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11-12 22:17:04

피아노 소나타 13번(베토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관련 문서
루트비히 판 베토벤 생애 인간관계 이야깃거리 작품 세계
베토벤의 교향곡
1번 C장조 2번 D장조 3번 E플랫 장조 ‘영웅’ 4번 B플랫 장조 5번 C단조 ‘운명’
6번 F장조 ‘전원’ 7번 A장조 8번 F장조 9번 D단조 ‘합창’ 10번(미완성)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1번 2번 3번 4번 5번
6번 7번 8번 9번 10번
11번 12번 13번 14번 15번
16번 17번 18번 19번 20번
21번 22번 23번 24번 25번
26번 27번 28번 29번 30번
31번 32번
* 대중들에게 유명한 소나타는 굵은 글씨로 정렬
베토벤의 협주곡
피아노 협주곡 1번 피아노 협주곡 2번 피아노 협주곡 제3번 피아노 협주곡 4번 피아노 협주곡 제5번 '황제'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삼중 협주곡 C장조
베토벤의 다른 작품
대푸가 디아벨리 변주곡 아델라이데 엘리제를 위하여 장엄 미사
피델리오 바이올린 소나타 제5번 '봄' 바이올린 소나타 제7번 바이올린 소나타 제9번 '크로이처' 첼로 소나타 3번
}}}}}}}}} ||


피아노 소나타 13번, 내림마장조, 작품번호 27 "환상곡풍", No.1
Piano Sonata No. 13 in E♭ major, Op. 27 "Quasi una Fantasia", No.1

1. 개요2. 작품 구성 및 해설
2.1. 1악장: Andante – Allegro – Andante (E♭ major - C major - E♭ major )2.2. 2악장: Allegro molto e vivace (c minor - A♭ major)2.3. 3악장: Adagio con espressione (A♭ major)2.4. 4악장: Allegro vivace - Presto (E♭ major)

1. 개요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열세 번째 피아노 소나타로 환상곡풍 소나타의 첫 번째 소나타이며 비로소 고전시대의 작곡 관습에서 탈피하는 과정에서 작곡되었다. 그래서 베토벤 소나타 12번처럼 4악장 전부 소나타 형식에 맞지 않다. 특히나 이 소나타는 다른 소나타 작품들과 달리 다음 악장으로 넘어갈 때 끝세로줄을 통해 확실히 마무리를 짓지 않고, 겹세로줄을 통해 마치 단악장 형식처럼 보이게 했다. 그럼에도 엄연히 악장마다 주제, 주제에 대한 응답, 기타 음악적 양식이 판이하게 다르므로 단악장 형식이 아니다. 또한 중기에서 표현되는 '영웅주의'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가 30살이던 1800~1801년에 작곡되었다.

이 곡은 요제피네 조피에게 헌정되었다. 그녀는 베토벤의 제자였을 뿐만이 아닌 남편과 함께 후원을 하는 사람이었다.

2. 작품 구성 및 해설

2.1. 1악장: Andante – Allegro – Andante (E♭ major - C major - E♭ major )

1악장은 느린 3부 악장[1]으로 시작한다.
오른손의 수직화음과 왼손의 아르페지오가 이루어진 가볍고 부드러운 느낌의 주제가 제시되고, 중간악절이 제시된 뒤, 주제의 재현 변주를 거쳐 첫 주제와는 대조적으로 힘찬 느낌의 다장조가 전개된다. 다시 첫 주제가 변주되어 나타나고, 마지막으로 코다가 나온다.

2.2. 2악장: Allegro molto e vivace (c minor - A♭ major)

2악장은 ABA형식의 악장으로 시작한다.
일반적인 스케르초 악장과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 스케르초 느낌의 제1부는 양손의 투티로 이루어진 아르페지오의 주제로 이루어져있다. 제3부에서는 엇박이 더해지며 긴장감을 높인다.
트리오 부분은 모든 부분이 스타카토로 재현된다.

2.3. 3악장: Adagio con espressione (A♭ major)

이 악장은 3부 형식으로 되어 있다.

2.4. 4악장: Allegro vivace - Presto (E♭ major)

이 곡도 론도 형식 (A-B-A-C-A-B-A) 에 해당하나 매우 특이한 론도형식으로 마지막 A 부분에서 3악장의 선율 중 일부가 나오고 Presto의 코다로 끝나는 식이다.


[1] 관점에 따라 A-B-A-C-A의 론도 형식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