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輸送
Transportation수송 수단을 이용해 사람, 동물, 물건 등을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
2. 병과
대한민국 공군의 병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보급수송 문서 참고하십시오.대한민국 육군의 병과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일반병과 | |||||
보병 | 기갑 | 포병 | 방공 | 정보 | ||
공병 | 정보통신 | 항공 | 화생방 | 군수 | ||
병기 | 병참 | 수송 | 인사 | 군사경찰 | ||
재정 | 정훈 | 군악* | ||||
특수병과 | ||||||
의무 | 간호* | 법무 | 군종 | |||
첨자 *: 군악은 정훈 하위병과, 간호는 의무 하위병과 | }}}}}}}}}}}}}}} | |||||
※ 둘러보기 : 육군의 병과 | 해군・해병대의 병과 | 공군의 병과 |
대한민국 공군의 병과 · 특기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일반병과 | ||||
조종 | 항공통제 | 방공포병 | 정보 | ||
운항관제 | 항공통제 | ||||
군수 | 정보통신 | 기상 | |||
항공무기정비 | 보급수송 | 항공안전 | |||
공병 | 재정 | 정훈 | |||
정훈 | 군악 | 의장 | |||
군사경찰 | 인사교육 | ||||
특수병과 | |||||
의무 | 법무 | 군종 | |||
항공의무 | 항공구조 |
}}}}}}}}}}}}}}} ||
※ 둘러보기 : 육군의 병과 | 해군・해병대의 병과 | 공군의 병과 |
육군 수송 병과휘장 |
군 수송을 책임지는 병과이자 대표적인 비전투병과. 예나 지금이나 군대에서 가장 중요한 건 보급인데, 그 보급품은 수송이 없으면 필요한 곳에 갈 수가 없다. 결국 병참과는 불가분 관계의 소울메이트. 보급과 마찬가지로 수송이 안 되면 장기적인 전쟁 수행 능력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실제 전쟁에서도 적의 수송 차량이나 화물열차, 수송선 및 수송기 등을 직접적으로 공격해 파괴 혹은 나포하거나, 적의 보급품 수송을 어렵게 만들고 방해하기 위한 작전을 펼치게 되는 경우가 매우 많다.
스타크래프트에서도 차원 관문 시스템을 운용하여 병력을 소환하는 프로토스를 왜 세계관 최강의 종족이라 평하는지, 왜 테란인들이 "왜 이 녀석들은 우주를 지배하지 않는 걸까? 지배할 마음이 없는 걸까?" 하며 의문을 품는지 설명해주는 요소이기도 하다.[1]
수송 특기를 가진 군 간부를 상상하면 운전하는 간부로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배차관리 및 차량정비, 유지의 업무가 더 많다. 과거 육군에는 정말로 운전을 전문으로 하는 운전특기가 존재했으나 수송과 합쳐졌다.
대체로 이 특기를 가진 간부들은 배차 시스템을 관리하거나 정비를 관리한다. 대체로 수송관 혹은 정비관의 보직을 받는다.
그렇다고 운전을 못하는 것은 아니다. 수송특기인 만큼 대체로 대형까지는 기본이고 진급을 위해 견인면허와 그외 특수 면허(구난, 위험물수송, 지게차)들도 다수 가지고 있는 게 보통이며, 부대 내 차량을 아주 쉽게 운전한다. 구난차나 견인차 같은 특수자동차의 경우 숙련되지 않은 병사들이 다루기 힘들기 때문에 주로 부사관이나 군무원이 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주차나 차량 내부수입, 세차 등의 잡무는 운전병한테 시킨다.[2] 운전은 기초군사훈련이 끝나고 받게 되는 후반기교육에서도 배우긴 하나 그것만 가지고 바로 실무에 투입하기는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자대배치 후에 고참에게 배우는 경우가 많다. 이때는 행정업무보다는 일반 운전병처럼 운전을 하는 경우가 많을 수도 있다.
장교의 경우는 처음부터 부대관리나 행정보직으로 빠지기 때문에 수송특기이지만 입대하고 운전대 한번 잡아볼 일이 없을 수도 있다.
군수지원사령부 직할의 경우 보급대와 수송대가 분리되어 있으나 사단 직할의 경우 전방은 보급수송대대, 후방은 보급수송근무대로 통합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수송 업무는 정비대대/정비근무대에서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해군의 경우는 수송병과가 운전병을 의미한다. 장교는 수송병과가 없고, 공병 병과 예하에 수송 직별이 존재한다. 그리고 육군이나 공군과 다르게 수송직별이 공병장비까지 동시에 운영하는 게 보통.
공군의 경우 군수 병과의 보급수송 특기 장교가 수송 업무도 함께 관할하고, 부사관은 항공운수 및 수송운영 특기, 병은 항공운수, 일반차량운전, 특수차량운전, 방공포차량운전의 세 특기가 수송 관련 업무를 맡는다. 물론 병의 세 종류 특기들의 경우 부대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부대에 따라서는 이 세 특기의 업무가 철저히 구분되는 경우도 있는 반면, 그냥 전부 똑같은 일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배차 업무의 경우 부대에 따라 인사교육 특기 병사를 따로 뽑아서 배차병으로 쓰는 경우도 있고, 운전병 중 운전 기량이 떨어지는 병사나 희망자를 배차 쪽으로 보내는 경우도 있다.[3]
지구상의 전 지역을 돌아다니는 미군의 경우 C-17 같은 먼치킨 수송기도 날리는 공군수송사령부를 4성급 보직으로 운용하고 있다. 심지어 공군뿐만 아니라 미군 전체를 관장하는 통합군 수송사령부도 있다. 전세계를 날아다녀야 하는 특성상 통합군 수송사령부는 공군이 거의 모든 요직을 차지한다. 심지어는 노턴 슈워츠처럼 수송사령부 출신 공군참모총장도 있을 정도.
대한민국 국군도 국군수송사령부가 있다. TMO도 이 수송사령부 예하이다. 공군군수사령부 예하의 제60수송전대도 이름에 수송이 들어가지만 실제 기능은 육상수송보다는 공수 운영의 지원이라 성격이 다르다.
2.1. 진급
육군과 해군 및 공군 전군 수송장교의 진급 상한선은 준장이며 보직은 국군수송사령관이다.부사관의 경우 육해공 전부 진급이 보병 등 전투병과에 비해서 느리다. 군생활 15년차~20년차 중사가 판을 친다. 20년차쯤 되어야 상사로 진급하며 원사를 다는 건 하늘에 별 따기라서 수송병과로 부사관으로 장기가 된다면 원사 진급은 거의 포기해야 한다.
2.2. 관련 문서
[1] 다만 이곤 스텟먼은 이런 개념이 아니라 그냥 이 종족이 너무나도 월등한 기술력을 가진 걸 보고 한 말이다. 이건 단지 빗대기 위해 넣은 것일 뿐. 그것과는 별개로 레이너 특공대에서 이 수송 능력을 높이 평가하긴 했다. 수석 기술자인 로리 스완과 레이너 특공대 사령관인 레이너의 대화에서 프로토스의 이쪽 분야의 기술력에 대해 얘기를 나누면서 레이너가 "제발 그 기술을 케리건을 막는 데 썼으면 좋겠네요." 라고 푸념하는 장면이 있다.[2] 이는 당연한 게 수송부대가 아닌 이상 부대 내에서 수송병과를 가진 간부는 많지 않은 게 보통이다(일반적인 대대 편제 기준으로 수송관 1명에 정비관 1~2명 정도). 다른 할 일들이 산더미처럼 쌓여있는데 그런 기본적인 일까지 모두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3] 참고로, 공군 운전병 중에는 공병장비운전과 경장갑차 운전 특기도 있지만, 이 둘은 수송특기가 아니라 각각 공병(舊 시설) 특기, 군사경찰(舊 헌병) 특기로 분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