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2 02:51:02

프레드 더스트


<colbgcolor=blue><colcolor=#fff> 프레드 더스트
Fred Durst
파일:프레드더스트.jpg
본명 프레데릭 윌리엄 더스트
(Frederick William Durst)
출생 1970년 8월 20일 ([age(1970-08-20)]세)
플로리다 잭슨빌
신장 172cm
포지션 보컬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음악 경력
3.1. 림프 비즈킷의 결성3.2. 메인스트림에서의 성공3.3. 림프 비즈킷의 재결성
4. 논란과 비판5. 평가6.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프레드더스트f.jpg
미국의 뮤지션이자 림프 비즈킷(Limp Bizkit)의 리드 보컬.

2. 생애

프레드 더스트는 플로리다주 잭슨빌에서 태어난 후 곧 올랜도로 이주하였다. 프레드의 어머니는 지역 경찰관 빌 더스트와 재혼한 후 프레드 더스트의 이름을 윌리엄 앨런 메인 3세에서 프레데릭 윌리엄 더스트로 개명시켰다. 어린시절 프레드 더스트는 괴롭힘을 당했고 훗날 그때의 경험을 음악에 담아내게 된다. 12살때부터 프레드는 브레이크댄스, 힙합, 펑크 록, 헤비메탈에 관심을 가졌다. 1988년부터 1990년까지 2년 동안의 해군 복무를 마친 후 프레드는 아버지와 함께 잭슨빌로 돌아와 타투이스트로 일하게 된다.

3. 음악 경력

3.1. 림프 비즈킷의 결성

1994년, 프레드 더스트, 베이시스트 샘 리버스, 그리고 고등학교 동창인 드러머 존 오토와 밴드를 결성한 이후 기타리스트인 웨스 볼란드가 합류하였다. 프레드는 사람들이 잘 기억할만한 이름을 짓고 싶었기에 밴드의 이름을 림프 비즈킷이라 짓게 되었다. 림프 비즈킷은 조지 마이클의 'Faith', 폴라 압둘의 'Straight Up' 커버곡을 시작으로 언더그라운드에서 인지도를 얻기 시작했다.

얼마 후 의 오프닝 공연에 서게 되었을 때, 프레드 더스트는 콘의 베이시스트 레지날드에게 'Pollution', 'Counterfeit', 'Stalemate'의 데모 테이프를 들려주게 되고 그 이후 콘의 오프닝 공연을 추가로 서게 되면서 팬층을 더 넓혀가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후에 힙합 그룹 하우스 오브 페인의 멤버 DJ 리썰을 멤버로 영입하게 된다.

1997년, 림프 비즈킷은 인터스코프 레코드의 자회사인 플립 레코드와 계약을 맺고 데뷔 앨범 Three Dollar Bill, Y'all을 발표해 괜찮은 반응을 얻게 된다.

3.2. 메인스트림에서의 성공

림프 비즈킷은 1999년 Significant Other와 2000년 Chocolate Starfish and the Hot Dog Flavored Water앨범으로 메인스트림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프레드 더스트는 1999년 인터스코프 레코드의 A&R 부사장으로 임명되며 Staind, Puddle of Mudd, She Wants Revenge 등의 밴드를 발굴하기도 했다.

1999년 여름, 림프 비즈킷은 우드스톡 ‘99 페스티벌에서 약 20만명의 관객 앞에서 공연하게 된다. 하지만 공연 도중과 공연이 끝난 이후에 발생한 폭행 사건 등으로 인해 이 행사는 논란이 되었다. Break Stuff를 연주할 때 관객들이 벽에서 합판을 뜯어내는 등의 소동이 벌어졌으며, 여러 건의 성범죄가 일어나기도 했다. 프레드 더스트는 무대 위에서 폭력적인 행위들을 부추기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림프 비즈킷의 공연이 사태를 악화시켰다는 비난을 받았다.

프레드 더스트는 파일 공유 서비스 냅스터를 지지하며 2000년 공연에 후원을 받았고, 같은 해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서 크리스티나 아길레라와 함께 공연했다. 록 팬들 사이에서 반발이 일었고, 일부 뮤지션들 또한 비판했다. 이에 대해 프레드 더스트는 음악적 편견에 대해 지적하며, 이것은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것이며 문제될 이유가 없다고 반박했다.

2002년에는 브리트니 스피어스와 교제 중이라고 주장했으나, 브리트니 스피어스는 이를 부인했다. 그리고 2005년에는 브리트니 스피어스와의 성관계 영상이 유포되기도 해 법정 대응에 나서야 하는 일도 있었다.

2005년 림프 비즈킷은 The Unquestionable Truth (Part 1)을 발표했다. 이 앨범은 이전 작품들과 달리 공격적인 정치적·사회적 메시지를 담았으며, 더 어둡고 실험적인 사운드가담겨 있었다. 프레드 더스트는 이 앨범을 '언더그라운드 방식'으로 발표하기를 원했고, 그리하여 별다른 광고 없이 조용히 출시되었다. 이때문에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이 앨범은 전 세계적으로 200만 장 이상 판매되었고,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 24위에 올랐다.

5집 발매 이후 The Unquestionable Truth (Part 2)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결국 발매되지 않았다. 그리고 같은 해 밴드는 베스트 앨범 Greatest Hitz를 발표했으며, 이후 활동을 중단하고 사실상 휴식기에 들어갔다.

프레드 더스트는 밴드가 활동을 잠시 중단한 이유에 대해서 자신들의 음악이 다른 사람들을 괴롭히는 데에 이용되는 것을 보며 불편함을 느끼고 자신의 음악이 오해받고 있는 것 같다고 생각했으며, 이러한 이유로 활동을 중단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프레드 더스트는 자신의 음악 속에서 하나의 캐릭터를 만들었지만, 대중이 그 캐릭터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프레드는 “난 항상 빨간 모자를 쓴 그 사람이 내가 아니라는 걸 알고 있었다. 나는 프랑켄슈타인 박사고, 그 사람이 내 창조물이다. 나 하나가 브레이크댄서, 그래피티 아티스트, 타투이스트이자, 록과 힙합을 좋아하는 사람이었는데, 이게 너무 많았다. 그래서 의도적으로 ‘프레드 더스트’라는 캐릭터를 만들었고 결국에는 생각한 것보다 더 자주 그 캐릭터를 연기해야 했다. 그 캐릭터는 스스로 독립적인 생명력을 가지게 되었고, 나는 ‘고릴라’, ‘괴물’, ‘빨간 모자를 쓴 남자’라는 캐릭터에 갇혔다. 그건 고통스러운 변신이지만, 사람들이 날 원할 때 그 캐릭터로 변신해야 한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그렇게 했다”고 말했다.

3.3. 림프 비즈킷의 재결성

2009년, 림프 비즈킷의 원년 더스가 재결합하여 투어를 시작했다. 프레드 더스트는 그들이 새로운 앨범 Gold Cobra의 녹음을 시작했다고 발표했으며, 이 앨범은 2011년 6월 28일에 발매되었다.

4. 논란과 비판

프레드 더스트는 그의 과격한 이미지와 행동으로 인해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특히, 공연 중 관객을 향해 물을 뿌리거나 무대를 파괴하는 등의 행동은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또한, 그의 음악 스타일과 가사는 폭력적이고 반사회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5. 평가

프레드 더스트는 림프 비즈킷을 통해 뉴메탈 장르를 대중화시키고,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록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그의 강렬한 카리스마와 독특한 음악 스타일은 많은 팬들에게 사랑받았지만, 동시에 논란과 비판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대중의 관심을 받았던 프레드 더스트는 록 음악사에 한 획을 그은 인물로 평가된다.

6. 여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