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2 17:27:59

포스탈: 브레인 데미지드

파일:Postal Logo.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본편
메인 포스탈 포스탈 2 포스탈 III 포스탈 4: 후회는 ㅇ벗다
확장팩 포스탈 스페셜 딜리버리
슈퍼 포스탈 (일본판)
포스탈 플러스
포스탈 2: 셰어 더 페인
포스탈 2: 아포칼립스 위켄드
포스탈 2: 코르크스크루 룰 (비공식)
포스탈 2: 파라다이스 로스트
- -
MOD - 이터널 댐네이션
포스탈 2: 어 위크 인 파라다이스
- -
리메이크 포스탈 리덕스 포스탈 2 리덕스 - -
외전
FPS 포스탈: 브레인 데미지드
탑뷰 푸스톨 로얄
}}}}}}}}}}}}||

포스탈 브레인 데미지드
POSTAL: Brain Damaged
<nopad> 파일:Postal-Brain-Damaged-cover.jpg
개발사 하이퍼 스트레인지, 크리에이티브포지 게임즈
배급사 러닝 위드 시저스, 하이퍼 스트레인지
플랫폼 Microsoft Windows | PlayStation 4
PlayStation 5 | Nintendo Switch
출시일 PC
2022년 6월 10일
PS4 / PS5
2023년 10월 24일
NS
2024년 2월 2일
엔진 유니티
장르 액션, 슈팅, 공포, 고전 FPS
ESD 파일:rwslogo.png | 파일:스팀 로고.svg

1. 개요2. 발매 전 정보3. 스토리4. 등장무기
4.1. DLC
5. 특징6. 평가7. DLC: 디즈 써니 데이즈8. 시스템 요구 사양
8.1. 본편8.2. DLC
9. 기타

1. 개요

포스탈 4 얼리 액세스 발매 이후 3년만에 돌아오는 포스탈 시리즈의 외전격 신작.[1]

미국 시간으로 2020년 9월 6일, 듀크 뉴켐 시리즈의 제작사로 유명한 3D 렐름즈 자체 온라인 게임쇼 ‘렐름즈 딥 2020(Realms Deep 2020)’에서 처음 공개됐다. 포스탈 1의 스핀오프 작품으로, 크리에이티브 포지와 하이퍼스트레인지가 공동 개발하고 러닝 위드 시저스가 퍼블리싱한다. 몇 차례 발매 연기를 거친 끝에 2022년 6월 10일 정식 발매되었다.

스팀에서 데모버전을 무료로 즐길 수 있다.

2. 발매 전 정보

===# 트레일러 #===
POSTAL: Brain Damaged - 공식 발표 트레일러
POSTAL: Brain Damaged - 렐름즈 딥 2021 게임플레이 티저 트레일러
POSTAL: Brain Damaged - 데모 인트로
POSTAL: Brain Damaged - 스팀 데모 공개 트레일러
===# 스크린샷 #===
파일:POSTAL_Brain_Damaged_screenshot_01.jpg파일:POSTAL_Brain_Damaged_screenshot_02.jpg
파일:POSTAL_Brain_Damaged_screenshot_03.jpg파일:POSTAL_Brain_Damaged_screenshot_04.jpg
파일:POSTAL_Brain_Damaged_screenshot_05.jpg파일:POSTAL_Brain_Damaged_screenshot_06.jpg

3. 스토리

주인공은 언제나 그래왔듯 시리즈 전통의 주인공 더 포스탈 듀드. 시간적 배경은 포스탈 리덕스 정신병원 엔딩 직후다. 어느날 우베 볼 영화를 보며 정주행을 하던 듀드는 지루해져 소파 위에서 잠을 자다가 악몽을 꾸게 된다.

본작은 듀드의 악몽을 다룬 3개의 메인 챕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챕터마다 5개의 레벨로 나눠져 있는데 첫 번째 챕터는 작동이 되는 TV를 찾는 내용, 두 번째 챕터는 화장실을 가야하는데 변기가 없는 내용, 마지막 챕터는 레온 더스크[2]에게 싸인을 받는 내용이다.

[ 스포일러 ]

레온 더스크와 싸우기 위해 아레나로 입장하는데, 레온 더스크의 정체가 또다른 듀드였다.[3] 듀드는 마치 퀘이크나 언리얼 토너먼트처럼 인공지능 봇과 싸우는 것처럼 플레이어와 대결하게된다. 그러다 체력이 바닥나면 갑자기 거대 로봇을 타고 마지막 결전을 치르게 된다. 그러나 또다른 듀드가 발악으로 듀드와 백병전을 벌여 우위에 서게되고 압박을 가한다. 이때 또다른 듀드는 자신은 또다른 자신이기에 절대로 죽일수도, 지울수도 없다며 일장연설을 하다가 듀드의 임기응변으로 쏜 총에 죽는다. 그리고 갑자기 하늘에서 떨어지자 듀드는 변기에 오줌을 누게되어 비로소 악몽에서 벗어나게된다. 그런데 현실에선 이미 담요를 비롯한 소파에 오줌을 뿌린 상태였고, 이마에는 이상한 삼각안 표시가 생기게 된다.

4. 등장무기

  • 삽(The Shovel)
    "16톤을 실어서 뭘 얻겠다는 거야?"

    전기톱 달린 삽. 삽으로 베거나, 톱으로 적을 갈아버릴수있다. 원거리 공격에 타이밍을 잘 잡는다면, 투사체를 페리해서 튕겨내 적들에게 되돌려줄수 있다.
  • 그닥 똑똑하지 않은 권총 MK420 (Not-so-Smart pistol MK420)
    파일:202205162214107_1.jpg
    "이 총이 나보다 더 똑똑하다고?"

    처음으로 얻을 수 있는 총기로, 권총에 작은 텔레비전을 달아놓은 듯한 모양새다. 그저 초반에나 잠깐 쓰는 권총인줄 알겠지만 이 총에는 특수능력이 있는데, 우클릭을 하면 일정 범위 내의 적을 자동으로 조준하여 발사한다! 조준할 때 초록색 선이 생기며 세 발을 발사하는 식이다.[4]
  • 슈퍼 후커 샷건 (Super Hooker[5]Shotgun)
    "이리로 왓!"

    둠 이터널의 슈퍼 샷건을 패러디한 더블배럴 산탄총으로, 둠 이터널의 그것과 기능이 완전히 똑같다.[6]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차이점은 갈고리가 총 위에 달려있으며 약실 부분이 콜라캔(...)이라는 것 정도?
  • 네일바이터 (Nailbiter)
    자동사격형 네일건으로 기관총 처럼 쓸 수 있는데다가,주변 시간을 느리게 하는 자명종을 발사할 수 있다.
  • 그대보다는 신성한 발사기 (Holier-than-Thou Launcher)
    로켓런처로 병으로 만든 로켓을 발사하는 건 물론 안티오크의 성스러운 수류탄까지 발사할 수 있다.
  • 뇌박이 총69000 (Brain Fucker Gun 69000)
    그 유명한 BFG 9000을 패러디한 무기로 뇌의 전기로 레이저를 발사하는 건 물론 40발을 소모해서 뇌모양 폭발성 에너지탄을 발사할 수 있다.
  • 총 나가신다 부르르르 (Gun Goes Brr)
    크랭크식 개틀링건으로 기본적인 연사력이 높은 건 물론 중앙에서 총열을 꺼내 교체 당시 맞춘 곳을 록온하고 이후의 총탄이 추적하게 하는 자동추적기능도 있다.
  • 관통자 (Penetrator)
    큼직한 X도를 발사하는 활(...)로 활시위를 당길 때 여성의 신음소리가 나오는 건 덤. 포스탈 4로도 역수출되었다.
  • 야옹이 청소기 (Pussy Blower)
    우리 안의 고양이를 발사하는(...) 포스탈하면 나올법한 총으로 청소기같은 곳에서 고양이를 발사하면 최대 3마리의 고양이가 탄착점에 들러붙는데, 이를 보조사격으로 빨아들여 회수할 수도 있다. 참고로 아킴보로 쏘면 핏자국으로 변해버린다.
  • 오줌(...) (Urine)
    검열삭제에서 나오는 노란 물줄기(...). 그런데 액체질소를 쓰면 적을 얼려버리는 냉매발사기가, 핫소스를 쓰면 맞춘 곳에 불을 지르는 화염방사기가, 이상한 문샤인을 쓰면 이상한 보라색 액체를 뿜는데, 이걸 맞은 대상은 혼란 상태가 되어 가까운 아군을 공격한다.

4.1. DLC

  • 냥산 (NyanBrella)
    파라솔이 달린 드릴. 드릴로 갈아버리거나, 파라솔로 막을 수 있다.
  • 오줌 총 (Piss Gun)
    문자 그대로 오줌을 발사하는 물총. 오줌답게 탄은 포물선으로 날아가며, 차지샷은 물총을 펌프질한 뒤, 왼손 검지에서(...) 오줌 줄기를 연사한다. 기본 오줌처럼 마신 것에 따라 추가 효과가 붙는 건 덤.
  • 소시지 분쇄기 (Wiener-Grinder)[7]
    소시지를 탄으로 쓰는 산탄총. 충전하면 소시지 폭탄을 발사한다.
  • 풍선총 (BubbleGun)
    풍선껌을 발사하는 기관총. 보조사격으로 배리어를 켜 탄을 막을 수 있지만, 배리어는 과도한 피해를 흡수하면 터진다.
  • 니후장윰 주사기 (UrAnusium Syringe)[8]
    니후장윰이라는 방사능 물질을 발사하는 저격소총. 정조준 후 충전해서 발사한다.

5. 특징

고전 FPS 스타일이기 때문에 게임의 페이스가 빠르고 무기 디자인이 좀 더 '하이퍼'스러워졌으며, 듀드의 악몽이기 때문인지 본편 포스탈 시리즈에 있는 적들보다 그로테스크한 적도 등장한다. 하이퍼다운 무빙 테크닉도 있는데 기본적인 무빙 테크닉으로 슬라이딩 점프가 있다. 딜레이도 없다시피해서 간단하게 슬라이딩 점프를 반복하는 것만으로도 넓은 맵을 빨리 이동할때 유용하다.

게임이 처럼 변했다. 요일별로 미션을 완료해서 진행하는 전작과 다르게, 처럼 하나의 스테이지를 깨는 방식이며 마지막에 시크릿을 얼마나 찾아냈는지나 적을 얼마나 죽였는지도 나온다.[9]

6.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플랫폼 메타스코어 유저 평점
파일:Windows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pc/postal-brain-damaged|
71
]]


[[https://www.metacritic.com/game/pc/postal-brain-damaged|
8.1
]]

기준일:
2025-05-28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오픈크리틱#s-2|
#!if (+average) >= 84
[[파일:오픈크리틱 mighty-man.png|width=50px]]
#!if (+average) <= 83 && (+average) >= 75
[[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width=50px]]
#!if (+average) <= 74 && (+average) >= 66
[[파일:오픈크리틱 fair-man.png|width=50px]]
#!if (+average) <= 65 && average != null && average != "-"
[[파일:오픈크리틱 weak-man.png|width=50px]]
{{{#!if average == null
average == "-"
파일:오픈크리틱 --man.png}}}]]
[[https://opencritic.com/game/13235/postal-brain-damaged|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3) * 1.8deg)), #fc430a 73%, #2e2e2e 73%)"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3}}}}}}}}}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3) * 1.8deg)), #9e00b4 73%, #2e2e2e 73%)"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3}}}}}}}}}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3) * 1.8deg)), #4aa1ce 73%, #2e2e2e 73%)"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3}}}}}}}}}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3) * 1.8deg)), #80b06a 73%, #2e2e2e 73%)"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3}}}}}}}}}
평론가 평점]]
[[https://opencritic.com/game/13235/postal-brain-damaged|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50) * 1.8deg)), #fc430a, #fc430a, #ffd86f, #ffd86f, #ffd86f, #fc430a, #fc430a 50%, #2e2e2e 5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50%}}}}}}}}}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50) * 1.8deg)), #b370df, #e566b1, #e566b1, #ff6ec4, #a871e3, #7973f5, #706bdf 50%, #2e2e2e 5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50%}}}}}}}}}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50) * 1.8deg)), #478c77, #76c8ff 50%, #2e2e2e 5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50%}}}}}}}}}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50) * 1.8deg)), #6c9059, #627f50 50%, #2e2e2e 5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50%}}}}}}}}}
평론가 추천도]]
[[https://opencritic.com/game/13235/postal-brain-damaged|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fc430a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9e00b4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4aa1ce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80b06a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유저 평점]]


기준일:
2025-05-28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359980/#app_reviews_hash|압도적으로 긍정적 (9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359980/#app_reviews_hash|압도적으로 긍정적 (9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포스탈 역대 시리즈 중 가장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기존의 포스탈 작품들은 매니아 층을 비롯한 유저 스코어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어도 평론가에게는 박한 평가를 받아왔다. 브레인 데미지드는 메타스코어 71, 탑 크리틱 73으로 기존 시리즈에 비해 준수한 점수를 기록하면서 평론가에게도 나름대로 작품성을 인정받았다.[10] 또한 출시 초반에는 각종 평론 사이트에서 시리즈 작품 중 가장 명작이라고 꼽히는 포스탈 2보다도 더 높은 유저 스코어를 기록하고 있었으며 본가에서 제작한 포스탈 4가 정식 출시 후로도 최적화 실패와 각종 버그 등으로 혹평을 받고 있는 와중에도 브레인 데미지드는 출시 직후부터 현재까지 "압도적으로 긍정적"을 유지하고 있다.

대체로 90년대와 00년대 초반의 고전 FPS를 떠오르게 만드는 게임 스타일이 매력적이라는 평이 많으며, 각 스테이지가 크고 짜임새 있게 구성되어 탐험과 탐색 행위를 즐겁게 해준다는 점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PC 인베이전의 평론가 앤드류 패럴은 레벨 디자인이 너무 뛰어나서 DUSK와 경쟁하거나 심지어 일정 부분에서는 능가할 수도 있다라고 호평했다.

외주 제작이지만 포스탈 시리즈가 각종 패러디와 성역 없는 사회 풍자, 블랙 코미디 요소로 유명한 만큼 개발을 맡은 하이퍼 스트레인지, 크리에이티브포지 게임즈 또한 이 점을 고려하여 본 작에 여러 풍자 요소들을 삽입한 점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캣 레이디[11]이라던지 2021년 미국 휴지 부족 사태[12], 밸브 코퍼레이션을 패러디한 벌버와 10년이 넘어가도록 공개되지 않고 있는 하프라이프 3의 사본, 어쌔신 크리드에서 영감을 받은 듯한 건초의 도약, 심즈의 대표적 아이콘인 머리 위 녹색 보석 등 이 외에도 리펄션, 스타워즈, 에이리언과 같은 여러 영화들의 패러디 요소들이 삽입되어 있다.

7. DLC: 디즈 써니 데이즈

본편이 예상 외의 흥행과 더불어 준수한 평을 받자 러닝 위드 시저스는 개발사와 DLC 논의에 착수하였고 이후 2025년 9월 10일 포스탈: 브레인 데미지드의 첫 번째 DLC인 디즈 써니 데이즈가 출시되었다. 본작과 동일하게 하이퍼 스트레인지와 크리에이티브포지 게임즈가 개발을 맡았으며 스토리는 브레인 데미지드 이후의 시점을 다룬다. 어느날, 듀드는 해변으로 놀러가서 휴가를 즐기고 있었는데 새로 당선된 대통령이 갑자기 미국 내의 모든 진저들을 체포하겠다는 공문을 발표하고 해변가에 있는 모두가 듀드를 공격하기 시작한다. 한편, 죽은줄 알았던 레온 더스크가 듀드의 무기들을 모두 훔쳐가자 듀드는 레온 더스크의 뒤를 쫓는다.

[ 스포일러 ]

대통령을 처단하기 위해 백악관으로 향했지만 대통령의 정체는 왠 개구리 모양의 머펫이였다. 대통령이 쓰러지자 천장이 뜯겨나가면서 갑자기 거대한 고양이가 나타나 동족의 복수를 한다며 듀드를 공격한다. 전투가 끝난 후, 고양이는 자신의 복수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구덩이로 떨어져 죽는다. 듀드가 왜 자신에게 불만이 있는지 모르겠다며 돌아가려던 찰나, 뒤에서 레온 더스크가 나타난다. 레온 더스크는 듀드에게 자신이 준비해 놓은게 재밌었냐며 물어보고 자신의 정체를 들어내는데 당연히 또다른 듀드였다. 듀드는 또다른 듀드를 죽이려고 하지만 지난번에 생긴 삼각안 때문에 두통을 앓는다. 그때 또다른 듀드는 자신을 죽이려고 하면 오직 자기만 강해진다며 이제 자기자신이 누구인지 받아들이라며 핵 미사일을 발사한다.[13] 듀드는 미사일 발사를 막기위해 컴퓨터를 향해 오줌을 갈기지만... 이 모든게 꿈이였다. 역시 이번에도 듀드는 또 오줌을 지리면서 잠에서 깬다.

8. 시스템 요구 사양

8.1. 본편

시스템 최소 사양 시스템 권장 사양
OS 윈도우 비스타, 7, 8, 10
CPU Intel Core i5 /
AMD FX-8300
Intel Core i5-2500K /
AMD FX-8370
메모리 4GB 8GB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650 /
AMD Radeon HD 5770
NVIDIA GeForce GTX 760
AMD Radeon HD 7870
HDD 4GB

8.2. DLC

시스템 최소 사양 시스템 권장 사양
OS 윈도우 10 이상
CPU Intel Core i5 4세대 Intel Core i7 10세대
메모리 4GB 8GB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780M NVIDIA GeForce RTX 2080
HDD 15GB

9. 기타


[1] 포스탈 4가 2019년 10월에 얼리 액세스로 출시됐으나 1년이 넘도록 아직 정식 출시도 하지 않은 상황에서 신작 발표를 하여 비난을 받기도 하였으나, 브레인 데미지드는 다른 개발사에서 제작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비난 여론은 많이 없어진 상태이다.[2] 미국의 기업인 일론 머스크와 게임 DUSK의 주인공 더스크 듀드를 패러디했다.[3] 심지어 성우가 릭 헌터다.[4] 캐서디의 그것보다는 타이탄폴의 MK5 스마트 피스톨이나, 2022년 얼리 출시한 사이버펑크풍 레트로 FPS 게임 Turbo overkill에 나오는 기본 쌍권총의 보조발사모드에 더 가까운 스타일로 보여진다.[5] 후커 라는 단어가 포스탈 다운 언어유희인데, hooker라는 단어가 무언가를 낚아채는 갈고리의 뜻도 있지만, 동시에 창녀에게 사용되는 단어이기도 한다.[6] 설명란에 아예 대놓고 유명한 게임에서 가져왔다고 적혀있다.[7] 히스패닉을 부르는 멸칭 중 하나인 Beaner가 빈 사람을 뜻하는 Wiener의 독일식 발음 비너와 유사한 것을 이용한 작명.[8] 유어(You're)와 유알(UR)의 발음이 비슷하고 Anus는 엉덩이라는 뜻을 가진다.[9] 물론 게임중에도 ESC를 눌러 확인이 가능하다.[10] 평론가 점수의 경우 메타크리틱과 오픈크리틱, 모두 시리즈 최고 점수이기도 하다.[11] 한국에서는 캣맘으로 불린다.[12] 2021년 9월 미국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경제 회복과 추수감사절 연휴 특수가 겹치면서 소비 수요가 급증했지만, 항만 적체와 화물차 운전사 부족으로 공급이 원활하지 못했고 소비자들에게 항만 파업 소식이 알려지자마자 휴지 사재기 현상이 나타나면서 휴지 부족 사태가 일어났다.[13] 이때 미사일 발사 버튼을 누르는 순간, 또다른 듀드에서 순식간에 듀드로 바뀌는 연출이 일어난다.[14] 포스탈 리덕스에서도 엔딩 텍스트 나레이터를 맡았다.[15] 차이점은 갈고리가 총 위에 달려있으며 약실 부분이 콜라캔이다(...).[16] 파일:20220516222334_1.jpg아예 등급중 둠 슬레이어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