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5 06:52:32

보크 구상체


'''항성은하천문학·우주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colbgcolor=RoyalBlue><colcolor=#fff>항성천문학
측광학광도 · 별의 등급
항성
()
<colbgcolor=RoyalBlue><colcolor=#fff>속성변광성 · 색등급도 · 별의 종족
항성계다중성계(쌍성) · 성단(산개성단의 분류 ·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 · 청색 낙오성) · 성군
항성 진화주계열 이전 단계
(보크 구상체 · 진스 불안정성 · 하야시 경로 · 황소자리 T형 별 · 원시 행성계 원반)
주계열성주계열성의 단계
주계열성의 종류M형
K형 · G형
F형 · A형
B형 · O형
주계열 이후
항성 분류준왜성(차가운 준왜성 · O형 준왜성 · B형 준왜성) · 탄소별(C형(CR 별 · CN 별 · CH 별) · S형 별) · 특이별(Am 별 · Am/Fm 별 · Ap/Bp 별 · CEMP 별 · HgMn 별 · 헬륨선 별(강한 헬륨선 별 · 약한 헬륨선 별) · 바륨 별 · 목동자리 람다 별 · 납 별 · 테크네튬 별) · Be 별(껍질 별 · B[e]별) · 헬륨 별(극헬륨 별) · 초대질량 항성(쿼시 별) · 섬광성
밀집성백색왜성(신성 · 찬드라세카르 한계) · 중성자별(뉴트로늄 · 기묘체) · 블랙홀(에딩턴 광도)
갈색왜성갈색왜성의 형성 과정
갈색왜성의 단계
갈색왜성의 종류Y형 · T형 · L형
갈색왜성의 이후 진화
분류법여키스 분류법 · 하버드 분류법
은하천문학
기본 개념은하(분류) · 활동은하핵(퀘이사) · 위성은하 · 원시은하(허블 딥 필드) · 툴리-피셔 관계 · 페이버-잭슨 관계 · 헤일로(암흑 헤일로)
우주 거대 구조은하군 · 은하단 · 머리털자리 은하단 · 페르세우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페르세우스자리 은하단) · 섀플리 초은하단 · 슬론 장성 · 헤르쿨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
우리 은하은하수 · 록맨홀 · 페르미 거품 · 국부 은하군(안드로메다은하 · 삼각형자리 은하 · 마젤란은하(대마젤란 은하 · 소마젤란 은하) · 밀코메다) · 국부 시트 · 처녀자리 초은하단(처녀자리 은하단)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화로자리 은하단 ·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 · 센타우루스자리 은하단 · 거대 인력체) · 물고기자리-고래자리 복합 초은하단
성간물질성운(전리수소영역 · 행성상성운 · 통합 플럭스 성운) · 패러데이 회전
우주론
기본 개념허블-르메트르 법칙 · 프리드만 방정식 · 우주 상수 · 빅뱅 우주론 · 인플레이션 우주론 · 표준 우주 모형 · 우주원리 · 암흑 물질 · 암흑에너지 · 디지털 물리학(시뮬레이션 우주 가설) · 평행우주 · 다중우주 · 오메가 포인트 이론 · 홀로그램 우주론
우주의 역사와 미래우주 달력 · 플랑크 시대 · 우주배경복사(악의 축) · 재이온화 · 빅 크런치 · 빅 립 · 빅 프리즈
틀:천문학 ·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천문학 관련 정보
}}}}}}}}} ||

행성계의 형성 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ext-align: center;"
원시 성운 N
O
N
E
외부 충격에 의해 성운 수축
보크 구상체
행성
항성
미행성 형성 원시 항성 형성(프로토스타)



미행성이 서로 뭉쳐짐 황소자리 T형 별
전주계열성


행성 형성
초기 주계열성
주계열성 N
O
N
E
}}}}}}}}} ||

1. 개요2. 상세3. 관측 역사


파일:Bok_globules_in_IC2944.jpg
전리수소영역IC 2944 내부의 보크 구상체들[1]

파일:Bok_globule-fingerofgod.jpg
용골자리 성운의 반항하는 손가락(Defiant Finger)[2]

파일:123108main_image_feature_371_ys_full.jpg
보크 구상체 안에서 태어나고 있는 원시별(예상)[3]

1. 개요

Bok globule

보크 구상체는 짙은 먼지와 가스로 이루어진 작은 암흑성운의 일종으로, 이 안에서는 원시별이 태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크 구상체는 주로 전리수소영역 내에서 발견되며, 그 크기는 보통 1 광년 정도에 질량은 태양의 10~50배 정도이다.

2. 상세

주요 성분은 수소 분자 및 산화탄소, 헬륨과 그리고 1퍼센트 정도의 규산염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보크 구상체는 자체적인 중력 수축을 통해 내부 중심부에 원시별을 만들며, 구상체 내부의 원시별은 주로 쌍성 혹은 다중성으로써 형성된다.

구상체는 우주에서 가장 차가운 지역 중 하나로 꼽히는데 그 온도가 3 켈빈 수준에 불과할 정도이다. 물론 중심 원시별 주변은 굉장히 뜨겁다.

보크 구상체는 아직까지도 많은 연구가 필요한 천체이다. 두꺼운 먼지층이 가시광선 관측을 봉쇄하기 때문에 내부 구조에 대해 잘 알지 못하며, 구상체의 구성 양상과 가스 밀도는 아직 미스터리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근적외선 영역 전자기파의 소광 현상을 통해 기둥밀도를 도출하거나, 구상체의 특성을 밝혀줄 항성을 연구하는 정도가 지금까지 이 천체를 탐구하기 위해 사용된 방법들이다.

3. 관측 역사

보크 구상체는 1940년 천문학자 바트 보크가 최초로 발견했다. 보크 구상체라는 이름 또한 발견자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 1947년 보크와 E. F. 리얼리는 논문에서 이러한 구상체 내부에서 가스가 중력 수축을 일으켜 항성성단을 만들고 있다는 주장을 했지만, 보크 구상체 내부는 가시광선으로 볼 수가 없으며, 당시의 관측 기술로는 이러한 점을 해결하는게 매우 어려웠기 때문에 이러한 보크의 주장을 입증할 방법이 없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로 보크 구상체들을 적외선 영역으로 관측한 결과 구상체 내부에서 별들이 태어나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관측이 더 심화되면서 구상체 중심부에서 생겨나는 원시별 표면으로 물질들이 낙하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1] 뿌옇게 보이는 것은 전리수소영역(발광성운)이 구상체 앞에 있어서 그렇게 보이는 것.[2] 신의 손가락(finger of god)이라고도 하는데, 미켈란젤로천지창조에 등장하는 그 손가락이다.[3] 파일:A_star_forming_globule_of_dust_and_gas_pillars.jpg실제사진(ESA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