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2 20:19:57

대한민국 공군/군사특기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대한민국 공군병과 · 특기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일반병과
파일:특기_조종.png 파일:특기_항공통제.png 파일:특기_방공포병.png 파일:특기_정보.png
조종 항공통제 방공포병 정보
운항관제 항공통제
파일:특기_군수.png 파일:특기_항공안전.png 파일:특기_정보통신.png 파일:특기_기상.png
군수 항공안전 정보통신 기상
항공무기정비 보급수송
파일:특기_공병.png 파일:특기_재정.png 파일:특기_정훈.png 파일:특기_군악.png 파일:특기_의장1.png
공병 재정 정훈
정훈 군악 의장
파일:특기_군사경찰.png 파일:특기_인사교육.png
군사경찰 인사교육
특수병과
파일:특기_의무.png 파일:특기_항공구조.png 파일:특기_법무.png
파일:특기_목사.png파일:특기_신부.png파일:특기_법사.png
의무 법무 군종
항공의무 항공구조
}}}}}}}}}}}}}}} ||
※ 둘러보기 : 육군의 병과 | 해군・해병대의 병과 | 공군의 병과

1. 개요2. 특기 체계
2.1. 특기부문 (특기군)2.2. 특기부목2.3. 숙련도2.4. 특기세목2.5. 접미어
3. 기본병과
3.1. 조종3.2. 항공통제
3.2.1. 운항관제3.2.2. 항공통제
3.3. 방공포병3.4. 정보3.5. 군수
3.5.1. 항공무기정비3.5.2. 보급수송3.5.3. 안전
3.6. 정보통신3.7. 기상3.8. 공병3.9. 재정3.10. 정훈
3.10.1. 정훈3.10.2. 군악/의장
3.11. 군사경찰3.12. 인사교육
4. 특수병과
4.1. 의무
4.1.1. 의무4.1.2. 구조
4.2. 법무4.3. 군종
5. 과거 병과

1. 개요

대한민국 공군의 군사특기를 설명한 문서.

2. 특기 체계

군인사법 시행령에 규정된 병과를 세분화한 것들이 특기이고, 이러한 특기 중 비슷한 계열을 묶어 특기부문(특기군)을 형성한다.

특기는 각 특기와 계급에 따른 국문 명칭이 정해져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특기부호(특기번호)라 불리는 숫자로 통칭되는 경우가 많다. 특기번호는 네 자리 혹은 다섯 자리로 구성된다. 장교 및 부사관은 네 자리, 병은 다섯 자리다. ABCDE라고 한다면, 구분 기준은 다음과 같다.
특기번호 체계 예시
A B C D E 접미어
특기부문 특기부목 숙련도 특기세목

한편 중간에 비어서 넘어가는 번호들은 과거에 존재했던 특기들이 통폐합되어서 그런 것이다. 현재의 특기 체계와 특기 번호는 대부분 1995년 7월부로 개정된 특기 체계에 기반하고 있다. '병 특기 통폐합 연구' (월간공군 제231호)

2.1. 특기부문 (특기군)

첫 두 자리(AB)는 특기부문(특기군), 즉 직능별로 구분된 직무의 직군을 의미한다. #

특기체계 제정 당시 병과가 비슷한 특기끼리 묶어 특기부호가 부여되었으므로 첫 자리인 A를 보고 대략적으로 어떤 병과에 속하는지 알 수 있다.
특기번호 첫째 자리 대략적인 구분
1 전투
2 구조, 안전, 기상
3 정보통신
4 군수
5 공병
6 재정
7 인사교육, 정훈
8 정보, 군사경찰
9 특수

예를 들어 1이 붙으면 전투병과이며, 세부 구분으로 14XX라면 조종, 16XX는 운항관제, 17XX는 항공통제, 18XX은 방공포병이다. 이와 같이, 30XX라면 정보통신, 67XX이라면 재정, 80XX라면 (항공)정보, 81XX라면 군사경찰이다.

다만 현재 공군에서는 특기부문(특기군) 개념을 사용하면서 앞의 두 자리를 모두 묶어서 표현하지, 공식적으로는 첫째 자리만을 갖고 병과를 구분하지는 않는다.

병과가 아닌 특기부문(특기군) 개념을 사용하는 것은, 특기 통폐합으로 인해 한 병과의 특기가 너무 세분화되어 있어 그런 것도 있고, 같은 병과임에도 생뚱맞은 특기부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1].

예를 들어 2로 시작하는 구조, 안전, 기상 특기는 특기 통폐합의 결과로, 원래 2번의 의미는 항공작전과 가장 밀접한 특기였다. 하지만, 특기 통폐합 과정에서 항공안전 장교 특기가 폐지되면서 항공안전 병과가 아예 사라져 준부사관 안전 특기가 군수 병과로 흡수되고, 또 항공구조 특기의 경우는 의무 병과로 흡수되었다. 이처럼 같은 병과인데 앞자리가 달라지는 사례가 발생하는 등, 당초 특기 체계 설정 당시의 취지가 퇴색되어 결국 2번특기는 현재의 관점에서는 중구난방이 되어있는 현실이다.

2.2. 특기부목

셋째자리(C)는 특기부목이다. 특기부목은 한 특기부문(특기군) 내에서 기능적으로 독립구분 가능한 직무를 의미한다. #

그러나 장교의 경우 대부분 AB단계까지만 특기가 구분되어 있어, C가 0일 경우에는 장교, 1~9를 가지고 있다면 부사관이나 병이다. 다만 조종장교의 경우 일정 계급 이상 올라가면 ‘기능(직능)특기’가 부여되기 때문에 장교라고 전부 0이 들어가는 것은 아니다[2].

예를 들어 460X을 가진다면 보급수송 특기의 장교이며, 461X라면 보급부사관, 462X라면 운수부사관, 463X는 차량부사관을 의미한다. 실제로도 460X의 장교들은 461X, 462X, 463X의 부사관이 소속된 중대나 대대의 지휘관을 역임한다.

2.3. 숙련도

넷째자리(D)는 숙련도를 나타낸다. 숙련도라고 표현하지만 실무상 계급에 상응하는 특기 등급이 부여된다. 진급하면 특기 등급이 바뀌고 그에 따른 특기 명칭과 부호도 변경된다.
신분 특기 등급 계급
1 (견습) 이병~병장
부사관 3 (기수) 하사
4 (기사) 중사~원사
준사관 5 (감독관) 준위
장교 6 (초급장교) 소위~중위
7 (장교) 대위~소령
8 (참모장교) 중령
9 (지휘참모장교) 대령

2는 과거 병의 군생활이 36개월이던 시절에 사용했으나, 군복무기간이 단축되면서 1로 통합되었다. 그리고 2 같은 경우에는 상병에서 병장급한테 주었으며 숙련도는 "조수"였다.

2.4. 특기세목

다섯번째 자리(E)는 특기세목이다. 특기세목의 경우 병사에게만 부여하며, 별도의 특기세목이 없을 경우 0을 준다. 따라서 병사는 무조건 5자리의 특기를 가진다.

2.5. 접미어

4~5자리 숫자로 구성된 특기번호 이후에도 접미어를 통해 세부적인 자격을 표시한다. 대표적으로 전투기(전방석) 조종사는 F, 후방석은 W가 붙는다. 영어 어학장교/병의 경우 어(E)가 붙고, 비조종 특기 중 공중근무자의 경우 이 붙는다. 그 외에도 개발시험비행조종사, 연합·합동전문인력, 우주전문인력,국방전문인력,예비인력 등에게도 접미어가 부여된다. 여러 개에 해당하는 경우, 인사자력상 중복되어 기재된다.

특기번호ABCDE접미어특기명[3]
1418C14(조종)1(조종-정보·작전)[4]8(참모장교) C(수송기)조종참모장교(수송기,정보·작전)[5]
1407F14(조종)0(조종-미분류)[6]7(장교) F(전투기)조종장교(전투기)[7]
7006어(E)70(인사교육)0(인사교육)6(초급장교) 어(E)(어학,영어)인사교육초급장교(어학,영어)[8]
2015공20(항공구조)1(항공구조)5(감독관) 공(공중근무자)항공구조감독관(공중근무자)[9]
558355(공병)8(화생방)3(기수) 화생방기수[10]
4611246(군수-보급수송)1(보급)1(견습)2(조리) 조리견습

3. 기본병과

3.1. 조종

파일:특기_조종.png[11]

3.2. 항공통제

파일:특기_항공통제.png[14]

3.2.1. 운항관제

3.2.2. 항공통제

3.3. 방공포병

파일:특기_방공포병.png[16][17]

3.4. 정보

파일:특기_정보.png[19]

3.5. 군수

파일:특기_군수.png[21]
항공무기정비·보급수송 병과는 2013년 1월 1일 군수 병과로 통합되었다.참조

3.5.1. 항공무기정비

3.5.2. 보급수송

3.5.3. 안전

파일:특기_항공안전.png[30]
  • 241X 항공안전

1995년 이전까지 항공안전 장교도 있었으나 특기 개편 과정에서 폐지되어 현재는 준사관 및 부사관만 부여받는다.

3.6. 정보통신

파일:특기_정보통신.png[31]

3.7. 기상

파일:특기_기상.png[45][46]

3.8. 공병

파일:특기_공병.png[48]

3.9. 재정

파일:특기_재정.png[53]
  • 670X 재정
    • 671X 재정
      • 67110 재정

3.10. 정훈

3.10.1. 정훈

파일:특기_정훈.png[54]
정훈병의 경우 특별전형으로만 뽑는다. 이들은 독립된 특기를 구성하기에는 인원이 부족하여 인사교육, 사이버체계운용, 항공전자장비정비[55] 특기 중 하나를 서류상으로 부여한 후, 해당 특기의 병사들과는 별도로 인사관리한다. 임기제부사관으로 임관시 정훈 특기를 부여받는다.

3.10.2. 군악/의장

파일:특기_군악.png[56]
파일:특기_의장1.png[57]
군악 및 의장 특기의 경우, 정훈 병과에 소속되어 있다. 군악 특기의 경우 준사관까지만 존재하고, 의장특기는 오로지 병사만 존재한다. 따라서 군악대 및 의장대의 경우 정훈 장교가 지휘관에 보직한다. 단, 의장 특기에서 임기제부사관을 지원하는 경우 인사교육 특기로 전환하여 임관하게 된다.

3.11. 군사경찰

파일:특기_군사경찰.png[58]
  • 810X 군사경찰
    • 811X 군사경찰
      • 81110 군사경찰
    • 81210 경장갑차운전[59]

3.12. 인사교육

파일:특기_인사교육.png[60]

4. 특수병과

4.1. 의무

4.1.1. 의무

파일:특기_의무.png[63]

4.1.2. 구조

파일:특기_항공구조.png[67]
준, 부사관만 부여받을 수 있는 특기이다.

4.2. 법무

파일:특기_법무.png[68]
법무실 병사는 군사경찰, 인사교육 특기에서 보임한다[69].

4.3. 군종

파일:특기_목사.png 파일:특기_신부.png 파일:특기_법사.png[70]정식으로 편제된 군종병은 ‘인사교육’ 특기를 받고 자대에 배치된다. 1982~1987년 및 1994~2004년에는 현재 육군처럼 군종부사관도 존재[72]하였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 추후 병력 감축에 따른 간부 비율 확대 차원에서 장기적으로 군종병 폐지 및 군종부사관 신설이 논의되고 있다.

5. 과거 병과

참조
80년대로 추정되는 과거 특기마크가 그려진 부사관 전용 재떨이

현재 공군의 특기마크는 1968년 5월 미국의 영향을 받아 10개의 휘장이 첫 제정되었다.
그러다 1975년 전특기로 확대 및 사병 휘장이 추가되었다.[73] 1979년엔 흉장만 있었던 조종 특기도 휘장이 추가되었다. 그리고 1981년 화생방, 1988년 방공포병, 1993년엔 간호 병과가 신설되었다.

파일:통폐합이전_특기마크.jpg

1996년, 중구난방으로 많았던 병과 및 특기들을 대규모 통폐합하였다. 통폐합되면서 특기마크 또한 새로 개편되었고, 장교/사병 신분 구분도 폐지하였다. [74]
파일:과거공군특기마크.jpg
2013년에는 보급수송 병과와 항공무기정비 병과가 군수로 병과로 통합되었고, 2016년에 인사행정과 교육 병과는 인사교육으로,
군의,치의,수의,의무행정,간호로 나뉘어져있던 특기들도 모두 의무로 통합되면서 현재에 이른다.



[1] 다만 특기 체계 정립 당시에는 특기부문의 부호가 병과부호와 동일한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후 병과의 수를 줄이다보니 병과와 특기부문 부호가 달라지게 되는 경우가 생긴 것.[2] 현재는 550X로 통합된 공병 장교의 경우, 몇 년 전까지 공병 병과 내에 공병장교(당시 시설특기, 551X)와 화생방장교 특기(552X)가 별도로 있던게 그 사례이다. 다만 이것도 초급장교 시절에만 특기가 분리되어 있었고, 진급하면 특기가 통합되어 운영되었던 것으로 보인다.[3] 복무확인서나 전역증명서 등 문서상에 기록되는 공식적인 특기 풀네임이다.[4] 하술할 조종 특기의 기능특기(직능) 각주 참조.[5] 중령 계급의 정보·작전 직능 수송기 조종사이다.[6] 아직 기능특기를 분류받지 않은 경우.[7] 대위~소령급의 전투기 전방석 조종사이다.[8] 소위~중위급의 인사교육 특기 영어 어학장교이다.[9] SART 준위이다.[10] 화생방 특기 하사이다.[11] 대한민국 영공수호를 뜻하는 조종사를 상징. 프로펠러는 항공기를, 무궁화는 국가를 상징[기능특기] 세 번째 자리에 들어간다. 조종장교 전문화 인사관리 제도에 따라 소령(임관 15~16년차) 때 ‘정보·작전(1)’, ‘정책·전략(2)’, ‘전력(3)’, ‘인사·조직(4)’, ‘조종전문(5)’ 중 하나의 기능(전문) 특기를 부여 받고 그에 따른 숫자가 들어간다. 아직 기능특기를 부여받지 않은 대위 이하 조종장교의 경우 경우 0이 들어간다.[조종장교] 각자의 주 기종에 따른 알파벳 접미어가 달려있다. F(전투기 전방석), W(전투기 후방석), O(전선통제기), C(수송기), R(수송기 동승), H(헬리콥터), T(전술항공), U(무인항공기)가 있다.[14] 원형은 레이더, 삼각형은 항공기의 항로 및 요격 유도를 상징[15] 준사관이 되면 1615 운항관제 특기로 바뀐다.[16] 독수리는 공군,호크모형은 유도무기가 대한민국 영공을 교차방호함을,화살은 창공을 향한 힘찬 기상 및 명중을 상징[17] 파일:공군_방공포마크_과거.jpg 1991년 변경 전 디자인[18] 과거에는 181X 단거리유도무기운용과 182X 중거리유도무기운용이 따로 있었으나 통합되었다. 병사 특기코드에 남은 것이 그 흔적이다.[19] 낙하산은 음양(주야) 정보활동을, 날개형은 V자로 승리를, 봉화는 획기적인 성과를 획득한다는 활동을 상징[20] 특수정보는 국방정보본부(+예하 정보사령부, 777사령부)같은 무시무시한 곳들 위주로 가는 곳이라 생각하면 된다. 참고로 국군방첩사령부는 정보특기가 아니라 전 특기에서 갈 수 있다. '병 특기 통폐합 연구'(월간공군 제231호)에 따르면 1995년 당시에는 특수정보 특기와 유사하게 기무사령부에서만 근무하는 방첩(811X2) 병사 특기도 존재하였으나, 특수정보와 달리 준-부사관에는 별도로 방첩 특기가 없고, 기무사 내에도 여타 특기들이 근무하며 행정 보조 업무에 그친다는 점에서 총무(현 인사교육) 특기로 통폐합되었다.[21] 한글 '군'과 '수'를 표현[22] 1995년 탑재통신정비(321X0), 관성항법장비정비(321X0관), 화력제어정비(322X0), 전자비행훈련장비정비(323X0), 자동조종정비(326X0) 특기를 통폐합하여 만들어졌다. #[23] 전문하사 임관 시 유압반은 4083, 전기반은 4103으로 특기부여한다.[24] 장구반 인원은 따로 항공기기체정비 특기에서 선발한다. 장구반 병사가 전문하사를 임관하면 4153으로 특기부여한다.[25] 1995년 항공기기계공작(531X0), 항공기용접(531X1), 항공기판금(531X2), 항공기방부처리(531X3) 특기를 통폐합하여 만들어졌다. #[26] NDI반은 전문하사 임관 시 4193으로 특기부여한다.[27] 전문하사 임관시 4213, 4223, 4233 중 선택가능하나, 단기전환을 생각하지 않는다면 별 의미 없다. 6개월이나 1년만 한다면 사실상 행정병이나 당직담당, 선탑담당이 된다.[28] 1995년 항공지원차랑운전(603X1), 항공기구조장비운전(571X1), 경장갑차승무(611X0장) 특기를 통폐합하여 만들어졌다. #[29] 1995년 차량정비(603X2), 항공지원차량정비(603X3) 특기를 통폐합하여 만들어졌다. #[30] 프로펠러는 항공기 톱니는 각종 장비의 정비를,십자는 안전의 표시로 공지일체의 안전관리를 상징[31] 인공위성(과학의 발전),봉화(전통적 통신수단),유도탄(방공포병),전체적으로는 완벽한 영공방위를 상징[보호] 정보보호 특별 전형으로 뽑힌 장교는 접미어 '정보보호', 부사관/병의 경우 접미어 '사이버'가 붙는다.[33] 2024년 사이버·정보체계운용(300X)와 보안체계관리(301X)를 통폐합하여 만들어졌다.[보안] 구 보안체계관리 특기는 특기번호에 '보' 접미어가 붙는다.[보호] [36] 2024년 정보체계관리(30010) 및 보안체계관리(30110) 특기를 통폐합하여 만들어졌다.[보안] [보호] [39] 2024년 지상레이다체계정비(302X), 무선통신체계정비(306X), 전술항공통신체계정비(307X) 특기를 통폐합하여 만들어졌다.[전] 구 전술항공통신체계정비 특기는 특기번호에 '전' 접미어가 붙는다.[41] 2024년 지상레이다체계정비(30210), 무선통신체계정비(30410) 중 소위 'B~F반', 그리고 전술항공통신체계정비(30710) 특기를 통폐합하여 만들어졌다.[전] [43] 2024년 광역전송체계정비(304X), 유선통신체계정비(308X), 사이버·정보체계운용(300X) 중 전산장비정비 분야 보직을 통폐합하여 만들어졌다.[44] 2024년 무선통신체계정비(30410) 중 소위 'A·G반'과 유선통신체계정비(30810), 그리고 정보체계관리(30010) 중 전산장비정비 분야 보직을 통폐합하여 만들어졌다.[45] 중앙의 S 형(태풍기호),주위의 원형(눈의 결정체),화살표(우주)로 기상의 특수성을 상징[46] 파일:공군_기상마크_과거.jpg 70년대 디자인[47] 1995년 이전에는 병사도 항공기상장비정비(254X0) 특기가 존재하였으나 당시 전자계산정비 특기와 동일기술, 기초지식이 요구되고 장비가 유사하다는 이유에서 통폐합되어 전산장비정비 특기가 되었다. 이 특기가 다시 통폐합되어 현재는 정보체계관리 특기 병사가 기상대 정비반에 보임한다. #[48] 성곽은 건설을, 삼각대는 정밀시공(정밀성 안전성 신뢰성)을, 3개의 육각형은 화학을, 활주로는 진취적 기상을, 전체적 의미는 정밀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진취적이고 헌신적인 시설지원을 상징[49] 1995년 비행장시설정비(551X0), 측량(551X2) 특기를 통폐합하여 토목(551X0) 특기가 만들어졌고, 같은 시기 건축공(552X0), 도장공(552X1) 특기를 통폐합해 탄생한 건축(552X0) 특기를 이후에 다시 통폐합하여 현재의 토목건축 특기가 되었다. #[50] 1995년 당시 기지급유장치(563X0), 연공(563X1), 항공공조장치(563X2) 특기를 통폐합하여 항공설비 특기가 만들어졌다. #[51] 전문하사 임관시 556X 소방구조로 특기부여된다.[52] 전문하사 임관시 555X 기계설비로 특기부여된다.[53] 타원형은 현대 관리기능인 통제, 조정지시 및 조직계획을, 전체로는 옛날 동전으로 관리의 업무를 상징[54] X는 마이크와 펜으로 정훈활동을 뜻하며 봉화는 정훈의 사명감을 상징[55] 과거엔 40710 전자광학장비정비 특기를 받았으나, 현재는 항공전자장비정비 특기에 통합되었다.[56] 전통적 악기를 표현하여 사기양양을 위한 연주를 상징[57] 프로펠러는 공군을 뜻하며 4개의 별은 공군과 군의 최고지휘관을 대표한 엄숙한 의식참여를 상징[58] 별과 공군은 대한공군을, 권총은 기지 경계 및 질서유지를 상징[59] 임기제부사관(전문하사) 지원 시 811X(군사경찰) 또는 463X(수송운영)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60] 70부호의 6와 사람 인(人)을 표현하여 정확 공정 신속의 체계적 관리능률 향상을,무궁화는 국화로서 대한민국의 번영을 위한 역군(봉화)을 육성 및 배양함을 상징[경력형] 사전에 선발된 군종병의 경우 특기번호에 '경력형' 접미어가 붙는다. 일반 인사교육 병 중에서 군종병 보직에 보임하는 경우에는 붙지 않는다.[62] 1995년 방첩(811X2) 특기를 흡수하였다. 그래서인지 공군기본군사훈련단에서 관련 인원으로 선발되면 현재도 인사교육 특기를 부여 받는다.[63] 뱀은 세계적의학의 특수성 표현이며, 중앙은 공군과 지팡이를 뜻하고 권위와 능률을 상징[의무장교] 접미어는 군의관의 경우 외과,피부과 등 전문과로 표시된다. 수의사관은 '수의', 간호장교는 '간호'로 표시되며, 그외엔 모두 '의무행정'으로 표시된다.[의무부사관] 임상병리사,치과위생사,방사선사,간호사 등의 면허가 있는 경우 접미어가 표시된다. 면허가 없으면 아무것도 붙지 않는다.[66] 1995년 이전에는 육군과 마찬가지로 세분화된 특기구분이 존재하였다. 903X0(방사선), 904X0(임상실험실), 905X0(약제 및 의료장비정비), 981X0(치과). #.[67] 낙하산과 지구는 공지하처를 불문하고 구조(해마)를 뜻하며 신속하고 정확한 해상구조 활동을 상징[68] 원은 법전,칼은 법의 집행, 저울 및 봉화는 광명과 공정성을, 월계수는 평화. 준법정신의 함양을 상징[69] 통상적으로 정식 편제는 인사교육이고, 군사경찰 특기의 경우에는 소속은 군사경찰대대에 두고 영구파견으로 근무하는 경우가 많다.[70] 기독교는 십자가, 천주교는 월계수 및 십자가, 불교는 삼보팔정도로 표현[군종장교] 기독교는 목사,천주교는 신부,불교는 법사로 접미어를 표시한다.[72] 공군교회 70년사(2022) 60~61쪽.[73] 당시 장교랑 부사관/병의 휘장은 마크 위에 독수리가 있는지에 따라 신분이 구분되었다.[74] 통신전자+전자계산(위 블로그에는 방공포정비라고 나와있으나, 정황상 전자계산으로 추정)->정보통신 / 무장+비행정비->항공무기정비 / 보급+수송-> 보급수송 / 항공시설+화생방->공병 / 보안 병과 폐지, 안전장교 폐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5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55 (이전 역사)
문서의 r8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