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9 08:57:40

포티튜드 작전

1. 개요2. 배경3. 북 포티튜드 작전4. 남 포티튜드 작전5. 결과6. 여담

1. 개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노르망디 상륙작전의 상륙지점을 속이기 위해 연합군이 펼친 기만작전. 이 작전의 성공으로 독일군은 노르망디보다 북쪽의 파 드 칼레 지점과 노르웨이 해안에 방어를 집중하였고 덕분에 연합군은 인류역사상 최대 규모의 상륙작전을 비교적 적은 피해로 성공시켰다.

2. 배경

2차대전 발발 직후 연합군과 나치 독일의 정보력을 비교하면, 나치 독일 쪽이 약간 우세했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러나 전쟁 중반부터는 독일군 암호체계인 에니그마가 영국 암호해독 팀인 "울트라"에 의해 뚫려 연합군은 독일군 수뇌부의 의중을 상당부분 파악하고 있었고, 해독된 비밀통신을 바탕으로 영국은 자국에 침투한 독일 스파이들을 대부분 찾아내었다. 전쟁이 끝난 후의 분석에 따르면, 당시 영국에 침투한 독일군 스파이는 총 50명이었는데, 영국은 이 중 한 명을 제외하고 전부 잡아냈고, 한명은 알 수 없는 이유로 죽었다고 한다. 영국은 이렇게 잡아낸 스파이 가운데 상당수를 이중간첩으로 전향시켜 독일 수뇌부에 거짓 정보를 흘리게 했다. 한편 1940년 가을 무렵 독일 공군은 영국 본토 항공전 패배의 후유증으로 항공정찰도 제대로 못하는 실정이었다.

이런 정보력의 우위를 바탕으로 영국은 독일군의 이동을 상당부분 파악하고 있었는데, 특히 공군과 해군은 대부분의 통신이 무선으로 이루어져서 도청이 쉬웠던 관계로, 상당수 부대의 이동을 거의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연합군 해군은 이런 정보를 최대한 활용하는 한편 자신들이 암호를 해독해서 적의 위치를 파악한 것이 아니라 정찰로 발견한 것처럼 속이기 위해 적 함정의 예상경로에 가짜 무선통신을 하는 정찰기를 보내기도 했다.

한편 독일을 상대로 역으로 다양한 기만전술을 시도했는데, 그 중에 하나가 시칠리 섬 상륙(허스키 작전) 작전을 속이기 위해 실시한 '다진 고기(민스미트) 작전'이다. 런던에서 쥐약을 먹고 죽은 노숙자의 시체를 비행기가 격추되어 바다에 빠져 죽은 연락장교의 시체인 것처럼 포르투갈 해변에 떠밀려가게 하여, "정어리를 얼마나 가지고 갈지 모릅니다"라는 마치 암호문처럼 위장한 거짓 엽서를 가방에 넣어두어 연합군의 공격목표가 시칠리 섬이 아닌 그리스와 사르데냐 섬[1]으로 착각하도록 했다.[2] 기만전술의 성공으로 재미를 본 연합군은 프랑스 본토 상륙에서도 비슷한 작전으로 상륙 위치를 속이려는 계획을 세운다.

3. 북 포티튜드 작전

포티튜드 작전은 상륙위치를 크게 두 개로 속였는데, 그 중에 하나가 노르웨이 해안 상륙작전이었다. 노르웨이 해안에 대규모의 연합군 상륙을 가장하기 위해 영국군은 아예 존재하지 않는 군단 하나를 서류상으로 창설하고 이름을 영국 제4군단이라고 붙였다. 이 가상의 4군단은 스코틀랜드에 주둔 중인 것으로 되었고 마치 스키부대가 포함된 것처럼 속이기 위해 25만개의 스키를 주문하기도 했다.

또한 영국은 중립국이었던 스웨덴과 협상하여 스웨덴 영토를 공중정찰할 권리와 비상착륙 시 재급유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받아내거나, 나치 독일에 볼 베어링 수출 중단을 요청하기도 했다. 이는 스웨덴이 연합군에 합류하여 북쪽으로부터 나치 독일을 침공할 것이라는 인상을 주기 위한 외교적 수단이었다. 그러나 이 작전이 성공적이었는가는 역사가들에 따라 의견이 다르다.

4. 남 포티튜드 작전

연합군 주력부대가 프랑스 어딘가에 상륙할 것이라는 것은 독일 측에서도 예측할 수 있었으므로, 포티튜드 작전의 핵심은 프랑스 본토의 상륙지점을 속이는 것이었다. 연합군이 흘린 가짜 정보는 실제 상륙지점인 노르망디에서 한참 북동쪽으로 떨어진 파 드 칼레로 상륙한다는 것이었다. 파 드 칼레는 실제로 노르망디보다 영국 본토에서 좀 더 가깝고[3], 방어하기에도 어려운 지형이었으므로 보다 합리적인 선택이었지만, 거짓말이란 더 그럴듯할수록 속기 쉬운 법...

또한 연합군은 이미 디에프 상륙작전에서 얻은 교훈으로 잘 정비된 항구도시에 상륙한다는 것은 망했어요의 지름길임을 안 이상 파 드 칼레에는 상륙하려 생각조차 않았다. 거기에 독일군은 디에프 상륙작전에서 노획한 쥬빌리에 작전계획서[4]에 따라 연합군의 상륙을 예상하고 있었다.

이 작전을 성공시키기 위해 연합군은 가짜 상륙부대인 제1집단군을 서류상으로 창설하여 나치 독일에서 가장 유명하고 두려움의 존재였던 조지 S. 패튼 장군의 휘하로 소속시켰다.[5] 그리고 파 드 칼레와 가장 가까운 영국 항구인 도버에 가짜 지휘본부를 짓고 나무로 된 가짜 수송기와 상륙정, 고무풍선으로 만든 가짜 탱크 디코이[6] 등을 만든 다음 패튼 장군이 직접 시찰했다. 그리고 1개 군 규모의 작전계획이 정말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처럼 주변지역에 엄청나게 많은 무선 소음을 뿌렸다. (독일군은 이 소음이 암호인 줄 알고 해독을 시도하기도 했다.) 파 드 칼레의 레이더 기지는 집중폭격을 맞았다.

마지막으로, 노르망디 상륙작전이 시작됨과 동시에 도버에 있던 낡은 배를 총동원하고, 그 뒤에 알루미늄이나 기타 금속제 외피를 가진 거대한 풍선을 하나씩 달아놓아서 해협 건너편에 있던 독일군의 레이더에 확실히 잡히도록 하여 파 드 칼레쪽이 진짜 상륙작전이라는 인상을 주었다.[7]

5. 결과

이 기만작전이 어찌나 성공적이었는지 연합군이 상륙한 지 며칠 뒤까지도 독일 수뇌부는 노르망디와 파드칼레 사이에서 우왕좌왕했다. 버나드 로 몽고메리 장군이 지휘하는 노르망디는 양동작전이고 조지 S. 패튼 장군의 본대가 곧 파 드 칼레로 상륙할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심지어 상륙 다음날 샤를 드 골 장군이 라디오 방송으로 "노르망디가 진짜임"이라고 해도 믿지 않는 사람이 있을 정도.

그 결과 연합군은 노르망디에서 확실한 교두보를 차지하였고, 이를 막기 위해 독일군이 축차적으로 병력을 파견했으나, 그 병력들의 상당수가 이동 중 손해를 입는 일이 발생했다. 이미 상륙작전 이전에 에르빈 롬멜과 슈베펜부르크 기갑대장의 의견충돌로 인해서 주력부대가 여기저기 쪼개져서 분산배치되있던 독일군은 패튼 장군의 기갑부대에 돌파구를 내주고 말았고, 팔레즈 포켓에 갇힌 채 집중사격을 받아서 사실상 서부전선의 독일군 주력이 붕괴되었다. 이후 연합군은 신나게 독일 국경과 파리로 달려갔다.

6. 여담

켄 폴레트의 첩보소설로 도널드 서덜랜드 주연 영화로도 만들어진 소설 바늘구멍에서 주인공 독일 스파이는 미군 제1군집단 주둔지에 몰래 침투했다가 제1군집단이 전부 모형 무기만 가득한 가짜라는 사실을 알게 되어 독일에 이 정보를 알리려고 한다.


[1] 영어로 정어리는 사르데냐와 발음이 비슷한 사르딘. 마치 목적지인 사르데냐를 의미하는 암호인 것처럼 보이게 꾸민 것이다.[2] 히틀러와 참모들은 이때 너무 크게 당한 나머지, 나중에 마켓 가든 작전 때 연락 글라이더에서 발견한 진짜 작전지도를 "최전방 돌격부대가 이런 서류를 갖고 있을 리 없다"면서 믿지 않고 버리는 등의 삽질을 하기도 한다.[3] 영국본토와 유럽대륙을 잇는 해저터널의 대륙쪽 도시.[4] 디에프 상륙작전 이후 해변에서 노획, 쥬빌리에는 디에프 상륙작전의 작전명.[5] 패튼은 이때 야전병원에서 부하를 구타하는 등 구설수에 휘말리면서 보직해임 상태였다.[6] 할리우드의 모형 전문가들이 만들었다.[7] 현대전에서도 디코이 차량에 일부러 레이더파를 반사하는 금속 부품과 열상에 포착되는 난로를 설치하여 원격 감시 체계와 미사일을 기만하기도 한다. 이러한 디코이는 코소보 전쟁에서 나토군의 폭격을 상대로 대량으로 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