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Flying Defiler. 스타크래프트 1 저그의 대 테란전 전술 중의 하나로, 오버로드에 탄 디파일러를 병력과 대동시키다가 내려놓고 다크 스웜을 치거나 플레이그를 뿌리는 것이다. 사용 후 다시 오버레드에 안전하게 태워서 디파일러의 약점인 느린 이동속도와 낮은 체력울 커버해준다. 오버로드로 탑승해서 후방으로 빠진 다음 안전한곳에서 컨슘으로 마나를 채우고 다시 적에게 스웜이나 플레이그를 쓰는것을 반복하는 전략. 테란의 메카닉 병력을 상대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2. 역사
디파일러를 오버로드에 태우는 플레이 자체는오버로드를 현재와 같이 이용하게 된 것은 폴라리스 랩소디에서 펼쳐진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2 16강 이영호와 김명운의 경기가 시초라고 할 수 있으며, 다방 ASL 팀 배틀 5세트 이영호 대 김민철의 서킷브레이커 경기에서 테란이 저그보다 확장이 더 많을 정도로 불리한 상황이었음에도 방어력 2단계 업그레이드가 된 오버로드를 이용한 플라잉 디파일러 운영으로 테란의 진출을 수 차례 막아내고 동시에 4군데의 자원 수급을 견제하면서 역전승을 따내며 크게 주목받게 되었다.
사실상 완성된 메카닉 테란에 제대로 대항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지만, 손이 매우 많이 가기 때문에 피지컬에 자신있는 최상위권 경기에서나 가끔 쓰이는 전략이었고, 이마저도 퀸이 재발견되면서 훨씬 손이 덜 가면서도 메카닉을 더 효율적으로 카운터칠 수 있게 되자 아예 보이지 않는 전략이 되었다.
3. 상세
목동저그라고도 불리는 저그의 울트라+저글링+디파일러 조합은 바이오닉 병력에게는 상당히 강력하지만 방어선을 구축한 메카닉 병력에게는 취약하다. 병력이 달라붙기도 전에 마인을 밟고 시즈 탱크의 공격을 받아 궤멸하기 때문이다.이 때문에 등장한 전술이 메카닉 병력의 머리 위에 디파일러와 함께 병력을 드랍시켜 탱크를 잡아먹는 것인데, 시즈 모드를 한 탱크는 가까이 있는 적을 공격하지 못하기 때문에 머리 바로 위에 다크스웜이 펼쳐지고 울트라와 저글링이 공격하면 후퇴할 수밖에 없다.
다만 오버로드에서 디파일러와 함께 병력을 내리고 디파일러를 선택하여 다크 스웜을 치는 것은 손이 상당히 많이 가며, 테란이 골리앗, 미사일 터렛, 스파이더 마인 등으로 드롭에 대비한다면 사용하기 어려워진다.
디파일러는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에서 유일하게 에너지 회복이 가능한 기술인 컨슘이 있기 때문에 다크스웜이 모자랄 일도 절대 없다. 오버로드에 태워놓고 아케이드 리버 운용하듯이 스웜, 플레이그 쓸때만 잠깐 내려놓고 쓴 다음 이레디의 대상으로 타겟팅 되기 전에 재빠르게 올라타서 오버로드 안으로 보호받으며 뒤로 빠진다음, 베슬이 없는 후방에서 안전하게 컨슘으로 마나를 채워서 다시 잠깐 내려서 다크스웜, 플레이그를 실컷 쓴 뒤 오버로드로 숨긴후 후방으로 빠지는 방법을 계속 반복하고 오버로드 체력이 낮으면 후방에서 인구유지용으로 써먹고, 남아도는 오버로드로 갈아타서 안전하게 무한으로 쓸 수 있다. 디파일러가 들어간 오버로드가 죽을 것 같거나 이레디에 맞으면 다른 오버로드로 갈아타면 그만이다. 디파일러의 단점인 낮은 체력, 느린 이동속도를 오버로드가 완벽하게 커버해줌으로써 단점은 상쇄되고 장점만 남는다. 거기에 다크 스웜을 뒤집어 쓰고 달려드는 키틴질 장갑 업그레이드가 끝난 울트라리스크가 탱킹하면서 아드레날린 업그레이드가 끝난 저글링과 럴커를 테란 지상병력으로만 막으려면 탱크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아야만 가능하다. 그마저도 저그는 사실상 무한으로 사용할수 있는 디파일러로 다크스웜이 깔린 상태에서 원거리 공격이 무용지물이 된 상태에 상대는 이미 플레이그에 얻어맞은 상태로 상대해야 한다. 플레이그를 피하려고 분산시켜서 움직이면 각개격파 당해서 뭉치면 다시 플레이그에 쉽게 당하는 딜레마가 발생한다. 그래서 목동저그는 다크스웜과 울트라를 위시하여 상대의 자원기지를 비활성화 시키거나, 병력을 크게 손해보지 않고 교전을 승리하는 방식으로 이기게 된다. 단 디파일러를 하나하나 컨트롤하는 것이 스웜 한번만 해도 손이 6번을 거칠 정도로 많이 가서 매우 어렵고, 또 사이언스 베슬의 이레디에이트 때문에 대공이 부실한 목동저그가 디파일러를 잃는 것도 꽤 쉽기 때문에 멀티태스킹과 마이크로 컨트롤을 정말 많이 필요하는 조합이다.
저프전에서는 사용 빈도가 낮다. 커세어와 다크 아콘 때문인데 커세어는 명실상부 오버로드 사냥꾼이고, 다크 아콘은 3개 기술 모두가 치명적이다. 특히 컨숨과 플레이그 업글이 완료된 상태에서 디파일러를 태운 오버로드를 그대로 뺏겨버리면 그때부터 승산이 없어지게 된다.
4. 스타크래프트 2에서
진짜로 날아다니는 디파일러가 등장했는데, 설정상으로도 살모사는 디파일러의 유전자를 넣어 만들어진 개체이므로 틀린 말이 아니다.게임 상에서는 차원 분광기에 고위 기사를 태우고 다니며 유령의 EMP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