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20:33:30

표선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939499>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남원읍 대정읍 성산읍 안덕면 표선면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30%><rowbgcolor=#eee> 행정동 ||<-4> 법정동 ||
<colbgcolor=#939499> 송산동 동홍동 보목동 서귀동 토평동
정방동 서귀동
중앙동
천지동 서귀동 서홍동
효돈동 신효동 하효동
영천동 상효동 토평동
동홍동 동홍동
서홍동
제1청사
서홍동
대륜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청사
법환동
서호동 호근동 }}}
대천동 강정동 도순동 영남동 월평동
중문동 대포동 중문동 하원동 회수동
예래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상예동 색달동 하예동 }}}
}}}}}}}}}}}} ||
서귀포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c1d1f><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표선면_로고.svg
표선면
表善面
Pyoseon-myeon
}}}
<colbgcolor=#103772><colcolor=#fff> 광역자치단체 제주특별자치도
행정시 서귀포시
행정표준코드 5013032000
관할 법정리 6리
하위 행정구역 10행정리 94반
면적 135.17㎢
인구 12,662명[1]
인구밀도 93.67명/㎢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국회의원 | 서귀포시

파일:zsdkl3gasdg.svg
위성곤 (3선)
제주특별자치도의원 | 표선면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강연호 (3선) }}}}}}}}}
면사무소 표선중앙로 74[2]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관할리3. 관광4.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서귀포시-표선면-지도.png
정의현의 중심지였으며, 성읍리에 읍성관아가 있었다. 본래 정의현 중면(中面)의 일부였다가 1789년에 중면을 분할하면서 정의현 동중면(東中面)이 되었고 1914년 정의군이 제주도에 통폐합되면서 제주군(1915년 이후로는 제주도(島)) 소속이 되었으며 1935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되었다.

표선리는 제주도의 행정리 중 인구 최다이다. 구 정의현 관아 소재지인 성읍리는 성읍 민속마을과 그 안에 위치한 일관헌, 정의현성 등의 조선시대 건물들이 비교적 잘 보존된 곳이며, 가시리에는 갑마장길과 정석비행장[3] 등 자연 관광 위주의 관광지가 있다. '토산관광지구'라는 곳이 있긴 하나 '소노캄 제주(대명 샤인빌리조트)'[4]를 제외하면 중문관광단지같은 곳이 아닌 펜션촌에 가깝다.

성산, 남원 등의 동부지역 읍면들에 비해 표선리가 중심지 역할을 잘 수행하는 곳이며 일부 성산읍 지역 역시 표선 생활권으로 치기도 한다. 제주 동남부 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읍면지역 중에선 예외적으로 대기업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인 해비치 호텔&리조트 제주에서 매년 축제가 열리고 캠핑장 등의 시설이 잘 갖춰진 표선해수욕장과 제주민속촌박물관[5], 앞서 언급한 성읍 민속마을과 정석비행장 등 관광자원이 풍부하며 근래는 허브동산이 떠오르고 있다. 제주시와는 번영로(97번 지방도), 서귀포 내 지역들과는 일주도로나 읍면순환 도로로 연결된다.

나로우주센터의 로켓발사 추적소가 있다.

여담으로 이곳 법정리 중 토산리는 2023년 6월 10일까지 대한민국의 모든 법정동/ 중에서 법정동/리코드가 가장 마지막에 왔다.[6]

2. 관할리

왼쪽은 법정리, 오른쪽은 행정리이다.
  • 세화리: 세화1리, 세화2리[7], 세화3리
    細花里. 제주시 구좌읍에도 이름과 한자가 똑같은 세화리가 있으니 유의.[8]
  • 토산리: 토산1리, 토산2리
  • 가시리: 가시리
    매년 4월마다 녹산로 도로변에 유채꽃과 벚꽃이 피면서 많은 관광객이 찾는 곳이다. 2020년에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4월에 미리 유채꽃밭을 갈아버렸다.[9]
  • 표선리: 표선리
    표선면사무소 소재지
  • 하천리: 하천리

3. 관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표선면/관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기타

  • 2024년 4월 26일 오전 10시 17분경 서귀포시 표선면에서 건물이 흔들린다는 신고가 접수됐으며 이후 약 1시간동안 성산읍, 구좌읍 등 제주 동부를 중심으로 13건의 신고가 접수됐다. SNS와 제주지역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아버지와 식사 중 창문이 흔들리고 땅이 흔들렸다", "저도 느꼈다. 주변 사람들에게 물어보고 지진경보도 찾아봤다", "창문이 흔들렸다", "지진인 듯 한데 안전문자도 오지 않는다"는 등의 글들이 속출했다.
    • 원인 파악에 나선 소방당국과 도 재난안전상황실은 뚜렷한 실마리를 찾지 못했다. 한때 테러 대응 유관기관 합동훈련에서 발사된 폭음탄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기도 했으나 거리가 먼 상황이며 해당 폭음탄은 화약이 아닌 물에 의해 발사된 '물대포'였고, 건물을 흔들 만큼의 위력이 있는 것도 아니라고 경찰은 설명했다. 오전 10시 50분 발사돼 최초 신고 접수 시간과도 30여분 차이가 난다고. 인근 채석장, 건설현장 등 민간에서의 발파작업도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1 #2 #3

[1] 2024년 8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2] 표선리 705[3] 대한항공이 소유하고 있는 조종사 훈련용 비행장이다. 부속 시설로 과거 1993 대전 엑스포 시절의 전시관을 옮겨 온 정석항공관이 있다.[4] 대명리조트 계열 콘도미니엄(타임쉐어)[5] 대한항공의 항공기 급유 및 지상 조업 전문 계열사인 '한국공항'에서 운영함.[6] 이후 2023년 6월 11일에 강원도가 강원특별자치도로 바뀌면서 마지막 자리는 양양군 강현면 물갑리가 차지했으며, 이후 2024년 1월 18일에 전라북도가 전북특별자치도가 되면서 부안군 위도면 하왕등리로 넘어갔다.[7] 과거에는 가마리로 불렸으나, 1950년대 초 행정구역 개편으로 '세화2리'로 바뀌어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하지만 주민들은 여전히 가마리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세화리라고 하면 거의 열에 아홉은 세화1,3리를 뜻하는 줄 안다.[8] 다른 점이라곤 제주시 구좌읍에는 세화리가 1리, 2리 이렇게 나누어져있지 않다.[9] 통상 유채꽃은 종자를 얻기 위해 5월에 꽃밭을 갈아버리지만 이번에는 관광객이 몰려 감염확산이 되는 것을 우려해 일찍 제거해버린 것.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