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4 20:08:05

팩맨 성운

NGC 천체 목록 201-300
New General Catalog 201-30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5px;"
NGC 201 NGC 202 NGC 203 NGC 204 NGC 205 NGC 206 NGC 207 NGC 208 NGC 209 NGC 210
NGC 211 NGC 212 NGC 213 NGC 214 NGC 215 NGC 216 NGC 217 NGC 218 NGC 219 NGC 220
NGC 221 NGC 222 NGC 223 NGC 224 NGC 225 NGC 226 NGC 227 NGC 228 NGC 229 NGC 230
NGC 231 NGC 232 NGC 233 NGC 234 NGC 235 NGC 236 NGC 237 NGC 238 NGC 239 NGC 240
NGC 241 NGC 242 NGC 243 NGC 244 NGC 245 NGC 246 NGC 247 NGC 248 NGC 249 NGC 250
NGC 251 NGC 252 NGC 253 NGC 254 NGC 255 NGC 256 NGC 257 NGC 258 NGC 259 NGC 260
NGC 261 NGC 262 NGC 263 NGC 264 NGC 265 NGC 266 NGC 267 NGC 268 NGC 269 NGC 270
NGC 271 NGC 272 NGC 273 NGC 274 NGC 275 NGC 276 NGC 277 NGC 278 NGC 279 NGC 280
NGC 281 NGC 282 NGC 283 NGC 284 NGC 285 NGC 286 NGC 287 NGC 288 NGC 289 NGC 290
NGC 291 NGC 292 NGC 293 NGC 294 NGC 295 NGC 296 NGC 297 NGC 298 NGC 299 NGC 300
NGC 101-200 NGC 301-400
붉은색 바탕은 성단, 노란색 바탕은 성운, 푸른색 바탕은 은하, 흰색 바탕은 기타 천체, 초록색 바탕은 불명인 천체.
}}}}}}}}} ||
NGC/IC 천체
NGC 280
안드로메다자리의 정상나선은하
NGC 281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발광성운
NGC 282
물고기자리의 타원은하
IC 10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불규칙은하
IC 11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발광성운
IC 282
물고기자리의 정상나선은하
샤플리스 천체
Sh2-183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발광성운
Sh2-184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발광성운
Sh2-185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반사성운
NGC 281
팩맨 성운
Pacman Nebula
파일:PacMan_Nebula.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0h 52m 59.3s
적위 +56° 37′ 19″
별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발광성운
거리 약 9,500 광년
2,900 파섹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1]
규모
지름 96 광년
14.7 파섹
겉보기 크기 35'
명칭
팩맨 성운, NGC 281, IC 11, Sh2-184, LBN 616, LBN 123.17-06.28

1. 개요2. 상세3. IC 1590
3.1. 개요3.2. 상세
4. 관련 문서

1. 개요

Pacman Nebula/NGC 281

팩맨 성운(NGC 281)은 카시오페이아자리방향으로 약 9,500 광년 떨어진 발광성운이다.

2. 상세

E.E 바너드가 1883년에 발견했으며 태양이 위치한 나선팔인 오리온자리 팔이 아닌 이중성단, 하트성운등이 있는 페르세우스자리 팔에 위치해 있다.

성운은 880 광년에 이르는 분자운 복합체의 일부로 추정되며 대략 440만년 전에 분자운 복합체의 성간가스와 O형 주계열성이 폭발하면서 생긴 초신성잔해가 서로 충돌하면서 성운이 처음 만들어졌다고 추정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O형 주계열성B형 주계열성이 100만년 전쯤에 연쇄적으로 폭발하면서 G형 주계열성등의 저질량항성들이 생성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때문에 중심 성단인 IC 1590에는 과거에 생성된 O형 주계열성과 최근에 생성된 B형 주계열성 및 저질량 항성의 나이와 금속량등이 다르다고 한다.

성운은 중심에 위치한 전리수소영역산개성단 IC 1590, 팩맨 모양의 입부분에 위치한 서쪽 분자운(NGC 281 West), 성운의 서쪽 끝에 위치한 분자운(NGC 281 East)[2]으로 3개의 주요 하위 성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3] 이중 산개성단 IC 1590에서 나오고 있는 자외선으로 인해 분자운과 전리수소영역이 분산되고 있어 향후 500만년 안에는 성간가스가 완전히 흩어져 성운이 사라질 것이라고 한다.

3. IC 1590

IC 천체
IC 1589
조각가자리의 이중성
IC 1590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발광성운
IC 1591
고래자리의 막대나선은하
콜린더 천체
Cr 7
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Cr 8
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Cr 9
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IC 1590
파일:The_Pacman_Nebula.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0h 52m 49.0s
적위 +56° 37′ 42″
별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발광성운
거리 약 9,500 광년
2,900 파섹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7.4
규모
지름 21 광년
6.5 파섹
겉보기 크기 6.3'
명칭
IC 1590, Cr 8

3.1. 개요

IC 1590

IC 1590은 팩맨성운(NGC 281) 내부의 산개성단이다.

3.2. 상세

앞서 NGC 281의 상세 문단에서 상술했듯 1차적으로 발생한 나이가 많은 O형 주계열성, B형 주계열성 및 극소수의 저질량 항성들로 구성된 하위 성단과 후에 생성된 저질량 항성들과 B형 주계열성으로 구성된 하위 성단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중 전자는 NGC 281의 전리수소영역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후자는 NGC 281의 전리수소영역과 북서쪽, 북동쪽에 위치한 분자운 경계에 위치해 있다고 한다.

1차적으로 형성된 성단은 사실상 NGC 281을 이온화시키는 성단으로 350만년의 나이를 가지고 있으며 성단에서 가장 밝은 항성은 7.78등급의 O형 주계열성으로 구성된 사중성계인 HD 5005이다. 이 HD 5005는 성단의 중앙 지역에 성간먼지와 가스를 전부 밀어내버린 주범이라고 한다.

두번째로 형성된 성단은 서쪽 분자운과 전리수소영역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상술한 HD 5005가 속해 있는 하위 성단과는 분리되어 있다고 한다. 또한 이 두번째로 형성된 성단은 북쪽과 남쪽에 위치한 성단으로 한번더 나눌 수 있다고 하며 이 두 성단은 서로 생성 원인이 다른 분리된 항성이라고 한다.[4]

상술한 두 하위 성단(IC 1590)이외에도 NGC 281 내부의 분자운들인 서쪽 분자운, 동쪽 분자운에서도 별 생성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 분자운들 별 형성과 IC 1590간에 관련이 있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5][6]

또한 아직도 활발한 별 형성을 하고 있는 만큼 성단 내부[7][8]에는 수많은 원시성과 전주계열성이 있으며 이 YSO(젊은 항성체)들중 일부는 먼지디스크를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IC 1590의 중심에 위치한 늙은 하위 성단에서는 질량분리[9]가 일어난 것이 밝혀졌는데 정작 관측결과에서는 질량분리된 성단의 특징들[10]이 IC 1590에선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아직까지 이유가 밝혀지지 않았다.

4. 관련 문서



[1] 알려지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사이트에 있는 7.4의 겉보기 등급은 팩맨 성운 내부에 있는 IC 1590 성단의 겉보기등급으로 성운의 겉보기등급과는 관련이 없다.[2] 상술한 두 분자운의 방향과 명명된 이름의 방향이 다른데 이는 성단을 기준으로 분자운의 이름을 지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지만 확실한 정보가 없다.[3] 이외에도 성운 북서쪽과 북동쪽 끝부분에도 분자운이 있으나 잘 알려지진 않았다.[4] 상술한 두 성단중 전자는 서쪽 분자운의 북동쪽과 북서쪽 경계에 위치해 있으며 후자는 서쪽 분자운의 남쪽 경계에 위치해 있어 서로 다른 원인으로 생성된 개별적인 성단이라고 한다.[5] 다만 IC 1590에서 시작된 이온화 전선이 14광년 떨어진 젊은 성단의 남쪽 경계에 위치한 하위 성단으로 이동하려면 젊은 성단 내부의 전주계열성의 나이가 최소 50만년이내여야 하지만 측정결과 55만년이라는 나이를 가지고 있어 관련이 없다는 주장이 우세하다. 하지만 북동쪽, 북서쪽 경계에 위치한 하위 성단은 이온화 전선의 도달 시간과 나이가 거의 일치해 IC 1590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6] 앞의 각주에서 얘기했듯 IC 1590과 북서쪽, 북동쪽 경계에 위치한 하위 성단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으로 거의 확정되었지만 남쪽 경계에 위치한 성단의 발생 기원은 아직도 미궁에 빠져 있으며 아마 성운의 기원이 되는 초거품과는 다른 이미 사라져버린 초거품이 성운을 통과하면서 충격파가 발생해 이온화되면서 별 형성이 시작되었다는등 추측만 하고 있는 중이라고 한다.[7] 대부분이 최근에 형성된 성단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 분자운, 서쪽 분자운에도 몇개의 전주계열성과 보크 구상체가 위치해 있다.[8] 동쪽 분자운과 전리수소영역의 경계에 위치해 있는 전주계열성의 나이는 100만년으로 어린 반면 성단 내부에 위치한 전주계열성의 나이는 100만년에서 150만년 사이, 서쪽 끝부분에 위치한 전주계열성의 나이는 200만년으로 꽤나 차이가 크며 이는 과거 폭발한 1세대 항성들의 폭발 잔해와 동쪽, 서쪽에 위치한 분자운이 서로 충돌하면서 2차적으로 별 형성이 시작되었다는 가설의 결정적인 증거중 하나라고 한다.[9] 항성들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무거운 항성은 성단의 중심으로, 가벼운 항성은 성단의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이다.[10] 항성들간의 에너지 균등 분배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