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1 12:20:14

하지 모하마드 참카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c224>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누르 모하마드 타라키 하피줄라 아민 바브라크 카르말 하지 모하마드 참카니
<rowcolor=#ffc224> 제5대
모하마드 나지불라 }}}
}}}}}}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제4대 혁명평의회의장
하지 모하마드 참카니
حاجي محمد څمکنی
Haji Mohammad Chamkani
<colbgcolor=#cd0000><colcolor=#febe00> 출생 1947년
아프가니스탄 왕국
사망 2012년 (향년 64~65세)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카불
국적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틀:국기|]][[틀:국기|]]
부족 파슈툰족
직업 정치인
학력 불명
배우자 불명
자녀 불명
종교 무종교 (무신론)
정당 무소속[1]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2]
경력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혁명평의회의장(1986 ~ 1987)
1. 개요2. 생애
2.1. 의장 재임기간(1986 ~ 1987)2.2. 최후

[clearfix]

1. 개요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의 제4대 혁명평의회의장.

2. 생애

카르말 정권 이전 인민민주당 출신이 아닌 파키스탄 근처 아프가니스탄 주들의 부족들의 지도자였으며, 카르말 정권 당시 인민민주당의 정식 당원이 되면서 혁명평의회의 부의장을 맡았다.

2.1. 의장 재임기간(1986 ~ 1987)

1986년 바브라크 카르말이 사임하고 소련 모스크바로 망명하자 모하마드 나지불라가 의장이 될 때까지 1986년 11월 24일부터 1987년 9월 30일까지 1년간 의장을 맡았다.

파키스탄 근처 주들의 부족들의 지도자를 맡은 적이 있어서, 파키스탄 내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지만, 이미 비밀경찰 출신이자 인민민주당 출신 나지불라가 아프가니스탄 내 정치의 실권을 잡고 있었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었다.

참카니 정권 당시 소련이 아프가니스탄 내 주둔한 일부 소련군의 철수에 동의했으며, 나지불라가 아프가니스탄 공화국에 사용될 새 헌법을 준비했다.

2.2. 최후

2012년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카불에서 사망했다.


[1] 카르말 정권 이전 무소속이었다.[2] 카르말 정권 이후 혁명평의회의 부의장을 맡으면서 정식 당원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