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08:41:32

하이센스

파일:하이센스 로고.svg
공식 홈페이지

1. 개요2. TV3. 스마트폰4. 기타

1. 개요

海信集团

중국의 가전제품 회사. 산둥성 칭다오시에 그룹의 본사를 두고 있다.[1]

TV 분야에서 삼성전자, LG전자, TCL의 뒤를 이어 세계 4위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샤프전자와 상표권 라이선스 계약을 맺고 2019년까지 북미시장에 팔기도 하였으며, 2017년도시바의 TV 사업을 인수하면서 하이센스가 도시바 TV를 판매한다. 2018년에는 동유럽 최대 백색 가전 업체인 슬로베니아의 고렌예를 인수했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의 공식 스폰서로 참여. 하지만 하이센스는 한국에서는 영업을 하지 않아서 관련 광고는 볼 수 없었다가 월드컵 기간부터 나오기 시작했다. 그리고 일본 대표팀 경기에 한해 도시바 REGZA TV의 브랜드가 경기장 광고판에 나타나기도 했는데, 이는 하이센스가 도시바의 TV 사업을 인수해 가능했다.

2019년 9월 미국 시장에서 LG전자의 특허를 침해한 것으로 피소당하기도 했다. 기사

2. TV

북미를 비롯한 세계 시장에서 중저가 TV 브랜드로 자리잡았으며, 안드로이드 TV, Roku TV 등 스마트 TV도 제조한다.

2015년, 경영난에 빠졌던 샤프로부터 북미 지역 브랜드 라이센스를 구매하여, 2019년까지 북미 지역에서 샤프 브랜드의 TV를 생산하였다. 폭스콘이 샤프를 인수하여 회사 사정이 나아진 2019년에는 샤프가 라이센스를 다시 되찾았다.

2017년, 경영난에 빠진 도시바로부터 TV 생산 부문 자회사인 "도시바 영상 솔루션"의 지분 95%를 인수하여, 일본에서는 하이센스 외에 도시바 브랜드로도 TV를 판매하고 있다. 일본 현지에서는 같은 기종을 도시바와 하이센스 브랜드로 판매중인데 도시바 브랜드로 판매되는 TV가 브랜드 값이 붙어서 그런지 더 비싸게 팔린다고 한다. 현재 일본 시장에서는 중장기적으로 도시바 브랜드의 라이센싱을 중단하려는 모양인지, 도시바라는 이름의 사용을 서서히 줄여나가고 있다. 대신 도시바의 TV 브랜드였던 REGZA(레그자)를 전면에 내세우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중.

다만 하이센스가 도시바 브랜드를 사용하는 것은 일본뿐이며, 하이센스가 도시바의 일본 TV 사업부를 인수할 당시 도시바의 해외 TV 사업은 이미 컴팔, 베스텔 등에 매각된 상태였다.

일본에서의 TV 시장 점유율은 하이센스 자체 브랜드로는 2위이지만 1위인 도시바를 합치면 45%로 압도적이다.

3. 스마트폰

2000년대 초부터 휴대폰 시장에 진입하였으나 사업이 그닥 성공적이지는 못했다. 스마트폰 시대에는 전자종이 스크린을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틈새 시장을 노렸으나, 이마저도 전자책 단말기의 가격 하락 등의 악재로 2023년 공식 Tmall 매장을 철수하였다. B2C 사업을 중단하고, B2B와 정부 납품에 집중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하이센스 A2
하이센스 A2 Pro
하이센스 A5 - 5.85인치 전자잉크 스마트폰. 일반적인 LED 화면이 없다.
하이센스 A6
하이센스 A6L

4. 기타

2022년 카타르 월드컵에서 '중국제일 세계제이'라는 광고를 했다. 중국 TV 점유율 1위, 세계 TV 점유율 2위라는 뜻인데 중국 광고법상 '제일'이라는 표현을 쓸 수 없기 때문에 '중국제조, 일기노력'(중국에서 만듭니다, 같이 힘냅시다)란 문구로 변경했다. 2년 후 유로 2024에서도 동일한 광고 문구를 내보내고 있다.


[1] 백색가전 부문을 담당하는 하이센스 가전광둥성 포산시에 위치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