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00:18:20

보급수송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군수(군사)
, 병참
, 수송
, 군대 관련 정보
, 군사특기
, 작전지원전대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대한민국 공군병과 · 특기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일반병과
파일:특기_조종.png 파일:특기_항공통제.png 파일:특기_방공포병.png 파일:특기_정보.png
조종 항공통제 방공포병 정보
운항관제 항공통제
파일:특기_군수.png 파일:특기_항공안전.png 파일:특기_정보통신.png 파일:특기_기상.png
군수 정보통신 기상
항공무기정비 보급수송 항공안전
파일:특기_공병.png 파일:특기_재정.png 파일:특기_정훈.png 파일:특기_군악.png 파일:특기_의장1.png
공병 재정 정훈
정훈 군악 의장
파일:특기_군사경찰.png 파일:특기_인사교육.png
군사경찰 인사교육
특수병과
파일:특기_의무.png 파일:특기_항공구조.png 파일:특기_법무.png
파일:특기_목사.png파일:특기_신부.png파일:특기_법사.png
의무 법무 군종
항공의무 항공구조
}}}}}}}}}}}}}}} ||
※ 둘러보기 : 육군의 병과 | 해군・해병대의 병과 | 공군의 병과


파일:특기_군수.png
군수 병과 휘장

1. 개요2. 세부 특기3. 신분별 업무와 특징
3.1. 장교3.2. 준·부사관3.3. 병사3.4. 군무원
4.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 공군군사특기. 육군의 병참수송 병과, 해군의 보급 병과 및 수송 직별에 상응한다. 과거에는 독립된 병과였으나, 현재는 항공무기정비 특기군과 함께 군수 병과를 구성하는 특기군이다. 장교의 경우 보급수송 단일 특기이고, 부사관 및 병사의 경우보다 세분화된 특기로 구성되어 있다.

2. 세부 특기

3. 신분별 업무와 특징

3.1. 장교

같은 군수 병과이지만, 준장 자리 하나가 고정된 항공무기정비 특기와 달리 실질적인 진급상한선은 대령이다. 병과장은 통상적으로 대령이고, 간혹 임기제 준장이 군수참모부 차장에 보임한다. 보급 및 수송 실무는 수행하지 않고, 보급 및 수송 계획, 관리감독, 통제, 평가 업무 등을 수행한다. 초급 장교 시절에는 대부분 부대의 운영과 행정 중심의 업무를 수행하고, 이후 짬이 차게 되면 지휘관으로서 보급 및 수송 관리 업무, 혹은 참모나 실무자로서 보급 및 수송 정책 수립 및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초급 장교 때는 보통 작전지원전대 작전지원과나 예하 보급대대 혹은 수송대대 운영통제실에 실무 장교로 보임하거나, 곧바로 보급, 수송, 복지대대 예하 중대의 중대장에 보임하기도 한다.

이후 중대장을 역임한 짬대위나 신임 소령 정도가 대대 운영통제실장을 역임하게 되며, 대위 때부터 슬슬 군수사령부 본부나 그 예하부대(제60수송전대, 종합보급창)와 비행단을 왔다갔다하게 된다.

고참 소령이 된다면 소규모 비행단의 복지대대장[6], 보급대대장, 수송대대장 등에 보임할 수 있고, 공군본부나 국방부, 국군수송사령부 등에 실무자로 나갈 수도 있다. 위탁교육이나 학위 취득을 통해 전문성을 쌓는다면 군수사령부 예하의 연구 보직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후 중령진급에 성공한다면 대규모 비행단급 부대의 보급대대장, 수송대대장, 복지대대장을 역임한 후, 작전지원전대의 선임참모인 작전지원과장[7]을 역임한다. 비행단 밖에서는 군수사령부 예하의 제60수송전대 예하의 대대장, 혹은 종합보급창 예하의 각 물자관리소장을 역임할 수 있으며 당연히 60전대 본부 참모나 종합보급창 본부의 참모로도 갈 수 있다. 지휘관/참모 보직 외에는 공군본부 실무자나 군수사령부 과장 등을 역임할 수 있다.

대령에 진급하게 되면 군수사령부 각 처장을 비롯하여 다른 사령부급 부대의 군수처장, 제60수송전대장을 역임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공군본부 군수참모부의 차장 및 과장을 역임한다. 경우에 따라 자리가 나온다면 교육사령부 예하의 군수2학교장을 역임할 수도 있다. 대부분은 대령에서 전역하게 되며, 몇 년에 한 번 임기제 준장 티오가 돌아오면 그때 군수참모부 군수운영차장을 2년간 역임한 후 전역한다.

3.2. 준·부사관

같은 군수병과인 항공무기정비 병과에 비해 준부사관의 비중은 적은 편이다. 기술적 전문성이 요해지는 정비 분야에 비해 보급수송 분야는 상대적으로 숙련도가 낮아도 되고, 워낙 인력집약적인 분야다 보니 병사의 비중이 높기 때문. 그럼에도 어쨌거나 실무를 아예 수행하지 않는 것은 아니어서, 수송운영 부사관의 경우 대부분 대형면허 등을 소지하고 있고 경우에 따라 직접 영외 배차 등을 뛰기도 한다. 항공운수 및 장비물자보급관리 부사관의 경우에도 병사가 수행할 수 있는 업무에 일단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직접 업무를 수행하기는 하지만, 일단 기본적으로는 델리스(국방군수체계) 만지는 것이 주 업무이기는 하다. 한편 수리부속보급관리 특기의 경우 병사[8] 없이 준사관 및 부사관만으로 구성되어 있어 준부사관의 중요도가 높은 편.

3.3. 병사

공군 내 병과, 특기군 중에서 병사의 비중이 상당히 높은 특기 중 하나이다. 운전이나 급양 업무 대부분을 저임금 미숙련 인력인 병사들이 도맡아 하고 이들이 보급수송 특기군에 속해 있기 때문이다. 워낙 보급수송이라는 이름 아래에 온갖 분야가 다 들어있어서 꿀과 헬의 스펙트럼이 넓은 편. 대표적인 인기 특기인 장비물자보급, 항공운수 뿐 아니라 대표적인 기피특기인 급양까지 여기에 속해 있다. 군수병과로 같이 묶인 항공무기정비까지 합치면 거의 군사경찰에 준하는 정도의 규모라서 특기마크만으로는 어떤 대대 어떤 특기인지 구분하기가 어렵다.

3.4. 군무원

항공무기정비 특기와 마찬가지로 의외로 군무원의 수가 많은 특기. 군무원은 엄밀히 따지면 보급수송 특기는 아니고, 군수 직렬이다. 다른 대대에는 군무원이 본부에나 한 두 명 있을까 말까 하지만 보급 및 수송 분야의 경우 의외로 군무원이 많고, 수송대대의 경우 예하 정비중대장이 5~6급 군무원이다.

4. 둘러보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장교] [준/부사관] [준/부사관] [준/부사관] [준/부사관] [6] 단 이 자리는 인사교육 특기와 공통직위이다.[7] 작전지원전대가 없는 비전투 단급 부대의 경우 군수처장.[8] 다만 비행단급 부대 보급대대의 수리부속중대에는 정비 특기의 병사가 소수 편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