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2004년 아일랜드의 공영방송 RTÉ가 국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발표한 명단이다. | ||||||||
<rowcolor=#191919>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존 흄 | 마이클 콜린스 | 메리 로빈슨 | 제임스 코널리 | 폴 데이비드 휴슨 | |||||
공동 6위 | |||||||||
노엘 브라운 | 스티븐 게이틀리 | 필 리놋 | 패트릭 피어스 | 아디 로체 | |||||
공동 11위 | |||||||||
에이먼 데 벌레라 | 조 돌란 | 로니 드루 | 콜린 패럴 | 개럿 피츠제럴드 | |||||
밥 겔도프 | 파드라그 해링턴 | 찰스 호히 | 셰이머스 히니 | 제임스 조이스 | |||||
존 B. 킨 | 로이 킨 | 로넌 키팅 | 숀 레마스 | 잭 린치 | |||||
폴 맥그래스 | 크리스티 무어 | 리암 니슨 | 대니얼 오코넬 | 대니얼 오도넬 | |||||
브라이언 오드리스콜 | 마이클 오리어리 | 존 오셰이 | 소니아 오설리반 | 찰스 스튜어트 파넬 | |||||
크리스티 링 | 테오볼드 울프 톤 | 루이스 월시 | 오스카 와일드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 |||||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필 리놋 Phil Lynott | |
| |
본명 | 필립 파리스 리놋 Philip Parris Lynott[1] |
출생 | 1949년 8월 20일 |
잉글랜드 웨스트 브롬위치 | |
사망 | 1986년 1월 4일 (향년 36세) |
잉글랜드 솔즈베리 | |
국적 | [[아일랜드| ]][[틀:국기| ]][[틀:국기| ]] |
직업 | 가수, 작곡가, 시인, 프로듀서 |
활동 기간 | 1965년 ~ 1985년 |
소속 | 씬 리지, 그랜드슬램, 더 그리디스, 더 크라우드, 스키드로우, 베이비 페이스 |
배우자 | 캐롤라인 크라우서[2] (1980~1984) |
자녀 | 사라 리놋, 캐슬린 리놋, 맥다가라 람브[3] |
별명 | The Ace with the Bass |
[clearfix]
1. 개요
필 리놋은 아일랜드의 음악가이자 시인이다. 씬 리지의 창립 멤버이며, 팀의 리드 보컬과 베이스, 작곡 등을 맡았다. 픽을 활용한 베이스 연주 스타일과 켈트 문화, 아일랜드 노동자 문화를 활용한 가사로 알려져 있다.2. 생애
2.1. 씬 리지 이전
어머니 필로메니아 리놋은 더블린 출신으로, 버밍엄에서 직장생활을 하던 중 필 리놋의 아버지 세실 파리스와 만났다. 1948년 몇 개월간 교제했지만, 세실 파리스가 런던으로 떠나며 결별했다. 이후 임신 사실을 알게 된 필로메니아는 고향 더블린으로 돌아왔다.이후 필과 어머니, 그리고 입양된 2명의 형제 맨체스터로 이주하여 살았지만, 학교를 다니기 시작하면서 혼혈이라는 점 때문에 많은 인종차별을 당하게 되고, 필 더블린으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
더블린에서 조부모님과 함께 자란 필은 삼촌 티모시의 모타운과 마마스 앤 파파스 레코드를 들으며 음악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1965년 학교 친구였던 드러머 브라이언 다우니와 함께 블랙 이글스라는 밴드에서 활동하며 클럽에서 커버곡을 연주했다. 하지만, 2명의 기타리스트가 떠나며 팀은 와해되었다.
1968년에는 브렌던 쉴즈의 소개로 스키드로우에 합류했다. 쉴즈는 리놋에게 드러머가 되기를 부탁했지만 리놋은 보컬만 하기를 원했기 때문에 거절했다. 리놋은 스키드로우에서 게리 무어 등과 교류하기도 하며 보컬 실력에 큰 성장을 이룬다.
이후 성대 문제로 리놋이 스키드로우에서의 활동에 어려움을 겪자, 쉴즈가 보컬을 맡고 팀을 쓰리 피스 밴드로 바꾸었다. 이 때문에 리놋과 다우니는 팀에서 나가게 된다. 대신 리놋에게 쉴즈는 베이스 기타를 가르쳐 주었고 펜더 재즈 베이스까지 준다.
리놋과 다우니는 Orphange라는 밴드를 만들어 밥 딜런, 제프 벡 등의 곡을 커버하며 공연을 이어갔다.
2.2. 씬 리지
1969년 말, 리놋과 다우니는 뎀 창립 멤버이자 키보드를 연주했던 에릭 릭손의 소개로 에릭 벨[4]를 만나게 된다.이 네 명은 곧 서로의 음악적 능력을 인정하고 함께 씬 리지를 만들게 된다. 하지만 에릭 릭손이 1970년 7월 밴드의 첫 싱글 발매 직후 팀을 떠나면서 벨, 다우니, 리놋 세 명이 1집 Thin Lizzy에 참여한다.
2집 Shades of a Blue Orphanage 작업 중에는 리놋은 잠시 동안 딥 퍼플의 이안 페이스, 리치 블랙모어와 함께 베이비페이스라는 팀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하지만 리놋이 프론트맨이 되기를 원하면서 다시 씬 리지로 돌아오며 베이비 페이스는 일단락된다.
하지만 1972년 금전적 문제 때문에 씬 리지의 세 멤버들은 모두 Funky Junction이라는 팀에 들어가 딥 퍼플의 커버곡을 연주하기도 했다. 같은 해 슬레이드의 투어에 참여하면서 씬 리지는 처음으로 대형 공연에 참여하게 된다. 이 투어에서 필 리놋은 무대 매너에 대한 지적을 받게 되고, 이후에는 오히려 뛰어난 무대 위 퍼포먼스로 이름을 알리게 된다.
1973년 아일랜드 민요 "Whiskey in the Jar"를 록 버전으로 리메이크한 것이 아일랜드 차트 10위 이내에 진입하였지만 이후 얼마간 동안 침체기를 겪는다. 에릭 벨 또한 팀을 떠났고, 결국 1976년 Jailbreak에 이르러서야 씬 리지는 스타덤에 오른다.
1976년 Johnny the Fox, 1977년 Bad Reputation, 1979년 Black Rose: A Rock Legend, 그리고 라이브 앨범 Live and Dangerous까지 히트하며 리놋은 성공가도를 달린다. 하지만 리놋의 마약으로 인한 천식 문제, 브라이언 로버트슨를 비롯한 멤버들과 리놋의 마찰이 점점 심해졌다. 특히 일본 공연에서 헤로인을 구할 수 없다는 이유로 리놋이 투어에 어려움을 겪은 일을 계기로 1983년 씬 리지는 해체된다.
1980년에 결혼했던 캐롤라인과도 1984년 마약 문제로 인해 이혼하게 된다.
2.3. 씬 리지 이후
이미 1978년부터 필 리놋은 씬 리지 밖에서 활동을 하고 있었다. 펑크 록에 관심을 가지게 되며 The Greedy Bastards[5]를 조직해 씬 리지, 섹스 피스톨즈등의 곡을 커버했다. 피스톨즈의 스티브 존스, 폴 쿡과 캐롤 A Merry Jingle 라는 싱글을 발매하기도 했다.1980년에는 첫 솔로 앨범인 Solo in Soho를 발매했다. 기타에는 마크 노플러가 참여했고 앨범은 영국 차트 30위에 진입했다.
1984년에는 그랜드 슬램이라는 밴드를 만들었지만, 금전적인 문제와 점점 심해지는 마약 문제가 겹치며 곧 해체되었다.
1985년 12월 25일, 집에서 쓰러진 체 어머니에게 발견되었다. 솔즈베리 병원으로 옮겨져 패혈증 진단을 받았고, 잠시 의식을 회복했으나 결국 1986년 1월 4일, 3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디스코그래피
3.1. 정규 앨범
- Solo in Soho (1980)
- The Philip Lynott Album (1982)
3.2. 라이브 앨범
- Live in Sweden 1983 (2001)
3.3. 컴필레이션 앨범
- Yellow Pearl
4. 여담
- 1974년 Songs for While I'm Away라는 시집을 출간했다. 1977년에는 Philip라는 두 번째 시집을 출간했다.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팬이었고, 조지 베스트와 친구였다. 둘은 필의 어머니가 운영했던 클리프턴 호텔에서 자주 만났다고 한다.
- 영국에서 태어났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스스로를 아일랜드인이라고 생각했고, 노래에도 아일랜드에 대한 많은 사랑을 내비치었다.
- 이 때문인지, 아일랜드에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2005년 더블린의 그래프턴 거리에 리놋의 동상이 세워졌다. 2019년에는 기념 주화와 기념 우표도 만들어졌다.
- 더블린 출신의1968년생 맥다가라 람브라라는 사람이 2003년부터 필 리놋의 혼외자임을 주장했다. 2010년 필 리놋의 어머니 필로메니아 리놋이 혼외자임을 인정하면서 가족의 일원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