 독(MDD)
파일:라이플맨iic.png
65T 라이플맨 IIC(RFL-IIC)[DLC]
파일:헬브링어2.png
65T 헬브링어(HBR)
파일:logoyogo-1-92.png
65T 에번 재규어(EBJ)[DLC]
파일:서모너2.png
70T 서모너(SMN)
파일:팀버 울프2.png
75T 팀버 울프(TBR)
파일:logoyogo-1-92.png
75T 나이트 자일(NTG)[DLC]
파일:이너스피어.png
이너 스피어
파일:라이플맨2.png
60T 라이플맨(RFL)
파일:챔피언2.png
60T 챔피언(CHP)
파일:드래곤4.png
60T 드래곤(DRG)
파일:퀵드로우2.png
60T 퀵드로우(QKD)
파일:캐터펄트2.png
65T 캐터펄트(CPLT)
파일:예거메크2.png
65T 예거메크(JM6)
파일:선더볼트2.png
65T 선더볼트(TDR)
파일:크루세이더4.png
65T 크루세이더(CRD)
파일:아쳐2.png
70T 아처(ARC)
파일:캐터프랙트2.png
70T 캐터프랙트(CTF)
파일:그래스호퍼2.png
70T 그래스호퍼(GHR)
파일:워해머2.png
70T 워해머(WHM)
파일:머로더2.png
75T 머로더(MAD)
파일:블랙 나이트2.png
75T 블랙 나이트(BL)
파일:오리온2.png
75T 오리온(ON1)
강습 메크
파일:200px-57exb5w9exok0erew1l70anwba9btt4.png
클랜
파일:가고일2.png
80T 가고일(GAR)
파일:워호크2.png
85T 워호크(WHK)
파일:익스큐셔너3.png
95T 익스큐셔너(EXE)
파일:다이어 울프2.png
100T 다이어 울프(DWF)
파일:logoyogo-1-92.png
100T 코디악(KDK)[DLC]
파일:이너스피어.png
이너 스피어
파일:제우스2.png
80T 제우스(ZEU)
파일:차져2.png
80T 차저(CGR)
파일:하타모토치.png
80T 하타모토-치(HTM)
파일:오우썸2.png
80T 오우썸(AWS)
파일:빅터2.png
80T 빅터(VTR)
파일:배틀마스터2.png
85T 배틀마스터(BLR)
파일:스토커2.png
85T 스토커(STK)
파일:사이클롭스2.png
90T 사이클롭스(CP)
파일:하이랜더2.png
90T 하이랜더(HGN)
파일:마울러2.png
90T 멀러(MAL)
파일:커세어2.png
95T 커세어 (COR)
파일:밴시배틀.png
95T 밴시(BNC)
파일:아틀라스2.png
100T 아틀라스(AS7)
파일:킹 크랩2.png
100T 킹 크랩(KGC)
파일:어나이얼레이터2.png
100T 어나이얼레이터(ANH)
파일:머로더22.png
100T 머로더 II(MAD)
}}}}}}

[DLC] [DLC] [DLC] [DLC] [DLC] [DLC] [DLC] [DLC]


고스트 베어의 섬광 폭풍 DLC에서 등장이 확정되었다. 바닐라에서는 스모크 재규어의 1선급 메크들만 총 출동했기 때문에 구작 클랜 메크 중 유일하게 등장하지 못했으나 고스트 베어는 파이어 모스 생산권을 좋다고 사들여서 굴렸기 때문에 충분히 등장할 여지가 있다.


[1] 주무장인 레이저와 SRM-6이 팔에 달려있다보니 얌전하게 보병을 태우고 다닐만한 입장이 아니었다. 이후 엘리멘탈 수송을 고려하는 옴니메크는 엘리멘탈을 싣는 동체 부분에 무기를 장비하지 않는 무기팔 설계를 하게 된다.[2] 40톤급, 360 초경량 엔진[3] 30톤급, 300 극초경량 엔진[4] 출력 400 엔진을 장착한 다른 메크처럼, 중량을 35톤으로 줄이고 350 엔진을 장착하면 여유 중량이 훨씬 늘어나고 가격도 싸지는 엽기적인 결과가 발생한다.[5] 멕워리어4: 용병의 사투(Mechwarrior4: Mercenaries) Mektek MP3 패치 기준.[6] 클랜 스트릭 단거리 미사일. 별도의 포착이 없이 조준경에 조준을 하고 발사하면 유도가 되는 단거리 미사일.[7] 고성능 감지장치(Beagle Active Probe). 탐지 범위를 200m 늘려주고, 미사일 포착시간을 줄여준다.[8] 전파 방해장치(Electronic Countermeasure). 일반 메크에게는 500m 이내, BAP를 장착한 메크에게는 700m 이내에서 탐지된다. 기본 장착.[9] 미사일 요격용 레이저 시스템(Laser Anti-Missile System). 선더볼트 같은 순항 미사일을 제외한 장거리 미사일의 일부를 요격한다.[10] 메크가 잘 넘어지지 않게 해준다. 기본 장착.[11] E: 에너지(광선) 무기, B: 탄도 무기, M: 미사일 무기, D: 직사무기(에너지, 탄도), H: 발열 무기(에너지, 미사일), A: 탄약 무기(탄도, 미사일) O: 모든 무기를 탑재가능[12] 실은 Mektek에서 배포하는 패치는 비공식이다가 멕워리어 탄생 25주년 기념으로 Mektek이 정식적으로 허가를 받아 MP3 패치가 적용된 "멕워리어 4: 용병의 사투"를 무료로 배포하게 되면서 2014년 11월 현재는 공식패치로 여기지고 있다. Mektek의 패치가 전혀 적용이 되지 않았을 때 가장 빠른 메크가 130km/h의 오시리스이어서 밸런싱 차원에서 다운그레이드 한 것으로 보인다.[13] 두번째는 155.95km/h의 로커스트 IIC와 코토.[14] 장거리 미사일과 스트릭 미사일을 별도의 유도 및 조준 필요없이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는게 도와주는 유도 비컨.[15] 알레사 카프린스키의 전용기.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