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빵류·만두류 | ||||||||
물만두 | 빙(음식) | ||||||||
과자류·떡류 | |||||||||
뤼다군 | 사치마 | ||||||||
고기류·생선류 | |||||||||
유콜라 | 탈라(음식) | 하스마 | |||||||
액체류 | |||||||||
수테차 | 아이락 | ||||||||
기타 | |||||||||
만한전석 | }}}}}}}}} |
만주어: ᡥᠠᠰᡳᠮᠠ
중국어: 哈士蟆 / Hashima / 하스마
1. 개요
만주 지방의 전통 요리로[1], 중국 개구리의 난관을 말려서 만든 식재료다.2. 특징 및 역사
예로부터 중국 황실에서만 먹었는데, 이후 중화권 전 지역에서 구할 수 있는 비싼 고급 재료가 되었다.물에 담그고 설탕으로 끓이면 불투명한 점성이 나온다. 단 물에 빛깔과 풍미를 더하기에 수프의 고급스러움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한다. 바위설탕으로 맛을 조절할 때도 쓴다.
3. 요리법
주로 대추, 생강, 은행 등 향신야채와 함께 오랫동안 고아 불도장 비슷하게 만들어 먹는다. 식감은 보슬보슬한 젤리같은 느낌이라고 한다.홍콩에서는 딤섬으로 만들어 먹기도 하는데 이를 쉿갑고우(雪蛤膏)라고 부른다. 그 외 고급 레스토랑에서는 디저트로 소비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