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3 22:15:36

픽셀펫

픽셀펫
Pixel Petz
파일:픽셀펫 아이콘.png
[1]
개발 Minidragon
플랫폼 안드로이드, iOS
서비스 시작일 2019년 3월 14일
장르 시뮬레이션
관련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1. 개요2. 펫
2.1. 펫 그리기
2.1.1. 파츠
2.2. 펫 시장2.3. 미니게임2.4. 교배

1. 개요

2019년 3월 14일부터 Minidragon이 서비스하기 시작한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2.

파일:픽셀펫_펫.png
은 이 게임의 주제이자 가장 큰 특징이다. 위 사진처럼 홈에 최대 5마리까지 풀어둘 수 있다. 펫을 홈에 풀어두면 펫이 울음소리를 내거나 (5마리 다 풀어놓으면 꽤 시끄럽다), 장난감을 가지고 논다.[2] 홈엔 기본적으로 밥, 물그릇, 파란색 빗, 주황색 공이 있고 폼 맨 왼쪽 끝에 있는 옷장에서 새 장난감, 밥그릇을 꺼내거나 홈을 초기화할 수 있다. 펫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아기- 소년기- 청년기- 성년기- 노년기를 거치게 된다. 펫 그리기로 얻은 펫은 소년기에서 시작한다. 소년기부터는 펫에게 일거리를 지정하거나 미니게임을 할 수 있고, 청년기부터는 교배가 기능하다. 성년기부터는 은퇴가 가능하다.

2.1. 펫 그리기

이게임에서 펫을 얻는 방법은 3가지가 있는데, 그 중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 바로 펫 그리기다. 게임을 처음 시작하면 바로 펫 그리기 화면에서 시작한다. 펫 그리기는 총 4단계가 있다.
  • 펫의 종류 선택하기
    강아지, 고양이, 햄스터중 펫의 종류를 고를 수 있다. 각 종류의 기본가격(기본파츠만 사용한 '흰둥이'펫의 가격)은 강아지 150골드, 고양이 300골드, 햄스터 2젬이다.
  • 펫의 파츠 선택 / 크기 조절하기
    파츠를 다른 파츠로 변경하거나, 파츠를 조정할 수 있다. 각 부위의 조정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 귀, 눈 파츠: 크기 / 사이 간격 / 높이
    • 입 파츠: 크기 / 위치 (좌우) / 높이
    • 얼굴 파츠: 크기 / 넓이(좌우) / 높이
    • 몸파츠: 두께 / 앞, 뒤다리 사이 간격 / 다리 길이
    • 꼬리 파츠: 크기 / 넓이(좌우) / 넓이(상하)
  • 펫 색칠하기
    펫을 색칠한다. 클릭 한 번으로 펫에 이미 정해진 패턴을 칠하거나, 여러 가지 펜 종류와 크기로 직접 펫을 그릴 수 있다.
    기본적으로 108가지의 정해진 색 밖에 못쓰고 테투리 색 또한 수정할 수 없다. 때문에 모든 색을 쓰거나 테두리의 색을 바꾸거나 색에 투명도를 지정하려면 황금 토큰이 필요하지만 실력만 따라준다면 사실 황금 토큰 없어도 좋은 펫을 그릴 수 있다. 오른쪽 바를 이용해 특정 부위만 색칠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고, 오른쪽 아래에서 줌-인을 할 수 있다.
  • 펫 입양하기
    펫을 데려온다. 끝...은 아니고, 이 단계에서 펫의 성별, 이름, 설명을 쓸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기본 가격은 이 단계에서 청구되므로, 펫을 그리는건 땡전 한 푼 없어도 가능하다.

2.1.1. 파츠

파츠는 펫의 몸을 구성하는 조각이다. 강아지, 고양이, 햄스터 공용인 파츠도 있고 그렇지 않은 파츠도 많다.[3] 파츠를 얻는 경로는 다음과 같다.
  • 상점에서 구매
    파츠 상점에서 코인이나 젬으로 비한정 공식 파츠를 구매한다. 가장 쉽고 대중적인 경로.
  • 상자 구매
    파츠 상자를 구매한다. 파츠 상자는 상점과 달리 기본 컷이 좀 비싸고, 나오는 파츠가 랜덤이다.
    • 골판지 상자 (5000코인, 24시간에 한번씩 광고보고 무료)
      잔여 파츠 1개가 랜덤으로 나온다. 그렇게 값어치가 높지는 않다.
    • 꼬마 상자(18젬)
      파츠 6개가 랜덤으로 나온다. 유일하게 한번에 많은 파츠를 얻을 수 있다.
    • 럭셔리 상자(25젬)
      단종된 파츠, 미출시 파츠, 희귀파츠 1개가 랜덤으로 나온다. 가장 비싸지만 이 상자에서 나오는 파츠들은 럭셔리 파츠(Lux Partz) 라고 부르며 다른 상자 파츠에 비해 값어치가 높게 측정된다. 황금 토큰을 구매하면 즉시 이 상자가 지급되고 황금 토큰을 유지한 상태로 7일 출석할 때마다 또 지급된다.
  • 황금 파츠 구매 / 제작하기
    황금 파츠는 유저가 황금 브러쉬 (황금 토큰과는 관련없다)로 만든 자작 파츠들이다. 유저의 프로필에서 그 유저가 만든 황금 파츠를 구매할 수 있다. 또 황금 브러쉬를 사서 파츠를 만들고 검토 기간을 거쳐 자신만의 파츠를 만들고 남한테 팔 수 있다.
  • 이벤트 토큰 교환하기
    이벤트 기간 동안만 가능한 방법이다. 이벤트가 진행중일땐 광고를 보거나 아무 펫의 페이지에 들어가면 이벤트 토큰을 받을 수 있는데, 이벤트 토큰을 모아서 이벤트 파츠로 교환할 수 있다.

2.2. 펫 시장

다른 유저에게 자신의 펫을 팔거나, 다른 유저의 펫을 살 수 있다. 구매 탭에선 그린 펫 / 교배로 얻은 펫, 골드 / 젬, 남은 판매 기간, 가격, 받은 좋아요 수 (단일 펫), 받은 좋아요 수(컬렉션), 팔린 수 (컬랙션)를 구분할 수 있는 검색 필터가 있다.[4]

2.3. 미니게임

미니게임은 로비에 있는 소년기 단계 이상의 펫을 누르면 뜨는 메뉴 중 공 모양 아이콘을 눌러 할 수 있다. 미니게임은 플라잉 드림, 점프, 계단 오르기, 2048, 16Types 총 5가지 종류가 있다.
플라잉 드림
플래피 버드와 비슷하게 구름 장애물에 닿지 않도록 높이를 조정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화면을 터치하여 펫의 고도를 높일 수 있다.
점프
두들 점프와 비슷하게 패널들을 밟으며 높이 올라가면 된다. 좌우로 드래그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바닥에 닿자마자 알아서 점프를 계속 한다.
계단 오르기
낭떠러지에 떨어지지 않도록 1칸 점프 또는 2칸 점프 버튼을 상황에 알맞게 눌러 계단을 올라가면 된다.
무작위로 생성되는 블럭들이 4x4 화면을 꽉 채우지 않게 상하좌우로 스와이프하여 같은 종류의 블럭을 계속 합치면 된다.
Personality Quiz
(Disclaimer: just for fun)
그냥 재미용으로 하는 미니게임이기 때문에 완료 시 보상은 지급되지 않는다.

16Types를 제외한 모든 미니게임은 게임 종료 시 코인과 대상 펫의 경험치를 준다. 그중에 점프나 계단 오르기가 코인을 빨리 벌 수 있는 편이다.

2.4. 교배

펫을 교배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청년기 이상의 성별이 서로 다른 펫 한 쌍이 필요하며, 펫의 연령, 서로간 친밀도 등등에 따라 교배 확률이 달라지는데 해당 한 쌍에 노년기 펫이 포함돼 있거나 서로간 친밀도가 낮으면 교배 성공 확률이 낮아진다. 친밀도는 해당 한 쌍을 방 안에 동시에 둔 상태로 같이 시간을 보내면 올라가며, 같이 놀아 주거나 빗질을 하는 등 상호 작용 시 더 빨리 올라간다.

교배를 시행하기 전에 미리보기로 태어날 펫의 새끼 때 모습과 자란 모습을 볼 수 있지만 이런 펫이 태어날 수 있다는 가능성만 보여주기에 실제로 태어나는 펫(들)이 이와 완전히 똑같을 거란 보장은 없다. 교배에 성공하면 별도로 젬을 사용해 즉시 완료를 하지 않는 이상 어미 펫은 5일간 임신 상태가 되며, 출산 시 태어난 1~3마리의 펫(들)의 각 파츠는 부모 중 하나로부터 유전되는데 그 비율은 1:1이다.

일반 교배 (500코인), 전문 교배 (25젬) 두 옵션이 있는데 일반 교배는 실패 확률이 있고, 새끼의 모습을 랜덤으로 다시 갱신하려면 50코인씩 지불해야 하는 반면 전문 교배는 100% 성공에 임신 과정없이 즉시 새끼 펫이 태어나고, 새끼 펫의 모습 갱신 시 드는 비용 또한 횟수 상관없이 들지 않는다.

근친 교배이종 교배도 가능하나 둘 다 성공 확률이 낮으며, 성공하더라도 현실에서 그랬던 것처럼 페널티를 받는데 근친 교배로 태어난 펫은 따로 대놓고 근친 출신이라는 딱지가 붙는 동시에[5] 교배 성공 확률이 더 떨어지고 간혹 뭔가 구려 보이는 "게으름" 성격을 갖기도 한다(…). 그리고 이종 교배로 태어난 펫은 아예 교배를 못한다.

밸런타인 아이템을 통해 다른 유저의 펫에게 교배 요청을 할 수 있으며, 밸런타인 X의 경우 상대의 수락 즉시, 5일을 기다리는 대신 바로 새끼 펫을 받는다.

[1] 할로윈 한정 아이콘[2] 기본적으로 모두 장난감을 입에 물고, 가끔씩 강아지 펫은 장난감을 두고 서로 싸우고 고양이 펫은 장난감을 던지며 논다.[3] 주로 몸 파츠가 한 종 전용인 경우가 많고, 강아지, 고양이 공용이 많다. 강아지와 고양이는 크기가 비슷하지만 햄스터는 너무 작아서 그런 듯하다.[4] 기본적으론 그린 펫, 골드, 남은 판매기간 필터가 적용된다.[5] 교배로 태어난 펫임을 보여주는 DNA 아이콘의 바탕색이 흰색이 아닌 검은색으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