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4 16:37:14

풍패

1. 豊沛

한고조 유방의 고향인 풍읍 패현(豊邑 沛縣)에서 유래된 말로 후대에 의미가 확장되어 '왕실의 발상지'라는 의미로 쓰였다. 조선 시대에는 태조 이성계잠저가 있던 함흥이나 본관전주 등을 풍패지향(豊沛之鄕)이라 불렀다.[1]

2. 風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작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작패#s-2.2|2.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작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1z.svg파일:2z.svg파일:3z.svg파일:4z.svg
마작에서 사용되는 동남서북 네 방향의 바람패를 의미한다. 사희패(四喜牌)라고 부르기도 한다.

3. グラウンドスライダー協奏曲第一番「風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グラウンドスライダー協奏曲第一番「風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グラウンドスライダー協奏曲第一番「風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グラウンドスライダー協奏曲第一番「風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전주 객사현판에는 풍패지관(豊沛之館)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고 풍남문 또한 '풍패의 남문'이라는 뜻이며, 함흥본궁에는 풍패루(豊沛樓)라는 누각이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