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7 13:54:57

프린세션 오케스트라

프린세션 오케스트라 (2025~2026)
プリンセッション・オーケストラ
Princession Orchestra
<nopad> 파일:프린세션오케스트라_애니키비주얼.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장르 마법소녀, 음악, 모험
원작 UNISON
킹 레코드
감독 오오누마 신
조감독 세키네 유스케(関根侑佑)
시리즈 구성 아이소라 만타
각본
캐릭터 원안 시마자키 마리(島崎麻里)
캐릭터 디자인 아키야마 유키코
색채 설계 하세가와 미호(長谷川美穂)
미술 감독 히라마 유카(平間由香)
오오사키 유이(大崎 唯)
촬영 감독 키다 켄토(木田健斗)
3D 감독 하마무라 토시로(濱村敏郎)
편집 키무라 카츠히로(木村勝宏)
음향 감독 모토야마 사토시(本山 哲)
음향 효과 안도 유이(安藤由衣)
녹음 조정 안자이 아유무(安齋 歩)
음악 Elements Garden
음악 제작 킹 레코드
기획 마츠시타 타쿠야(松下卓也)
마루모 레이(丸茂 礼)
이이무라 타이치(飯村太一)
사이토 타카시(齊藤 貴)
기획 원안 카네코 아키후미(金子彰史)
제작 총지휘 아게마츠 노리야스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나카니시 고(中西 豪)
베니야 요시카즈(紅谷佳和)
코바야시 마사오미(小林正臣)
사토 히로미(佐藤ひろ美)
와타나베 카츠야(渡辺勝也)
프로듀서 스와 유타카(諏訪 豊)
사이토 유즈루(斎藤 譲)
카모 타카시(加茂 隆)
토미타 아키히로(冨田明宏)
츠가와 아키미치(津川明倫)
오키 히데하루(沖 英治)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오니즈카 코스케(鬼塚康介)
애니메이션 제작 SILVER LINK.
제작 Project PRINCESS-SESSION
방영 기간 2025. 04. 06. ~ 방영 중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도쿄 / (일) 09: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방송국 이름 / (요일) 시간
스트리밍 (스트리밍 서비스사 이름) [1]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연속 4쿨 예정
시청 등급 미정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2.2. 키 비주얼
3. 줄거리4. 등장인물5. 설정6. 음악
6.1. 주제가
6.1.1. OP16.1.2. ED1
6.2. 삽입곡
7. 회차 목록8. 평가9. 기타

1. 개요

일본의 오리지널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오오누마 신, 방영 시기는 2025년 4월.

2. 공개 정보

2024년 6월 14일, 애니메이션 프로젝트가 시동되었다. #

2024년 12월 18일, 추가 캐스트와 주제가 등의 정보가 공개되었다. 방송시간은 일요일 아침시간대.

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의 카네코 아키후미(金子彰史), 아게마츠 노리야스가 기획했으며 이번에는 여아를 대상으로 만든다고 한다. 그래서 수위가 심포기어 보다 낮은 편이지만 심포기어처럼 음악도 강조하고 어두운 내용도 넣어서 다른 마법소녀 애니메이션과 차별화를 두고 어른들도 볼 수 있게 한다고 한다. 심포기어 스태프가 만든 애니로 알려져 있으나 기획과 음악 프로듀싱을 그쪽에서 한 거고 연출과 작화 스태프는 심포기어와 전혀 다르다.

2.1. PV

티저 PV
PV 제1탄
PV 제2탄
PV 제3탄

2.2. 키 비주얼

파일:프린세션오케스트라_애니티저비주얼.webp 파일:프린세션오케스트라_애니키비주얼.jpg
<rowcolor=#373a3c,#dddddd> 티저 비주얼 키 비주얼

3. 줄거리

앨리스피아―― 그렇게 불리는 신비한 나라는
지금보다 훨씬 옛날부터 세계 어딘가에 존재하고 있었다.

그곳에는 즐거운 것을 아주 좋아하는 주민 앨리스피안들이 살고 있었지만,
어느샌가 수수께끼의 괴물 자마오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온화했던 앨리스피아의 평화는 조금씩 위협받게 되었다.

이대로 가면 앨리스피아에서 반짝이는 빛이 사라져 버릴 거야――.

그런 위기 속에서도,
가슴에 노래를 잊지 않는 『프린세스』들의 모험을 그린 이야기.

용기와 활력이 가득 담긴,
팝송 판타지아――프린세션 오케스트라!
출처: 공식 홈페이지

4.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린세션 오케스트라/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린세션 오케스트라/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린세션 오케스트라/등장인물#|]][[프린세션 오케스트라/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설정

  • 앨리스피아
    여자아이만이 방문할 수 있고, 되고 싶은 자신을 이룰 수 있는 이상한 나라. 예전에는 폐허의 문이나 폐도가 된 터널이, 인터넷이 보급된 현대에는 앨리스피아 채널이 그 입구가 되고 있어, 존재에 대해서는 여자아이만의 비밀로 여겨지고 있다.
    이 나라에서는 노래나 춤, 요리나 메이크업 등 누구나 자유롭게 원하는 일을 할 수 있으며, 국가 주민 아리스피안의 인증을 받으면 그들이 운영하는 스튜디오나 도서관, 라이브 공연장 등의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시간의 흐름도 지구와 달라, 앨리스피아에서 2~3시간 머물러도 지구에서는 30분 밖에 지나지 않는다.
    • 앨리스피어 ch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동영상 투고 사이트. 어른이나 남자아이가 보면 보통의 동영상 투고 사이트이지만, 여자아이가 액세스 해, 엔트런스라고 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것으로 지구로부터 앨리스피아에 갈 수 있다.
      동영상 투고 사이트로는 여자아이가 앨리스피아의 존재를 모르는 상태에서 좋아하는 일에 몰두하고 있는 동영상이 업로드되고 있다.
  • 뮤치카라
    앨리스피아가 가득한 이상한 에너지로 프린세스의 힘의 원천. 즐겁다, 기쁘다라고 하는 감정에 응해 만들어지며, 노래나 춤 등 음악에 관련되는 것으로 높아진다.
    이것이 빼앗기면 이런 감정을 상실하고 무기력·무관심에 빠지게 된다.
    • 노래의 조각
      뮤치카라의 결정으로, 여자아이로부터 자력으로 생성되는 것과 자마옥으로부터 되찾은 뮤치카라로부터 생성되는 것이 있다. 전자는 만들어낸 여자아이가 프린세스로 변신하는 데 사용되며 주인의 개성에 따른 형태를 띠고 있다. 후자는 프린세스의 강화에 이용된다.

6. 음악

6.1. 주제가

6.1.1. OP1

OP1[2]
ゼッタイ歌姫宣言ッ!
(번역명)
TV ver.
Audio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올케리아(オルケリア)
프린세스 리플×프린세스 질×프린세스 미티어
작사 아게마츠 노리야스 (Elements Garden)
작곡
편곡 키쿠타 다이스케(菊⽥⼤介) (Elements Garden)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오오누마 신
연출
작화감독 이모토 유키(井本由紀)
오오츠키 미나오(大槻南雄)
하라구치 와타루(原口 渉)
야마요시 카즈유키(山吉一幸)
총 작화감독 아키야마 유키코
}}}}}}}}} ||

6.1.2. ED1

ED1
君とつなぐオーケストラ
(번역명)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올케리아(オルケリア)
프린세스 리플×프린세스 질×프린세스 미티어
작사 Spirit Garden
작곡 키쿠타 다이스케(菊田大介)
편곡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세키네 유스케(関根侑佑)
연출
작화감독 쿠라토시(くらとし)
스즈키 FALCO(鈴木FALCO)
총 작화감독 아키야마 유키코
}}}}}}}}} ||

6.2. 삽입곡

프린세스 리플 타이틀곡
イノセントコール
(번역명)
M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프린세스 리플(CV: 아오이 아즈사)
작사 Spirit Garden
작곡 키쿠타 다이스케(菊田大介)
편곡

프린세스 질 타이틀곡
OVER THE BLAZE
M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프린세스 질(CV: 후지모토 유리)
작사 Spirit Garden
작곡 카사이 유타(笠井雄太)
편곡

프린세스 미티어 타이틀곡
激光 It's ME!
M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프린세스 미티어(CV: 타치바나 아즈사)
작사 Spirit Garden
작곡 타케다 유스케(竹田祐介)
편곡

1화 삽입곡
STARLIGHT
TV ver.
M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시루베 카가리(CV: 후지모토 유리)
작사 Spirit Garden
작곡 키쿠타 다이스케(菊田大介)
편곡

1화 삽입곡
輝いていくキミのため
M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히노모토 나츠(CV: 아이무라 히카리)
작사 Spirit Garden
작곡 키쿠타 다이스케(菊田大介)
편곡

7.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3]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このすばらしきせかい 아이소라 만타 세키네 유스케
(関根侑佑)
이모토 유키
(井本由紀)
하마구치 바쿠
(濱口 漠)
야마요시 카즈유키
(山吉一幸)
하라구치 와타루
(原口 渉)
오오츠키 미나오
(大槻南雄)
BEEP
BigOwl
리바이벌
(リバイバル)
育松アニメーション
아키야마 유키코 日: 2025.04.06.
제2화 女の子の一生懸命 사와이 코지 코시바 준야
(小柴純弥)
타케모리 유카
(竹森由加)
니시키도 미나
(錦戸未奈)
쿠라토시
(くらとし)
시게마츠 신이치
(重松しんいち)
시노자키 아키라
(しのざきあきら)
시마이시
(しまいし)
시바타 치나미
(柴田知波)
미야모토 타케시
(宮本武史)
日: 2025.04.13.
제3화 決意完了! 니헤이 유이치
(二瓶勇一)
무라카미 츠토무
(村上 勉)
陳潔瓊
李品華
趙親雲
마츠모토 카츠지
(松本勝次)
아키야마 유키
야마요시 카즈유키
日: 2025.04.20.
제4화 一条ながせは流れない 와타나베 신이치 오노다 유스케
(小野田雄亮)
시미즈 유스케
(清水雄介)
半扇門
아카츠키
(暁)
日: 2025.04.27.
제5화 流星、闇を切り裂いて 日: 2025.05.04.
제6화 日: 2025.05.11.
제7화 日: 2025.05.18.
제8화 日: 2025.05.25.

8.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린세션 오케스트라/평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린세션 오케스트라/평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린세션 오케스트라/평가#|]][[프린세션 오케스트라/평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기타


[1]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작품이 방송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2] 1화에서 엔딩 배경음악으로도 쓰였다.[3]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한국에서 정식 방영사 제목 공개 전까진 한국어 번역 제목은 비워두었다.[4] 공교롭게도 해당 작품에 메인 요정으로 출연하는 난죠 요시노가 여기서는 주인공의 어머니 역으로 출연해서 화제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