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01:55:38

플로이드 B. 올슨

플로이드 올슨에서 넘어옴
[[미네소타|
파일:미네소타 주기.svg

미네소타 주지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헨리 헤이스팅스 시블리 알렉산더 램지 헨리 아도니람 스위프트 스티븐 밀러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윌리엄 레이니 마셜 호레이스 오스틴 쿠시먼 켈로그 데이비스 존 S. 필즈버리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루시우스 프레더릭 허버드 앤드루 라이언 맥길 윌리엄 러시 메리엄 크누트 넬슨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데이비드 마스턴 클로프 존 린드 새뮤얼 린나 반 산트 존 앨버트 존슨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아돌프 올슨 에버하트 윈필드 스콧 해먼드 조셉 A. A. 번퀴스트 J. A. O. 프레우스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시어도어 크리스티안슨 플로이드 B. 올슨 할마르 피터슨 엘머 오스틴 벤슨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해럴드 스타센 에드워드 J. 티 루터 영달 C. 엘머 앤더슨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오빌 프리먼 엘머 L. 앤더슨 칼 롤바그 해럴드 르밴더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웬델 R. 앤더슨 루디 페르피히 알 콰이 루디 페르피히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아르네 칼슨 제시 벤추라 팀 폴렌티 마크 데이턴
제41대
팀 월즈
}}}}}}}}} ||
<colbgcolor=#3cb371,#000000><colcolor=#fff> 제22대 미네소타 주지사
플로이드 B. 올슨
Floyd B. Olson
파일:Floyd_Olson_(cropped).jpg
본명 플로이드 비에른스티에르네 올슨
Floyd Bjørnstjerne Olson
출생 1891년 11월 13일
미국 미네소타 미니애폴리스
사망 1936년 8월 22일 (향년 44세)
미국 미네소타 로체스터
재임기간 제22대 미네소타 주지사
1931년 1월 6일 ~ 1936년 8월 22일
선수 3
대수 22
정당

학력 노스웨스턴 법학대학 (법학사)
종교 개신교 (루터교회)
가족 폴 올슨 (아버지)
이다 마리아 올슨 (어머니)
배우자 아다 크레이치[1]

1. 개요2. 생애3. 활동4. 선거 이력5. 매체에서의 등장6. 기타

[clearfix]

1. 개요

미국의 정치인. 미네소타 농민노동당 출신으로 제22대 미네소타 주지사를 역임했으며, 1930년대 초반 휴이 롱, 로버트 M. 라폴레트 주니어, 업튼 싱클레어 등과 함께 비공산주의적 진보주의 운동을 이끌었다.

2. 생애

1891년 11월 13일, 미니애폴리스 북부의 하류층 가정에서 노르웨이계 이민자인 폴 올슨과 스웨덴계 이민자인 이다 마리아 올슨의 외동아들로 출생했다. 어렸을 적 그가 살던 동네는 정통파 유대인들이 정착한 공동체라는 아웃사이더 집단이었기에 이들과 어울리면서 지낸 올슨은 빠르게 다원주의 및 진보주의에 대한 생각을 품게 되었으며, 생활비를 벌기 위해 샤보스 고이(Shabbos Goy)[2]로 일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잠시 노던 퍼시픽 철도회사에서 일한 올슨은 이듬해인 1910년 노스웨스턴 법학대학에 진학했지만, 휴학 이후 캐나다와 알래스카 등을 떠돌아다니며 여러 잡다한 일을 하다 시애틀에서 항만노동자로 근로하게 되었다. 당시 그는 시애틀에서 서서히 성장하던 사회주의 세력에 영향을 받았고 항만노동자들이 얼마나 나쁜 근로환경에서 일하고 있는지를 체감하면서 세계산업노동자연맹에 가입해 노조 활동을 벌였으며, 1913년 미네소타로 돌아와 2년 뒤 법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아다 크레이치와 결혼했다.

3. 활동

1919년 올슨은 고향인 미니애폴리스가 속한 헤너핀 카운티의 부검사로 취직했으며, 다음해인 1920년 자신이 모시던 검사가 부패 혐의로 잘리자 뒤를 이어 지방 검사가 되었다. 이후 검사로 활동하면서 1920년 미국 대통령 선거1924년 미국 대통령 선거로버트 M. 라폴레트가 진보파 단일후보로 출마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48인 위원회의 결성을 돕는 등 다방면으로 활동했지만 모두 실패했으며, 1920년에는 연방하원의원직, 1924년에는 주지사직에 출마하려 했지만 아깝게 실패했다.

하지만 그가 검사로 활동하면서 다양한 부패 사업가들과 특히 KKK단에 맞서 보인 용감한 행보는 착실히 인지도를 적립해 주었으며, 공산주의자들과 거리를 두면서도 선명한 진보적 색채를 유지한 것이 지역 주민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으면서 마침내 대공황으로 공화당 지역당이 박살난 1930년 압도적 표차를 거두며 주지사직에 입성했다.

올슨은 주지사직에 취임하자마자 공화당 보수파가 장악한 주의회의 저항을 무릅쓰고 다양한 진보적 세제개혁, 노인복지정책, 환경보전정책, 여성권 정책, 최저임금제 및 실업수당 등을 도입했으며, 미국 내의 다른 포퓰리즘 정치인들인 필립 라폴레트, 휴이 롱 등의 인물들과도 대체로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 한편 노동운동 면에선 파업자들에 대해 최대한 협상을 시도하는 편을 선호했으나 여의치 않을 경우 계엄령이라는 단호한 수단을 사용해서라도 주의 안정을 유지하려 시도해 상당히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프랭클린 루스벨트가 대통령에 당선되자 그의 뉴딜 정책을 적극 지지하면서 미네소타 내에서 민주당의 정책 수행을 지원한 덕분에 미네소타는 빠른 속도로 대공황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다.

이후 올슨은 193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제3지대 후보로 출마를 고려했지만 승산이 없다 여겨 포기하고 대신 미네소타 연방상원의원직에 도전했지만, 평소 앓던 지병인 위궤양위암으로 악화된 것을 뒤늦게 발견했다. 그는 치료를 거부하고 계속해서 선거유세를 진행했지만 그러는 사이 암이 온몸으로 전이되고 말았으며, 선거가 자신에게 매우 유리하게 돌아갔음에도 불구하고 1936년 8월 22일 병상에서 사망하면서 선거 결과를 보지 못했다. 그의 사후, 후보직은 농민노동당의 동료인 어니스트 런딘이 이어받아 완주했으며, 해당 선거에서 런딘은 62퍼센트를 득표하며 압승을 거뒀다.

4.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24 미국 주지사 선거 미네소타

366,029 (43.84%) 낙선 (2위)
1930 미국 주지사 선거 473,154 (59.34%) 당선 (1위) 초선
1932 미국 주지사 선거 522,438 (50.57%) 재선
1934 미국 주지사 선거 468,812 (44.61%) 3선[3]

5. 매체에서의 등장

  • Hearts of Iron IV의 유명 대체역사 모드인 카이저라이히에서 민주당. 공화당, 농민노동당 3당이 사회주의자, 우익 포퓰리스트 세력에 맞서 거국정부를 수립하기로 결정하면 1936년 대선 후보로 출마한다. 대선에서 집권하면 사회주의자들의 수장인 존 리드와 협상해 다양한 친노동자 개혁안을 통과시킬 수 있다.

    한편, 구버전에선 휴이 롱을 암살해 우익 포퓰리즘 운동인 미국제일당을 붕괴시키고 미국의 내전 위기를 봉합할 수 있는 유일한 대통령이었으나, 패치로 인해 미국 내전회피 루트가 사라지면서 남부와의 2파전 루트를 받았다. 보통 이 남부와의 2파전 루트가 내전을 가장 빨리 끝낼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성능이 좋은 루트로 취급받는다.

6. 기타

  • 온건 노조인 미국노동연맹이 아닌 세계산업노동자연맹에서 정치적 활동을 시작한 만큼 초창기 성향은 상당히 급진적이었으나, 다른 많은 중서부 출신 진보주의 및 사회주의 정치인들처럼 개혁주의를 표방하게 되면서 온건화되었다. 그는 자신을 반쪽자리 사회주의자로 정의했으며, 스스로의 정책을 사회주의가 아닌 협동주의(Cooperativism)에 기반한 것으로 규정했다.


[1] 1915년 결혼.[2] 안식일에 유대인들을 대신해 여러 집안일을 해주는 일종의 아르바이트생.[3] 1936.8.22.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