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1 21:38:49

한글 초성 채움 문자

HCF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HCF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컴퓨터 명령 Halt and Catch Fire에 대한 내용은 무한 루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글 기본 자모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2em"
{{{#!folding [ 현대 한글 ]
{{{#!wiki style="margin:-5px 0 -5px
<colbgcolor=#eee,#000>기본 자모
자음(14개) · · · · · · · · · · · · ·
모음(10개) · · · · · · · · ·
기타 자모
자​음<colbgcolor=#eee,#000>겹자음(5개) · · · ·
겹받침(11개) · · · · · · · · · ·
겹모음(11개) · · · · · · · ·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2em"
{{{#!folding [ 옛한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문서가 없는 옛한글 자모는 옛한글/자모 문서 참고
  • 일부 자모는 옛한글 글꼴이 필요함
<colbgcolor=#eee,#000>기본 자모 · · ·
중국어 표기용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기타한글 초성 채움 문자
겹자모
초​성<colbgcolor=#eee,#000>각자​병서 · ·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ᄽ · ᄿ · ᅏ · ᅑ) · · ·
합용​병서ㅂ계 합용병서(ㅲ · ㅳ · ㅄ · ㅶ · ㅷ)
ㅅ계 합용병서(ㅺ · ㅼ · ㅽ · ㅾ)
ㅄ계 합용병서(ㅴ · ㅵ · ᄤ · ᄥ · ᄦ · ꥲ)
연서 · 훈민정음의 순경음(ㆄ · ㅸ · ㅹ · ㅱ)
중성 · · · · · (ᆖ) · (ᆢ) ·
종성 · · }}}}}}}}}}}}

1. 개요2. 예시3. 한글 중성 채움 문자4. 기타 용도5. 옛한글에서의 용법6. 관련 문서

(ᅟ)옆칸의 괄호 안의 문자
U+115F, HANGUL CHOSEONG FILLER (HCF)

1. 개요

말 그대로 한글 초성을 채우는 문자. 한글 채움 문자(U+3164)와는 전혀 다르다. 한글 채움 문자와 다르게 iOS에서는 [HFC]로 표시된다.

2. 예시

첫가끝 조합 한글에서 초성이 없는 문자를 입력할 때에 사용한다. 예를 들어 '초성 없음 + 중성 ㅏ + 종성 ㄴ' 구조의 한글 완성자는 'ᅟᅡᆫ'(U+115F U+1161 U+11AB)으로 표현된다.

이렇게 쓰이지 않더라도 실수로 입력되는 경우도 있다. 세벌식 자판은 초성 → 중성 → 종성의 순서를 글씨를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그 글자가 완성되기 때문에 ㅇ벗어 같은 오타가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굉장히 드문 경우지만 몇몇 입력기에서 때때로 초성이 먼저 들어오지 않을 경우, 초성이 없는 자리에 HCF를 넣어 버려서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는데 강제로 띄어쓰기가 된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생긴다. 이 경우 '미ᅟ정'처럼 컴퓨터에서는 두 글자로 인식되지만 눈으로 볼 때에는 '미'하고 '정' 사이에 띄어쓰기가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Windows용 한/글 워드프로세서에서 사용되는 '한컴 다국어 입력기'에서는 모음 이후 자음이 입력될 경우 HCF를 이용해 합자(合字) 형태로 조합한다. 예를 들어 ㅏ → ㄴ 순서의 키 입력은 'ᅟᅡᆫ'으로 조합된다.

2016년에는 정유라가 자신의 대학 과제에 이 초성 채움 문자("ᅟᅮᆼ요하고")를 쓴 적이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 이화여자대학교 정유라 특혜 논란 문서 참고.

3. 한글 중성 채움 문자

이와 비슷한 문자로는 유니코드에서 U+1160 자리에 있는 중성 채움 문자(HJF)가 있다(예: ᄲᅠᇖ, ᄉᅠᆷ). 참고로 종성 채움 문자는 존재하지 않으며, 종성이 없는 경우 종성 자리에 그냥 아무것도 넣지 않는다(예: ᄀᆞ U+1100 U+119E).

나무위키에선 컴퓨터 환경에선 합쳐진 걸로 보이나 일부 폰 환경은 중성ᅟ종성으로 보인다.

4. 기타 용도

한글이고 뭐고 쓸 일 없는 서구권에선, 아스키 아트와 달리 공백이 허용되지 않는 유니코드 아트에서 공백 대용으로 꽤 유용하게 쓰이는 듯하다. #

5. 옛한글에서의 용법

특정 자음자의 음가와는 다른 음가를 나타내기 위해 병서(가로로 나란히 씀)나 연서(세로로 이어서 씀) 등의 방법으로 해당 자음자에 덧붙인 글자 역시 채움 문자의 일종으로 여길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이영보래가 있는데, 이는 이상적 한자음에 가까운 동국정운식 한자음을 나타내기 위해 ㄹ 옆에 ㆆ을 더해 ㅭ 종성을 만들어 입성(入聲)의 효과를 낸 것이다. 예: 八(바ᇙ), 戌(슈ᇙ).

혹은 'ㅂ' 아래에 'ㅇ'을 더함으로써 순경음(입술 가벼운 소리, 양순 마찰음)을 나타내기도 했다. 예: 非(ᄫᅵ).

다음은 훈민정음의 순경음의 예이다.
36자모상의
전통적 오음[1]에 기반한 분류
현대 음성학에서의
조음 위치에 기반한 분류
전청
(무성무기음)
차청
(무성유기음)
전탁
(유성무기음)[2]
차탁
(공명음)
순음
(脣音)
중순음
(重脣音)
양순파열음 幫(방)

/p/
滂(방)

/pʰ/
竝(병)

/b/
明(명)

/m/
경순음
(輕脣音)
순치음 or
양순마찰음
非(비)

/f/
敷(부)

/fʰ/
奉(봉)

/v/
微(미)

/ɱ/
위 표는 광운과 운회(韻會)를 바탕으로 한 자모표의 일부이다.

이를 현대적으로 적용하면 우리말에 없는 [f] 등의 마찰음이 있는 외래어를 표기하기 위한 ㆄ 등의 자모를 상정할 수 있다. 예: coffee 커ᅗᅵ. 다만 실험적 표기이며 널리 쓰이지는 않는다.

한글로 된 찌아찌아어 교과서의 한 구절에서 사용된 한글 초성 채움 문자의 예
아디 세링 빨리 노논또 뗄레ᄫᅵ시. 아마노 노뽀옴바에 이아 나누몬또 뗄레ᄫᅵ시 꼴리에 노몰렝오.
adi sering pali nononto televisi. amano nopo'ombae ia nanumonto televisi kolie nomolengo.

6. 관련 문서

나무위키에 등록된 문서 중 이 문서처럼 문자가 보이지 않는 문서들이다.
[1] 아·설·순·치·후음(牙·舌·脣·齒·喉音)을 이른다. 설음은 설두음(舌頭音)과 설상음(舌上音), 순음은 중순음(重脣音)과 경순음(輕脣音), 치음은 치두음(齒頭音)과 정치음(正齒音)으로 세분하였다.[2] 이 열에서의 각자 병서(같은 자음을 옆으로 나란히 쓴 자모)는 한국어의 된소리가 아니라 중국 중고음의 유성무기음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