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or=#FFFFFF> 미소녀 게임 연말 시상식 수상 실적 | |||||||||||||||||||||||||||||||||||||||||||||||||||||||||||||||||||||||||||||||||||||||||||||||||||||||||||||||||||||||||||||||||||||||||||||||||||||||||||||||||||||||||||||||||||||||||||||||||||||||||||||||||||||||||||||||||||||||||||||||||||||||||||||||||||||||||||||||||||||||||||||||||||||||||||||||||||||||||||||||||||||||||||||||||||||||||||||||||||||||||||||||||||||||||||||||||||||||||||||||||||||||||||||||||||||||||||||||||||||||||||
|
ハピメア
1. 소개
Hapymaher. 퍼플 소프트웨어에서 2013년 2월 28일 발매한 에로게. 원화 담당은 月杜尋(츠키모리 히로)와 克(코쿠).
자각몽을 꾸고 있는 주인공을 중심으로 꿈속의 세계와 현실을 오가는 내용이 줄거리로 등장인물들은 서로 꿈을 공유하기도 한다. 꿈속의 세계 파트에서는 몽환적인 분위기를 내고 있으며 이곳에서는 히로인들도 동화에서 나오는 캐릭터들같은 옷차림을 하게 된다. 스토리 진행은 에피소드 방식으로 하며 중간중간에 막간극을 삽입해 놨다.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잠자는 숲속의 공주,피터팬 등이 모티브가 되었으며,게임 전체 스토리 구조는 이 영화를 모티브로 했다고 제작진이 잡지에서 밝혔다.링크 스포일러 주의. [1]
본편 발매 후 정확히 1년이 되는 2014년 2월 28일, 팬디스크로 '하피메아 Fragmentation Dream' 이 발매되었다.
C86을 통해 원화&판권집이 발매되었고, C87에는 원화가 중 한 명인 코쿠가 미래 노스텔지아와의 합본 동인지를 발매했다. 허나 둘 다 무슨 마가 꼈는지 일부 페이지에 오탈자 파본크리...
오프닝들은 모두 하시모토 미유키가 불렀다.
2015년 7월 24일에는 합본판인 W팩을 발매.
2. 스토리
―명석몽― 꿈 속에서 「이건 꿈이다」고 깨달아 버리는 꿈. 나이토 토오루(内藤透)는 어떤 사고를 경계로, 모든 꿈을 자각몽으로 보게 되었다. 본래 수면은 푹 쉬기 위한 것. 그러나 그는 자고 있을 때도 깨어있을 때도 쉴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가 쉴 수 있는 건, 완전히 지쳐 쓰러졌을 때만. 그런 그를 지지하는 소꿉 친구인 사키는, 토오루를 「오빠」라고 부르며, 과학부 선배·야요이는 서투른 토오루의 삶을 재밌어 하고, 역 앞에서 노래하는 케이코는 토오루를 이상한 선배라고 한다. 그리고 토오루는 오늘도 꿈을 꾼다. 하지만, 그 꿈은 지금까지의 꿈과는 다른 꿈이었다. 「마이아……? 어째서, 네가 꿈에……?」 자각몽을 꾸게 되고 나서는, 한 번도 꿈에 나오지 않았던 여자 아이. 마이아가 다시 그의 앞에 나타났다. 그건 토오루에게 있어 최악인 악몽의 모습. 하지만 나타난 건 마이아 만이 아니다. 「나쁜 꿈은, 여기서 끝내야지」 그렇게 말해 꿈 속에서 토오루를 도와준 건, 아리스(有栖)라고 자칭하는 여자 아이였다. 꿈 속을 떠돌아 다니다, 토오루의 꿈에 왔다고 하는 아리스. ──이 만남은 무엇의 시작인가. 고민하는 토오루에게 답은 발견되지 않는다. 그런 그의 귓가에, 마이아가 속삭인다. 「이건 달콤하고 행복한 악몽의 이야기」 |
3. 등장인물
캐릭터명, 디자인 대부분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저자 루이스 캐럴에게서 모티브를 따 온 것이다.
3.1. 주역
- 나이토 토오루(内藤 透) - 주인공
- 하스노 사키(蓮乃 咲) CV : 아오야마 유카리
캐릭터 디자인 모티브는 백설공주,서큐버스,[3] 여기에 일본식 변형을 거쳐 완성되었다.[4]스토리 모티브는 잠자는 공주.
캐릭터 디자인 모티브는 마치 헤어와[6] 바니걸. 성인 루트위지는 루이스 캐럴의 본명[7]에서 따 왔다.다른 루트에서는 퀸 오브 하트가 되기도 한다.개별 루트 스토리 모티브는 미운 오리 새끼이다.
- 히라사카 케이코(平坂 景子) CV : 아오바 링고
히로인 4인 중 가장 스트레이트하게 감정을 표현하기에 토오루에 대한 호의 역시 굉장히 스트레이트하게 표현한다. 야요이는 아예 육식계라고 부를 정도. 사실 아리스를 제외한 3인 모두 적극적으로 어프로치를 하는 편이지만 그 중에서도 케이코가 가장 직설적이고 강렬하다.
공략 히로인 중 유일한 빈유인지라 늘쌍 그 부분을 신경쓰고 있다. 게다가 안타깝게도 한참 성장할 나이지만 반년간 사이즈의 변화가 없다고(...).
캐릭터 디자인 모티브는 요정 팅커벨,고유 루트 스토리 모티브는 피터팬.
3.2. 조역
- 네즈 테츠야(根津 哲也) CV : 코이케 타케조
- 아사히·D·루트위지(朝日·D·ルートウィッジ) CV : 카와시마 리노
풀네임이 아사히 더지슨 루트위지(朝日 Dodgson Lutwidge)인데, 언니와 마찬가지로 루이스 캐럴의 본명을 뒤튼 형태의 이름.
- 타카하라 미아(高原 みあ) CV : 히라노 쿄코
- 히라사카 요시야스(平坂 義康) CV : 세이료 히지리
4. 기타
본편, 팬디스크 모두 무개념 복돌이들이 니코동에서 불법다운을 인증하다 퍼플 소프트웨어의 대표이사 이시카와 카이에게 고소된 적이 있다. 자세한 것은 퍼플 소프트웨어 문서 참조. DMM 앱 스토어에서 본편과 팬디스크의 모바일버전[9]을 판매 중이다. 각각 3780엔이다.[1] 모티브가 된 영화가 어려워서 그런지 이 게임도 그냥 봐서는 이해하기 상당히 어렵다는 평이 많다. 꿈과 현실을 제멋대로 오가기 때문에 더더욱 그런듯.[스포일러] 마이아가 죽은 뒤 상심에 빠진 주인공을 위로하기 위해서 자신이 여동생 포지션을 맡고있다.[3] 이름 중간의 글자 "노"를 빼고 적당히 탁음을 빼고 ユ를 붙인 뒤 애너그램하면 서큐버스가 된다.[4] 서큐버스가 모티브라서 그런지 몰라도 사키 루트에서는 밤에 토오루를 쥐어짜낸다는 말을 하여 옆에서 커피를 마시던 아리스와 야요이가 뿜었다.[5] 풀네임은 야요이 버나드 루트위지(弥生 Barnard Lutwidge).[6] 이름인 야요이가 음력 3월을 의미하기 때문이다.[7] Charles Lutwidge Dodgson[8] 이때 뜬금없이 재우는 댓가로 몸을 주겠다고 해서 토오루를 뿜게 했다.[9] 무삭제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