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일반병과 | ||||
| | | | ||
조종 | 항공통제 | 방공포병 | 정보 | ||
운항관제 | 항공통제 | ||||
| | | | ||
군수 | 정보통신 | 기상 | |||
항공무기정비 | 보급수송 | 항공안전 | |||
| | | | | |
공병 | 재정 | 정훈 | |||
정훈 | 군악 | 의장 | |||
| | ||||
군사경찰 | 인사교육 | ||||
특수병과 | |||||
| | | |||
의무 | 법무 | 군종 | |||
항공의무 | 항공구조 | ||||
※ 둘러보기 : 육군의 병과 | 해군・해병대의 병과 | 공군의 병과 | }}}}}}}}}}}}}}} |
1. 개요
대한민국 공군의 항공무기정비 특기의 하위 특기로 대한민국 해군의 기관병에 상응한다. 기계 직종 내에서 항공기기체정비와 인지도로 투톱을 이루기도 하고 항공정비사 자격증명을 가진 이들에게 기체정비와 함께 선호도 2위이다.[1] 특기번호는 414X(병:41410)이며, 군수1학교에서 기종을 나누고 병사는 15일, 영외자 초급과정은 6주간 교육을 받는다.2. 부서
2.1. 부품정비대대
엔진만 관리하므로 100% 기관중대로 배속된다. 기관중대는 크게 기관일선반과 기관정비반으로 나뉜다. 그 중에서 기관일선반이 핵심이 되는데, 허쉬하우스[2]에서 엔진을 극한까지 돌려보는 점검도 하며, 현장에서 엔진 교체 시 엔진을 배송하고 장착/장탈하는[3] 일도 전부 이 부서에서 한다. 기관정비반은 말 그대로 엔진만 집중 관리, 정비하며 기관일선반이 가져온 엔진을 수리하고 다시 일선반을 통해 배송한다. 이외에는 통합자재관리반으로 갈 수 있다.2.2.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사격지원대
보직의 명칭은 항해병표적회수반에 소속되어 배를 몰고 표적기를 회수하거나 사격장 주변에 있는 선박들을 소해하는 임무를 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