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19:52:27

해적: 바다로 간 산적

해적(영화)에서 넘어옴
역대 파일:bluedragonfilmawards_logo.png
파일:bluedragonawards3.png
기술상
제34회
(2013년)
제35회
(2014년)
제36회
(2015년)
미스터 고 해적: 바다로 간 산적 암살
파일:해적 시리즈 로고.png 시리즈
<keepall>
[[해적: 바다로 간 산적|
파일:해적: 바다로 간 산적 가로 로고.png

The Pirates]]
(2014)
<keepall>
[[해적: 도깨비 깃발|
파일:해적: 도깨비 깃발 로고.png

The Pirates : The Last Royal Treasure]]
(2022)
<colbgcolor=#253e45><colcolor=#ffffff> 해적: 바다로 간 산적 (2014)
The Pirates
파일:영화_해적_바다로 간 산적.jpg
북미 포스터 ▼
파일:해적: 바다로 간 산적 북미 포스터.jpg
장르 사극, 액션, 어드벤처, 코미디
감독 이석훈
각본 천성일, 최이영
기획 임영호, 천성일
제작
촬영 김영호
편집 이진
조명 황순욱
시각효과 강종익
동시녹음 임동석
음향 임동석, 신이나, 박용기
미술 김지아
분장 허정임
소품 유청
특수효과 홍장표
음악 황상준
사운드 이승엽
의상 권유진, 임승희
무술 고현웅
출연 김남길, 손예진, 유해진
제작사 하리마오픽쳐스, 유한회사 해적문화산업전문회사
배급사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롯데엔터테인먼트

[[미국|]][[틀:국기|]][[틀:국기|]] Well Go USA
촬영 기간 2013년 8월 15일 ~ 2014년 1월 9일
개봉일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2014년 8월 6일

[[미국|]][[틀:국기|]][[틀:국기|]] 2014년 9월 5일

[[필리핀|]][[틀:국기|]][[틀:국기|]] 2014년 10월 22일
화면비 2.35:1
상영 타입 필름 | 파일:영화 2D 로고.png파일:영화 2D 로고 화이트.png | 파일:4DX 로고 (3).svg파일:4DX 로고 화이트.svg
상영 시간 129분 (2시간 9분 37초)
제작비 150억 원[1]
손익분기점 485만 명
월드 박스오피스 $64,858,224 (최종 기준)
북미 박스오피스 $415,775
대한민국 총 관객 수 8,666,208명 (최종 기준)
스트리밍
[[넷플릭스|
NETFLIX
]]
,
| | | |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2세이상_초기.svg 12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개봉 전 반응
2.1.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와의 유사성2.2. 영화 명량과의 대결
3. 예고편4. 시놉시스5. 등장인물
5.1. 주요 인물
5.1.1. 장사정5.1.2. 여월
5.2. 산적단
5.2.1. 철봉5.2.2. 스님5.2.3. 춘섭5.2.4. 산만이
5.3. 해적단
5.3.1. 소마5.3.2. 용갑5.3.3. 흑묘5.3.4. 참복
5.4. 그 외 인물
5.4.1. 한상질5.4.2. 모흥갑5.4.3. 박모5.4.4. 기타
6. 사운드트랙7. 평가
7.1. 인물평
8. 흥행9. 탐구10. 수상11. 기타

[clearfix]

1. 개요

조선을 뒤흔든 최강 도적들의 대격전
조선 건국 보름 전 고래의 습격을 받아 국새가 사라진 전대미문의 사건을 둘러싸고 이를 찾는 해적과 산적, 그리고 조선 개국 세력이 벌이는 바다 위 통쾌한 대격전을 그린 액션 어드벤처
영화 〈댄싱퀸〉을 연출한 이석훈 감독의 해양 어드벤처 액션 한국 영화. 비슷한 시기에 개봉한 〈명량〉, 〈군도: 민란의 시대〉, 〈해무〉와 흥행 대결을 펼쳤고 〈명량〉의 압도적인 흥행 속에 다음가는 수준의 흥행을 거두어 선전하였다.

2022년 1월 26일에 속편 〈해적: 도깨비 깃발〉이 개봉하였다.

2. 개봉 전 반응

대놓고 여름철을 노린듯한 시놉시스 및 영화 구성으로 볼 때, 킬링타임용 영화로서 갖춰야 할 시원한 액션 및 화려한 CG로 인한 볼거리 등을 잘 버무린다면 화려한 캐스팅에 힘입어 좋은 결과를 예상할 수 있다.

화려한 캐스팅을 하고서도 이도 저도 아닌 시나리오와 어설픈 CG로 큰 실패를 겪었던 〈조선미녀삼총사〉의 전철을 밟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제법 있는 편이다. 공교롭게도 두 영화 모두 보물을 찾는 설정이고, 여전사 캐릭터를 전면에 내세웠다는 점, 장르도 액션 활극으로 동일한 점, 클라이맥스 장면이 모두 바다에서 이뤄진다는 점까지 놀랍도록 비슷한 부분이 많아서인지 불안해하는 팬들도 존재한다.

또 전통적으로 여름은 우리나라 극장가 최고 성수기 중 하나로, 대작 영화들이 앞다퉈 개봉하는 시즌이다. 2014년 7월~8월만 하더라도 〈해적〉 외에 〈명량〉, 〈군도: 민란의 시대〉 등 대규모 제작비를 들인 한국 영화가 개봉 예정이고, 〈혹성탈출: 반격의 서막〉을 비롯한 할리우드 영화도 상당수 개봉을 앞두고 있다. 특히 〈명량〉과 〈해적〉은 바다를 주제로 한 영화여서 여름에 가장 적합한 영화로 기대를 받고 있지만, 이들 영화가 한참 후반작업에 몰두할 시기인 2014년 4월에 세월호 사건이 터지면서 그 여파가 흥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도 다소 존재하는 상황이다. 경쟁작인 〈명량〉의 경우 부제였던 '회오리 바다'를 빼고 단순하게 '명량'으로 제목을 변경했을 정도로 세월호 사건의 여파가 아예 없다고 할 수는 없는 상황에서 과연 얼마나 흥행할 수 있을지는 지켜볼 일이다.

다만 2014년 8월 시점에서 세월호 사건의 여파는 거의 가라앉은 상태이기 때문에 흥행에 부정적인 영향은 거의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

2014년 7월 25일, 주요 출연진 중 한 명인 설리의 활동 중단이 갑작스럽게 발표되었다.

2.1.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와의 유사성

영화의 장르적 특성과 시놉시스의 내용상, 할리우드 대작인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와 비교되는 부분이 많다. 시사회에서도 둘이 어떤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이 나왔을 정도. 물론 엄청난 자본력의 할리우드 영화와 비교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한 일이긴 하나, 아무래도 한국에서 해적을 소재로 작품은 〈해적: 바다로 간 산적〉이 처음이기 때문에 자연스레 비교가 될 수밖에 없는 것이 사실이다. 두 작품 모두 바다를 주제로 한 액션 활극이라는 점이 비슷하지만 내용은 전혀 다르며, 〈해적〉은 조선 건국 초기, 고려의 국새를 반납한 후 새로운 국새를 받지 못해 1401년 5월까지 10여 년 동안 국새가 없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영화로,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보다 한국인의 정서에 더 잘 맞는 스토리가 전개된다.

2.2. 영화 명량과의 대결

개봉 시기도 비슷하고, 둘 다 바다를 주제로 한 영화이다. 또한 두 영화 모두 우리나라의 거대 배급사인 CJ엔터테인먼트롯데엔터테인먼트의 여름철 성수기를 노린 대형 영화들인지라 정면충돌이 불가피해 보인다. 물론 최적의 시나리오는 두 작품 모두 잘 나와 쌍끌이로 흥행을 하는 상황이겠으나, 개봉 초기에는 아무래도 CGV와 롯데시네마를 앞세워 각 제작사에서 상영관 몰아주기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3년에도 비슷한 상황이 존재했었는데, 제작 규모 면에서 압도적이었던 〈설국열차〉와 저예산 영화인 〈더 테러 라이브〉가 거의 같은 시기에 개봉했었고, 결과는 두 영화 모두 흥행에 성공하였다. 즉, 관객들의 입맛에 맞는 수준급의 시나리오와 연기, CG를 조합한다면 두 영화 모두 좋은 결과를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더 테러 라이브〉는 저예산인데 비해 〈해적: 바다로 간 산적〉은 상당한 자본이 투입되었다는 점에서 결정적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영화가 흥행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더 테러 라이브〉보다 훨씬 더 높은 수익을 거두어야 한다.

3. 예고편

1차 예고편
메인 예고편
오프닝 시퀀스 5분 영상

4. 시놉시스

전 국민을 시원하게 웃겨줄 액션 어드벤처!
조선을 뒤흔든 최강 도적들의 대격전!

조선의 국새를 고래가 삼켜버렸다?!

전대미문 국새 강탈 사건으로 조정은 혼란에 빠지고,
이를 찾기 위해 조선의 난다 긴다 하는 무리들이 바다로 모여든다!

바다를 호령하다 졸지에 국새 도둑으로 몰린 위기의 해적
고래는커녕 바다도 처음이지만 의기양양 고래사냥에 나선 산적
건국을 코앞에 두고 발등에 불이 떨어진 개국 세력까지!

국새를 차지하는 자, 천하를 얻을 것이다!

5.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5.1. 주요 인물

5.1.1. 장사정

파일:26221650538FE83624.jpg
장사정 (김남길 扮)
바다가 넓다 한들, 내 배포만 하겠느냐!
본편의 남주인공이자 바다로 간 산적. 산적단의 우두머리이다. 원래는 고려의 하급 군관이었으나,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반기를 들어 군을 이탈한 뒤 산적이 된다. 이탈 당시 자신을 감싸던 동생을 끔살한 상관이자 의형제 모흥갑과의 대결에서 모흥갑에게 치명상을 입혔고, 그가 죽은 줄 알고 있었으나 이후 모종의 사건으로 다시 마주치게 된다. 산적 두목으로 나름 활약하였는지 '송악산 미친 호랑이'라는 별명까지 얻었지만 실제로는 먹고살기도 빠듯한 듯. 우연히 고래가 국새를 삼켰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해적단에서 넘어온 서열 2위 철봉이를 앞세워 무작정 바다로 떠난다. 평소에는 능글맞고 유들유들한 성격이라 소마에게 사로잡히자 자존심이고 뭐고 다 내려놓고 살려달라고 빌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뛰어난 검술, 강한 힘과 강단 있는 성격의 소유자이다. 고래를 잡기 위해 화약을 구하러 갔다가 해적단의 대단주 여월과 범상치 않은 만남을 갖게 되고, 이후로도 고래와 국새를 놓고 아웅다웅하게 된다.

산적들과 함께 백성들이 가지고 있는 물품을 약탈할 계획을 세우게 되었으나 지나가는 군사들을 보고는 허당을 치고 산적들과 함께 줄행랑을 치거나 바다에 가서 고래를 잡으려고 하거나 상어로 인해 대판 소동을 벌이기도 하는 등 허당스러운 면을 여전히 보여주고, 소마와 여월의 해적단이 대치하는 와중에 그 사이를 유유히 지나가면서 인사하는 등 능글능글한 면도 여전하다. 하지만 결국 소마와의 싸움에 휘말려 여월과 함께 무인도에 표류하게 될 때 산적일 때 얻은 약초에 대한 지식으로 여월을 살려내기도 하고 여러 고생을 한 끝에 부하들과 다시 만나고, 여월에게 함께 산으로 갈 것을 제안하지만 쿨하게 거부당하고 육지로 돌아온다. 하지만 모흥갑의 관군이 멀쩡한 마을을 해적 소굴로 몰아 몰살시킨 끔찍한 현장을 목도하고 결국 폭발, 다시 철봉이를 앞세워 바다로 향한다. 최종전에서 모흥갑과의 일기토 끝에 승리를 거두고 여월과 함께 해적단을 이끌게 된다.

5.1.2. 여월

파일:21221650538FE83B28.jpg
여월 (손예진 扮) (아역: 이도연 扮)
조선 바다를 호령하는 나를 좀도둑이라 하다니!
본편의 여주인공이자 해적단 대단주. 해적 출신인 아버지와 해녀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나, 아버지가 해적이라는 이유로 어머니가 군관에게 살해당한 다음 해적이 된 듯하다. 원래는 소마 휘하의 소단주였으나, 소마가 조정관리와 결탁하여 부하 해적들을 팔아넘기려 하자 쿠데타를 일으켜 소마를 축출하고, 스스로 대단주가 된다. 축출 당시 소마가 바다에 빠져 죽었다고 생각했으나[2], 소마는 어깨에 부상을 입은 상태에서도 끈질기게 살아나 여월에게 복수심을 불태운다. 조정의 특명을 받아 일선에 복귀한 모흥갑으로부터 가족들을 죽이고 마을을 불태우겠다는 협박을 받아 국새를 삼킨 고래를 추적하게 된다. 고래를 잡기 위해 벽란도에 화약을 구하러 갔다가 유들유들한 산적 두목 장사정과 만나게 되고, 고래와 국새를 쫓으면서 사사건건 부딪힌다.

여담으로 국새를 삼킨 고래와는 남다른 인연이 있다. 어린 시절에 그물에 걸려 부상을 입은 새끼 고래를 구해준 적이 있었는데, 그 새끼 고래가 작중에서 국새를 삼킨 거대한 고래이다. 여월의 등장 초반부에 금불상 하나가 바다에 빠졌는데 이 때 여월이 금불상을 찾으려고 바다에 뛰어들었다가 어미 고래가 된 이 고래랑 재회하게 되고 그물에 걸릴 때 남았던 흉터를 보고 자기가 구해준 고래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뒷사연이 있었다. 그래서 나중에 고래를 발견하였을 때에 차마 고래를 공격할 수가 없었고 망설이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후 소마에게 배가 습격당하고 장사정과 함께 바다에 빠지나, 고래의 도움으로 무인도에 간신히 표류하여 살아남고 승려에게 가까스로 구출받아 소마와 최종 결전에 돌입, 승리를 거두고 장사정과 함께 해적단을 이끌게 된다.

5.2. 산적단

파일:해적: 바다로 간 산적 산적단 인물관계도.jpg
산적단 인물관계도

5.2.1. 철봉

파일:21221650538FE83F2B.jpg
철봉 (유해진 扮)
음, 파~ 음, 파~ 이것만 기억하면 되는겨. 등신마냥 파, 음~ 하면 뒈지는겨.
이 영화의 신 스틸러. 장사정이 바다에 간 산적이라면, 철봉은 산으로 간 해적이다. 본래 여월 휘하 해적이었으나, 해적 생활 10년 동안 고쳐지지 않은 뱃멀미에 생선이 입에 안 맞아서 이직을 심각하게 고려하던 중 해적들을 팔아넘기려는 소마의 계략을 알고서는 혼자서 나룻배를 타고 육지로 달아나 장사정의 산적단에 합류한다. 산적단에서는 가입 시기가 제일 늦어 막내가 되는 바람에 온갖 서러운 일을 다 당하나, 산적단 중에서 유일하게 바다를 알고 있었던 덕에 일약 서열 2위가 된다. 온갖 슬랩스틱 코미디를 선보이며 영화의 전반적인 개그를 담당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서열이 자꾸 2위와 막내를 왔다 갔다 한다든가(...).

5.2.2. 스님

파일:23221650538FE83826.jpg
스님 (박철민 扮)
장사정이 이끄는 산적단에 서열 3위에 속한 육식을 즐기며 술도 좋아하는 땡중.[3] 그래도 근본이 승려라 그런지 피 튀기는 싸움은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것 같고, 산적단에서는 망을 보는 등 보조 역할을 하는 듯하다. 이후 의외의 활약을 펼쳐 무인도에 고립된 장사정과 여월을 구출하기도 한다. 철봉만큼은 아니어도 이 영화의 개그를 담당한다. 소마 해적단과의 싸움에서 "제발 싸우지 마시오"라고 애원하며 적을 방심하게 해놓고 목탁으로 제압한다든가(...).

5.2.3. 춘섭

파일:해적: 바다로 간 산적 춘섭.jpg
춘섭 (김원해 扮)
장사정이 이끄는 산적단의 서열 2위. 매사에 투덜대는 성격에 심심하면 두목인 장사정에게 태클을 건다. 철봉의 실수로 조정의 군사들을 털려다가 산적단 전체가 와해될 뻔하자 깔끔하게 각자 갈 길 가자며 떠나려고 했으나, 국새를 찾으면 일확천금을 얻을 수 있다는 장사정의 말에 낚여 결국 바다로 가게 된다. 바다로 나가면서 철봉이가 졸지에 서열 2위가 되자 어이없어하지만, 배나 바다에 관하여 아는 것이 하나도 없어 데꿀멍한다. 이후 모흥갑의 군사들에게 붙잡히자 해적단 서열 2위 용갑을 '해적 찌끄래기'라고 디스하지만, 정작 용갑이 죽을 위기에 처하자 직접 몸을 날려 구해준다. 싸우면서 정이라도 든 모양.

5.2.4. 산만이

파일:22221650538FE8452E.jpg
산만이 (조달환 扮)
장사정이 이끄는 산적단의 막내. 철봉이가 들어오기 전 산적단의 막내로 힘쎄고 무식한 장사. 철봉이보다 어린 듯하지만 막내라는 이유로 철봉이를 신나게 갈구다가, 바다로 가면서 철봉이가 서열 2위가 되자 역관광을 당한다. 배에 관한 지식만 다 배우면 남몰래 철봉이를 쓱싹 해버릴 생각을 하고 있다가 철봉의 서열이 다시 막내로 내려가자 신나게 철봉을 팬다.

5.3. 해적단

파일:해적: 바다로 간 산적 해적단 인물관계도.jpg
해적단 인물관계도

5.3.1. 소마

파일:23221650538FE8412C.jpg
소마 (이경영 扮)
본작의 최종 보스 1. 여월이 있던 해적단의 대단주. 포악하고, 잔인하며, 부하들을 도구로 생각하는 전형적인 악당 해적. 조정과 결탁하여 일부 해적들을 팔아넘기려 했으나, 여월의 쿠데타로 모든 것을 잃고 스스로 바다에 뛰어든다.

하지만 살아있었고, 이후 모흥갑과 결탁하여 복수도 하고 국새도 찾을 겸해서 여월의 뒤를 쫓게 된다. 바다에 뛰어들고 얼마 지나지 않아 서양 배와 선원들을 모은 것을 보면 진정한 의미의 해적으로서 리더십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엔 여월과의 접전 끝에 패배하고, 배 폭발에 휘말려 죽는다. 그래도 마지막에 여월에게 배가 곧 폭발함을 알려주고 도망치라고 하는 등 나름 인간적인 면도 보인다.[4] 무술 실력이 좋다. 힘을 사용하여 상대를 제압하는 타입으로 도리깨를 능수능란하게 휘두르며 여월을 위협한다. 시종일관 진지한 캐릭터지만 조선 바다에서 가장 빠른 배를 가지고 있다고 자부하다가 상어에게 끌려가는 산적들의 쪽배를 보고 데꿀멍하는 개그씬을 보여준다.방금 뭐가 지나간 거 같은데? 세상에서 이 배가... 가장 빠르다며!

5.3.2. 용갑

파일:24221650538FE83D29.jpg
용갑 (신정근 扮)
여월의 해적단 갑판장. 여월의 최측근이자 실질적인 서열 2위. 여월이 소단주일 당시 해적단과 왜구 500명과 맞짱을 떠서 모두 도륙냈다는 무용담을 즐겨 말한다.[5] 여월에 대한 충성심이 뛰어나서 쿠데타 이전부터 여월의 측근으로 활약하였다. 이후 모흥갑의 군사들에게 붙잡혔을 때 산적단의 실질적인 서열 2위인 춘섭에게 '산적 나부랭이'라고 디스를 시전하는 등 기싸움을 가장한 만담을 시전한다. 이후 소마의 해적단과 모흥갑의 군사들과 싸울 때 죽을 뻔한 걸 춘섭이 구해주자 '나부랭이!!'라고 부르며 감격해한다. 티격태격하면서 기묘한 우정이라도 싹튼 모양.

5.3.3. 흑묘

파일:26221650538FE83A27.jpg
흑묘 (설리 扮)
본편 시점보다 3년 전에 여월이 구해준 노비 출신 여해적. 노비로 조정에 바쳐질 운명이었으나, 여월이 이끄는 해적단에 의해서 구출되었다. 여월은 다른 노비들과 함께 집으로 돌려 보내려고 했으나, 아버지가 자신을 팔아버려 돌아갈 곳이 없다고 하소연하여 결국 해적단의 막내로 가입한다. 자신을 구해준 여월을 무척 존경하며, 처음엔 상당히 내성적이고 조용했으나 3년간 험한 일을 많이 겪었는지 여월에게 쿠데타를 적극 권유하거나 육두문자를 내뱉는 등 성격이 많이 괄괄해졌다. 해적단의 파수꾼인 참복과는 미묘하게 썸타는 관계. 여담으로 외모가 상당히 이쁜 편인지 소마가 관군과 협상하는 때에 여월을 탐내던 관군 장수에게 대신 흑묘를 데려갈 것을 권하기도 하였다.

5.3.4. 참복

파일:26221650538FE8432D.jpg
참복 (이이경 扮)

5.4. 그 외 인물

5.4.1. 한상질

파일:26221650538FE83E2A.jpg
한상질[6] (오달수 扮)
조선의 신하로 명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국호와 국새를 받아오는 중책을 맡고 있었다. 그러나 배를 타고 개경[7]으로 돌아오는 도중 괜히 지나가는 새끼 고래를 공격하는 바람에 빡친 어미 고래의 습격을 받고, 배가 침몰하고 국새마저 고래가 삼켜버려 잃어버린다. 어떻게 보면 본편 스토리 만악의 근원. 이후 이성계의 분노를 피하기 위하여 정도전과 함께 해적의 습격으로 국새를 잃어버린 것으로 꾸민다.

5.4.2. 모흥갑

파일:21221650538FE83725.jpg
모흥갑 (김태우 扮)
본작의 최종 보스 2. 고려의 군관으로,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의 선봉에 설 정도로 나름 능력있고, 출세가 보장된 장수였으나, 직속 부하이자 형제인 장사정이 반기를 드는 바람에 신세를 망친다. 장사정과의 대결에서 눈에 치명상을 입고 쓰러져 감옥에 투옥되었으나, 끈질기게 살아 남아 정도전으로부터 국새를 되찾는 임무를 받고 현장에 복귀한다. 권위적이고, 출세지향적이며, 탐욕스러운 인물로 자신의 보신을 위해서라면 마을 하나를 몰살시키는 일도 마다하지 않는 철면피. 국새를 추적하던 중 우연히 장사정을 만나게 되자 복수심을 불태우며 장사정을 쫓게 된다. 여월에게 해적과 관계된 자는 모조리 죽이겠다고 협박하여 고래를 찾게 만들고, 이후 소마마저 포섭하여 고래를 찾게 만든다.

무술 실력은 작중에서도 상위권. 감옥에서 나온 지 얼마 안 된 몸에도 불구하고 덤벼드는 장사정을 집어던지는 등 장사정도 고전하다가 방패로 겨우 맞상대할 정도다. 마지막 결전에서 장사정을 죽일 기회가 한 번 있었는데 괜히 칼만 부러뜨리는 만용을 저지르다 발에 칼이 박혀 도망도 못 치고 폭발에 휘말려 사망한다.

5.4.3. 박모

파일:223E694A53F8F49A07.jpg
박모 (정성화 扮)
박모(某) 개성의 잡화상. 그의 가게에서는 별의 별 걸 다 판다. 불법 무기, 화약도 취급하여 장사정 패거리에게 폭탄을 판다.

5.4.4. 기타

  • 정도전 (안내상 扮)
    이성계의 측근으로 한상질이 국새를 잃어버리자 영물인 고래가 국새를 삼켰다는 사실을 민중들이 알게 되면 하늘이 조선의 개국을 미워한다고 생각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적의 짓으로 꾸미는 꼼수를 쓴다. 국새를 되찾기 위해 투옥되어 있던 모흥갑을 현장에 복귀시키고, 무슨 일이 있어도 국새를 찾아올 것을 명한다. 어찌보면 이 영화의 진정한 흑막.
  • 이성계 (이대연 扮)
    위화도 회군으로 왕이 된 조선 왕조의 창시자. 명나라로부터 국호와 국새를 받는 일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여, 한상질이 국새를 잃어버리자 15일의 시간을 주며 국새를 되찾아오라고 명을 내린다. 국새를 받고 그 댓가로 명나라 황제에게 공녀 500명과 환관 200명을 바치기 위해서 백성들을 징집하였으나, 장사정에게 따끔한 한 마디를 듣고서는 마음을 고쳐먹게 된다.

    여담으로 즉위하고 몇 년이 지난 시점에서도 무관의 실력이 녹슬지 않았는지, 자고 있는 상태에서 장사정의 기척을 느끼고 일어날 정도다. 그리고 초반에는 장사정이 던진 칼을 바로 허리에 찬 칼집에서 칼을 뽑아 쳐내기도 했다.[8]
  • 황중근 (박해수 扮)
    위화도 회군에 마찰이 생겨 모흥갑이 장사정을 죽이려 칼을 휘두르자 우린 모두 형제라며 막지만 이에 심기가 거슬린 모흥갑의 칼에 죽는다. 그의 죽음으로 인해 장사정과 모흥갑의 악연이 생긴다.
  • 고래
    이 영화의 또다른 신 스틸러. 작중에서는 영물로 불리며 어미 고래와 딸인 새끼 고래가 등장한다. 새끼 고래가 우연히 공격을 받아 화가 난 어미의 몸통 박치기로 한상질이 떨어뜨린 옥새를 삼키면서 해적들과 산적들, 정부의 옥새 수색 작전을 열게 되었다. 이중 등장하는 어미는 여월과 친한 친구로 나오는데 예전에 이 고래가 어린 시절 그물에 걸렸을 때 여월이 구해줬기 때문. 이후 어른이 되어 위기에 처한 여월을 도와준다.

6. 사운드트랙

파일:해적: 바다로 간 산적 가로 로고.png OST
파일:해적: 바다로 간 산적 OST.jpg
음악감독: 황상준
발매일: 2014. 08. 0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트랙 리스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fff> 트랙 곡명 러닝 타임 아티스트 링크
01 <colbgcolor=#f5f5f5,#2d2f34> Crimson Sea
(Feat. 리처드 용재 오닐) 🆃
3:11 황상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2 바다로 간 산적 3:4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3 가자 바다로 2:02 노형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4 모여라 벽란도로 2:29 마상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5 고래와의 재회 0:58 노형우, 황상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6 조선의 깃발 0:58 노형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7 위풍당당 철봉이 1:57 마상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8 어린 여월과 고래 3:35 황상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9 반란의 서막 2:06 마상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벽란도 추격전 4:36 노형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 17차 해적 대전 2:49 황상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 군선 탈취 3:08 마상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 월야해 1:25 노형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 여월과 장사정 2:15 황상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5 소마 2:38 마상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 고래잡이 2:14 황상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 고래가 나타났다 2:29 노형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 밀실 모의 2:59 마상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 모흥갑의 최후 1:13 노형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 해적과 산적의 연합작전 5:29 노형우, 황상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1 누구의 백성이오 1:46 노형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전체 재생목록
}}} }}} }}} ||
[ 앨범 소개 펼치기 · 접기 ]
----
고래가 국새를 삼킨 전대미문의 사건 발생!
전 국민을 시원하게 웃겨줄 액션 어드벤처!
세계적 명성의 클래식 아티스트 Richard Yongjae O'Neill (리처드 용재 오닐)이 참여한 영화 [해적: 바다로 간 산적] OST

영화 [해적: 바다로 간 산적]은 고래가 국새를 삼킨 전대미문의 사건 발생으로 사라진 국새를 둘러싼 조선 최강 도적들의 대격전을 그린 시원하고 유쾌한 영화이다. 생애 최초 고난도 액션에 도전한 손예진과 클래스가 다른 카리스마 눈빛의 소유자 김남길 주연으로 거대 선상에서 펼쳐지는 짜릿한 한판 승부와 충무로를 주름잡는 감초 연기꾼 유해진, 이경영, 오달수, 김태우, 박철민, 설리 등의 출연으로 조선 건국 10년간 국새가 없었다는 역사적 사실과 상상력이 만나 2014년 여름 전 국민을 시원하게 웃겨줄 최강 코믹 액션 어드벤처 작품이 탄생하였다.

조선 건국을 앞두고 장사정(김남길)과 모흥갑(김태우)의 혈전에서 흘러나오는 연주곡은 앨범의 타이틀곡 "Crimson Sea"로 세계적인 명성의 비올리스트 리처드 용재 오닐의 연주곡으로 알려지며 화제를 모았다. 리처드 용재 오닐은 비올리스트로서 그래미상 후보 지명뿐만 아니라 비올리스트로서는 드문 에버리 피셔 커리어 그랜트 상을 수상하였으며, 런던 필, LA필, BBC 심포니, 알테 무지크 쾰른 등 세계적인 무대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앙상블 디토와 디토 페스티벌의 음악감독으로 활약하며 대중들에게 실내악과 클래식을 소개하며 왕성한 활동 중에 있다. 영화 OST로는 처음 도전을 한 리처드 용재 오닐은 국내외의 여러 스케줄을 소화하는 바쁜 일정에도 영화의 시나리오를 먼저 읽고 흔쾌히 참여하며 OST 앨범에 완성도를 높였다.

영화 장면을 가장 완벽하게 이끈 숨은 주역으로는 황상준 음악감독으로 불과 29세의 나이에 영화 '단적비연수'로 2001년 대종상 영화제 음악상을 수상하면서 화려하게 영화음악 감독으로 데뷔한 후 10여 년 동안 수많은 영화와 드라마의 테마곡을 작곡한 명실공히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음악감독이다. 클래식, 팝, 재즈부터 락, 일렉트로닉, R&B, 힙합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장르를 섭렵하는 천부적인 능력으로 영화 [해적: 바다로 간 산적]의 분위기를 더욱 끌어올렸다.


7. 평가

백성과 국가의 길항적 관계까지 품은 유쾌한 액션 코미디
황진미 (★★★☆)
대세에 지장 없으면 내처 달리는 서해 파크 후룸라이드
김혜리 (★★★)
‘4파전’에서 귀엽고 유쾌한 지점은 선점했다
장영엽 (★★★)
<개콘>을 즐겼던 사람이라면
이용철 (★★☆)
산적이든 해적이든, 웃기면 장땡
송경원 (★★★)
산으로 간다
박평식 (★★)
쉴 새 없이 터진다, 유해진
김성훈 (★★★)
퓨전사극의 활용편

사공이 많으면 산으로 간다? [해적]은 아예 그 복작거림을 활용한다. 떼거리 캐릭터들이 산이고 바다고 다 간다. 국새 찾아 떠난 일종의 런닝맨. 유해진 특유의 유머코드는 명불허전.
이화정 (씨네21) (★★★)
코미디로 무장한 고래 사냥

'여름 빅 4' 가운데 가장 밝다. 온 가족이 함께 보기에도 걸릴 것 없다는 점 또한 매력 포인트. 초반 다소 미흡한 CG나 이야기의 구멍을 감안하고도 즐겁게 볼 수 있는 유쾌한 영화.
이지혜 (맥스무비) (★★★)
2014년 7월 24일부터 시작된 시사회에서 다양한 반응이 나오고 있다. 크게 두 가지 반응으로 갈리는 편인데, 생각 없이 즐기는 킬링타임용 오락물로 손색없는 영화라는 긍정적인 반응과 내용이 다소 산만하고 과하고 억지스러운 상황 설정 및 캐릭터에 기대에 못 미치는 CG 같은 요소 등 크게 어필할 요소가 없었다는 부정적인 반응이 양분된 상황. 단, "7급 공무원 수준이었다"라는 한국 코미디 영화치고 꽤 호평(?)을 받기도 하는 걸 보니 코미디는 기대해 볼 만할 거라는 중론.

이야기는 굉장히 뻔하고 부실한 편이다. 특수효과 등에서도 좋은 점수를 주기는 힘든 편으로 특히 바다 장면이 자주 등장하는데 여러모로 어색하다. 그러나 비담을 연상케하는 김남길 특유의 능글맞지만 알고 보면 멋있는 장면 몇 빼곤 대부분이 허당으로 끝나는 모습과 유해진의 코믹 연기가 합쳐져 하드캐리 영화 전체의 급을 높였다는 평가가 다수. 유해진 외에도 김원해, 박철민, 조달환, 신정근같은 베테랑 배우들의 시도 때도 없이 터지는 애드리브들이 일품이었다는 평.

이와 반대로 최악의 미스 캐스팅은 단연 설리가 손꼽힌다. 아역 배우 출신이 맞나 싶을 정도로 극 중 흐름을 계속 끊어먹는 연기를 하는 바람에 네티즌 평가에서 까임 지분을 독점한 상황.[9]

그 외에도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와 유사성이 꽤 많다는 의견[10]도 있다. 스토리의 부실함을 따지면 상당히 많은 이야기가 나올 것 같으니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조선 초기, 고래가 삼킨 국새를 찾는다'라는 서사도 이야기가 발화하기 위한 장에 불과하고, 백성들을 도외시하고 명분만을 쫓는 위정자를 비판하고 있는 주제의식도 결코 심각하지 않은 선에서 그친다. 이 영화의 목적은 어디까지나 시종일관 유쾌하게 이야기를 풀어가는 것이고 어느 정도 그 목적을 이뤄냈다. 진지한 역사물, 정극이라기보다는 코미디 활극이라고 생각하면 편하게 볼 수 있을 듯하다. 솔직히 기대치가 그리 높지 않았는데 꽤 유쾌하게 웃으며 봤다는 평가가 많다. 액션 어드벤처 장르라는 특성상 시종일관 쉴 새 없이 박진감 넘치게 영화를 이끄는 맛은 있어 중간마다 다소 지루했다고 평가받던 명량보다는 한 눈 팔 틈이 없었다는 것이 중론이다. 그냥 머리 비우고 부담 없이 웃겠다는 관객들에겐 충분히 어필할만하다. 또한 한국 영화계에서 볼 수 없었던 성공한 블록버스터 어드벤처 코미디란 점에서 과오에 앞서 성과를 기록해 마땅하다.

7.1. 인물평

전체적으로 배우들이 다양한 캐릭터를 실감나게 연기했다. 매력적인 면에서는 해적들보다는 산적들이 더 앞선다.
  • 장사정 (김남길)
    김남길은 그동안 드라마 선덕여왕비담 역 등 진지하고 어두운 캐릭터를 주로 연기해오다가 이번 작품에서는 진지한 면도 있으면서 한편으론 웃기고 허당인 역할을 맡았다. 영화에서는 별다른 흥행작이 없었기 때문에 개봉 전에 불안하다는 얘기가 많았지만 오히려 김남길은 자기랑 닮은 면이 많아 연기하기 쉬웠다고 한다. 여월 역의 손예진과 멜로와 코미디를 오가며 특유의 능청스럽고 자연스러운 연기력으로 캐릭터의 매력을 높여 잘 어울린다는 평을 받았다.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잭 스패로우를 떠올리게 하는 유쾌한 이미지의 장사정 캐릭터와 김남길의 연기력이 만나 좋은 시너지를 발휘했다는 평가가 많다.
  • 여월 (손예진)
    손예진 역시 클래식, 내 머리속의 지우개 등에서 청순가련한 역할로 유명했고 아내가 결혼했다, 공범 등으로 연기력도 인정받고 티켓 파워도 높은 배우로 인정받았다. 여월은 이런 손예진의 이미지와 정반대인 카리스마가 넘치고 굉장한 무술 실력을 갖춘 역할이다. 특히, 손예진은 액션 연기가 이번이 처음이지만 액션에 대해서 감독이 극찬을 해 기대감을 높였다. 하지만 연기적인 면에서는 호불호가 조금 갈리기도 했다. 해적 두목다운 카리스마와 액션 연기가 잘 어울린다고 평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에 사극 연기 톤이 살짝 어색했다는 평도 있다.
  • 철봉 (유해진)
    코믹 연기로 정평이 나있기로 유명한 유해진이지만, 특히 해적에서는 물고기가 물을 만난 듯 아낌없이 코믹 연기를 발산했다. 유해진이 나오는 장면은 모두 웃기다고 칭찬받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장면은 산적 식구들이 아무도 믿어주지 않은 가운데 고래의 크기에 대해 설명하는 장면관군의 배를 탈취하기 위해 산적 식구들에게 수영 방법을 가르쳐주는 장면. 그 유명한 음파음파가 여기서 나왔다. 한동안 유해진의 연관검색어에 '유해진 음파음파'가 있었다.[11] 대부분의 사람들이 유해진이 극을 실질적으로 이끌어가는 진 주인공의 역할을 했다고 극찬한다. 물론 다른 배우들이 제몫을 못한 것은 아니지만, 영화의 분위기를 가장 잘 살린 배우가 유해진이고, 스토리 상으로도 해적과 산적들이 만나게 되는 연결고리 역할에 국새를 삼킨 귀신고래와 더불어 가장 큰 역할을 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 역할로 대종상,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 올해의 영화상에서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 소마 (이경영)
    문신과 흉터로 뒤덮은 험상궂은 얼굴과 좌중을 압도하는 카리스마로 비열한 악역의 진수를 보여준다. 하지만, 장사정 일행이 상어한테 끌려가는 걸 보고 당황할 때 예상치 못한 웃음을 선사한다.이 배가 세상에서 가장 빠르다매! 부두목으로 나오는 김경식과 좋은 콤비를 보여준다.
  • 한상질 (오달수)
    유해진만큼 코믹 연기로 유명한 오달수 역시 웃음을 터뜨리게 한다. 작정하고 웃기려는 유해진과는 달리 오달수는 진지한 모습으로 웃음을 선사하는 것이 특징.
  • 모흥갑 (김태우)
    출세와 부귀를 향해 엄청난 열망과 장사정에 대한 복수를 위해 강한 집착을 보여주며 어두운 카리스마를 내뿜는 연기를 선보였다. 어느 정도 인간적인 면이 있는 소마와는 달리 목적 달성을 위해서라면 물불 가리지 않아 더 악역에 가까운 느낌을 준다. 실제로 이 영화에서 유일하게 개그 연기를 하지 않은 인물이다. 선역을 주로 맡는 배우지만 비열한 역에도 일가견이 있다.
  • 승려 (박철민)
    육식과 술을 좋아하는 괴상한 땡중으로, 분위기를 짐작하게 하는 헤어스타일과 어디로 튈지 모르는 행동들을 한다. 코믹 연기에 능통한 배우답게 꽤 많은 개그를 담당하며, 자연스러운 연기력으로 캐릭터를 실감 나게 연기했다.
  • 춘섭 (김원해)
    산적단의 2인자로 나오는데, SNL 코리아 크루 출신답게 능청스러운 연기와 꽤 큰 웃음을 선사한다. 특히 장사정을 은근히 디스하고 궁시렁거릴 때 웃기다.
  • 용갑 (신정근)
    여월을 우직하게 따르는 충성심이 강한 모습으로 나온다. 해적 후배들에게 무용담을 늘어놓거나 산적들에게 말싸움을 할 때 굉장한 입담을 선보인다. 대사가 꽤 빠르고 많지만, 자연스러운 연기와 정확한 발성으로 무리없이 잘 소화해낸다.
  • 흑묘 (설리)
    아역 배우 출신이지만 연기력에서는 그다지 좋은 평가를 못 받았고 아이돌이 연기를 하는 것에 부정적인 여론이 높은 상황에서 이 상황을 반전시켜줄지 궁금증이 높았지만... 어색한 연기력으로 나올 때마다 극의 흐름을 끊어먹었다. 하지만 톤이 사극에 안 어울릴 뿐 연기 자체는 좋았다는 평도 있다. 메인 포스터엔 설리의 얼굴이 나와있지만 정작 극 중 비중은 얼마 안 되었다.
  • 정도전 (안내상)
    드라마와 영화에서 좋은 연기력을 보여준 안내상에게 이번 역할은 꽤 비중이 적다. 하지만, 귀신고래와 더불어 이 영화의 주요 사건들을 촉발시키는 역할을 잘 살렸다. 다만, 미진한 점(각본의 문제)으로 실제 역사상 정도전은 주군인 이성계를 도와 한 왕조를 개국하는 데 공을 세운 개국공신이자 이성계의 혁명 파트너였던 사람이건만 이 영화에서는 그런 묘사는 1도 없이 허구한 날 이성계한테 갈굼이나 당하는 듣보잡 간신배 1 이상도 이하도 아닌 무언가로 묘사했다. 아무리 배우의 연기력이 좋았다 한들 실제 역사상의 이성계와 정도전의 관계를 생각하면 그야말로 자신이 정도전이라 생각하는 가상인물을 묘사한 것인지 넌센스 수준.
  • 산만이 (조달환)
    산적단 막내답게 어린 면을 보이면서도 말보다 폭력을 먼저 행사하는 무지막지한 캐릭터를 제 옷처럼 자연스럽게 소화했다. 특히 산적단 막내 시절의 철봉을 신나게 갈굴 때와 철봉이 산적단 서열 2위가 되자 보복당할 때 큰 웃음과 더불어 '인생은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르니 사람을 함부로 대하지 말자'는 교훈을 전해준다.
  • 참복 (이이경)
    해적단의 남자들 중에서 유일하게 젊은 피로, 혈기왕성하고 씩씩한 모습을 보여준다. 나이는 어리지만 선배들에게 묻히지 않는 연기를 보여주었다. 흑묘와 썸타는 모습과 용갑을 은근히 디스하는 모습이 볼만하다.
  • 이성계 (이대연)
    한 나라의 왕답게 위엄있는 목소리와 묵직한 분위기를 선사하지만, 영화가 영화다보니 이쪽도 예상치 못한 타이밍에 개그를 시전해 큰 웃음을 선사한다. 황송하면 아뢰지 마시오! 야! 너네 이씨... 정도전과 마찬가지로 실제 역사상에서 정도전과의 지극한 관계를 생각하면 이성계의 이름만 빌린 가상의 왕을 묘사한 듯하다.

8. 흥행

8.1. 대한민국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14년 33주차 2014년 34주차 2014년 35주차
명량 해적: 바다로 간 산적 해적: 바다로 간 산적
2014년 34주차 2014년 35주차 2014년 36주차
해적: 바다로 간 산적 해적: 바다로 간 산적 타짜: 신의 손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colbgcolor=#253e45><colcolor=#fff> 개봉 전 35,335명 35,335명 미집계 225,478,500원 225,478,500원
1주차 2014-08-06. 1일차(수) 273,445명 2,294,572명 2위 2,021,392,600원 17,533,252,425원
2014-08-07. 2일차(목) 254,862명 2위 1,890,503,200원
2014-08-08. 3일차(금) 297,432명 2위 2,325,093,108원
2014-08-09. 4일차(토) 479,385명 2위 3,769,567,017원
2014-08-10. 5일차(일) 471,916명 2위 3,704,976,600원
2014-08-11. 6일차(월) 259,470명 2위 1,920,733,800원
2014-08-12. 7일차(화) 258,062명 2위 1,900,986,100원
2주차 2014-08-13. 8일차(수) 227,125명 2,344,008명 2위 1,674,554,300원 18,018,290,981원
2014-08-14. 9일차(목) 281,635명 2위 2,077,121,600원
2014-08-15. 10일차(금) 515,794명 2위 4,034,789,493원
2014-08-16. 11일차(토) 493,044명 2위 3,894,189,488원
2014-08-17. 12일차(일) 447,676명 2위 3,529,044,500원
2014-08-18. 13일차(월) 196,322명 2위 1,461,778,100원
2014-08-19. 14일차(화) 182,412명 2위 1,346,813,500원
3주차 2014-08-20. 15일차(수) 151,696명 1,510,647명 2위 1,127,789,700원 11,658,108,800원
2014-08-21. 16일차(목) 153,979명 2위 1,143,887,400원
2014-08-22. 17일차(금) 182,668명 1위 1,434,204,600원
2014-08-23. 18일차(토) 392,908명 1위 3,111,247,700원
2014-08-24. 19일차(일) 377,150명 1위 2,975,394,900원
2014-08-25. 20일차(월) 127,926명 1위 953,480,600원
2014-08-26. 21일차(화) 124,320명 1위 912,103,900원
4주차 2014-08-27. 22일차(수) 140,925명 972,714명 1위 913,114,700원 7,330,498,800원
2014-08-28. 23일차(목) 94,748명 2위 693,285,600원
2014-08-29. 24일차(금) 117,507명 2위 910,134,500원
2014-08-30. 25일차(토) 266,302명 1위 2,102,821,700원
2014-08-31. 26일차(일) 237,986명 1위 1,859,677,700원
2014-09-01. 27일차(월) 60,273명 2위 445,818,500원
2014-09-02. 28일차(화) 54,973명 2위 405,646,100원
5주차 2014-09-03. 29일차(수) 34,998명 776,850명 5위 256,415,400원 6,116,422,500원
2014-09-04. 30일차(목) 27,212명 6위 199,344,700원
2014-09-05. 31일차(금) 45,607명 6위 359,497,100원
2014-09-06. 32일차(토) 108,040명 4위 842,189,500원
2014-09-07. 33일차(일) 122,395명 4위 974,428,900원
2014-09-08. 34일차(월) 193,961명 4위 1,563,125,600원
2014-09-09. 35일차(화) 244,637명 3위 1,921,421,300원
6주차 2014-09-10. 36일차(수) 189,851명 461,882명 3위 1,463,374,700원 3,563,121,000원
2014-09-11. 37일차(목) 33,154명 4위 241,920,700원
2014-09-12. 38일차(금) 33,920명 6위 264,423,500원
2014-09-13. 39일차(토) 89,229명 5위 705,652,200원
2014-09-14. 40일차(일) 82,392명 4위 643,178,400원
2014-09-15. 41일차(월) 16,672명 6위 122,523,300원
2014-09-16. 42일차(화) 16,664명 6위 122,048,200원
7주차 2014-09-17. 43일차(수) 15,998명 123,063명 6위 115,889,400원 942,290,400원
2014-09-18. 44일차(목) 11,752명 5위 84,342,300원
2014-09-19. 45일차(금) 14,390명 5위 110,583,400원
2014-09-20. 46일차(토) 32,561명 5위 258,757,100원
2014-09-21. 47일차(일) 31,148명 5위 247,285,000원
2014-09-22. 48일차(월) 8,444명 5위 61,729,800원
2014-09-23. 49일차(화) 8,770명 5위 63,703,400원
8주차 2014-09-24. 50일차(수) 12,157명 88,232명 5위 81,460,600원 662,776,200원
2014-09-25. 51일차(목) 7,433명 5위 52,541,100원
2014-09-26. 52일차(금) 9,681명 5위 73,087,400원
2014-09-27. 53일차(토) 21,639명 5위 171,795,300원
2014-09-28. 54일차(일) 22,480명 4위 176,959,300원
2014-09-29. 55일차(월) 7,413명 5위 53,985,400원
2014-09-30. 56일차(화) 7,429명 5위 52,947,100원
9주차 2014-10-01. 57일차(수) 7,310명 19,716명 5위 52,129,400원 150,384,600원
2014-10-02. 58일차(목) 1,596명 11위 11,368,000원
2014-10-03. 59일차(금) 4,002명 11위 32,020,300원
2014-10-04. 60일차(토) 2,840명 12위 23,565,600원
2014-10-05. 61일차(일) 2,523명 12위 20,645,900원
2014-10-06. 62일차(월) 743명 12위 5,572,000원
2014-10-07. 63일차(화) 702명 15위 5,083,400원
10주차 2014-10-08. 64일차(수) 238명 34,222명 28위 1,799,500원 148,282,000원
2014-10-09. 65일차(목) 8,687명 13위 38,183,500원
2014-10-10. 66일차(금) 7,963명 11위 33,614,000원
2014-10-11. 67일차(토) 8,148명 12위 34,736,500원
2014-10-12. 68일차(일) 8,575명 12위 36,778,000원
2014-10-13. 69일차(월) 527명 16위 2,574,500원
2014-10-14. 70일차(화) 84명 37위 596,000원
합계 누적 관객 수 8,665,887명, 누적 매출액 66,369,728,706원[12]
<rowcolor=#fff> 날짜 누적 관객 수 기타
8월 6일 27만 명 개봉 첫날
8월 9일 134만 명 100만 돌파
8월 13일 250만 명 200만 돌파
8월 15일 335만 명 300만 돌파
8월 17일 429만 명 400만 돌파
8월 22일 516만 명 손익분기점 돌파
8월 25일 606만 명 600만 돌파
8월 31일 704만 명 700만 돌파
9월 10일 812만 명 800만 돌파
개봉 첫날인 8월 6일, 약 27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박스오피스 2위를 기록하였다. 다만 경쟁작으로 지목되었던 〈군도: 민란의 시대〉나 〈명량〉에 비해 상당히 저조한 오프닝 스코어이며, 특히 〈명량〉의 압도적인 예매율이나 좌석 점유율을 고려해 보면 앞으로 흥행세가 불투명해 보였으나, 사전 예매가 아닌 현장 예매가 강세를 띄었기에 첫 주말 관객을 끌어들여 개봉 5일 차인 8월 10일, 18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였다.

8월 17일 하루 전국 898개의 상영관에서 44만 7676명의 관객을 동원해 누적 관객 수 429만 5181명을 기록하였다. 〈명량〉의 압도적인 흥행세에 상대적으로 덜해 보일 뿐, 8월 중순까지 박스오피스 2위를 유지하며 강세를 보였다.

약 160억 원의 제작비가 투입된 〈해적: 바다로 간 산적〉의 손익분기점은 500만 명 이상인데, 제작사인 하리마오픽쳐스의 전작 〈7급 공무원〉의 흥행 성적(4,039,891명)을 8월 17일 전국 429만 관객으로 뛰어넘었으며, 무난히 500만 이상의 흥행 성적을 찍을 거라는 예상에 맞게 22일 오전 6시를 기점으로 500만 관객을 돌파해 손익분기점을 넘겼다.

〈명량〉이 천만 관객의 고지를 점유함에 따라 〈명량〉의 흥행 성적의 성장세가 다소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해적〉이 개봉 3주 차에 접어들면 이미 〈명량〉을 본 관객들의 대체 작품으로 코믹 액션 활극인 〈해적〉이 더욱 강세를 띌 것으로 보인다. 물론 김윤석, 박유천 주연의 영화 〈해무〉가 8월 13일 개봉해 여름에 바다를 주제로 한 두 영화의 대결이 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되었으나 〈해무〉는 쪽박을 찼다.

8월 22일, 〈명량〉을 누르고 드디어 박스오피스 1위로 올라갔다. 8월 25일에는 600만의 누적 관객 수를 돌파했으며 31일에는 704만 관객을 기록했다. 서서히 막을 내리며 4위로 내려간 〈명량〉과 달리 평일 관객도 10만 이상으로, 〈인투 더 스톰〉과 박스오피스 1, 2위를 다퉜으나 〈인투 더 스톰〉이 더 빨리 하락하였고, 〈해적〉은 꾸준히 3, 4위권을 유지하며 9월 10일 오전 9시, 800만 관객을 돌파했다. 다만 이후로는 평일 관객 3, 4만대로 내려가면서 1000만 관객 넘기기에는 벅찼고 9월 29일까지 전국 859만 명 관객을 기록했으나 평일 관객이 1만 명도 채 안 되는 상황이었으며, 10월 2일엔 861만 관객을 동원하면서 박스오피스 10위 바깥으로 떨어졌다.

최종 집계는 866만 6,208명. 역대 사극 영화 흥행 5위를 기록했다.[13]

9. 탐구

  • 시대극을 표방했으며 이를 통해 역사고증이라는 같은 부류의 작품들이 비껴가기 어려운 문제를 어느 정도 비껴가려 하였고, 실제로도 어느 정도는 성공했다. 그러나 다른 부분은 그냥 넘길 수 있을지 몰라도, 해적에서 풍자되고 묘사되는 여러 시대적 배경이나 양상이 실제 역사에서의 대상에 대한 평가와 크게 상반되거나 왜곡되었으며, 그 자체가 스토리의 중심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사실관계에 밝은 사람들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았다.
    • 상당히 조선까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석 자체가 상당히 조선 건국 비하, 고려 미화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다만 이것이 단순히 요동에 대한 민족주의적 향수나 과거 식민사관의 잔재인지[14], 역사에 대해 무지해서 그런지, 캐릭터들 사이의 인과 관계에 따른 풍자적 장면인지는 견해에 따라 평가가 달라진다.[15]
    • 시작부터 장사정이 위화도 회군을 신랄하게 까거나 가담한 인물들은 죄다 한통속 챙기려는 소인배로 그린다. 이성계의 4불가론에 대해서도 악의적으로 묘사한 부분이 없다고 보기 어렵다.[16] 이처럼 조선에 대한 멸시적인 시선이 영화 내내 이어지더니 나중에는 아예 유교만 숭배하고 불교를 탄압하는 또라이들이 나라를 차지했다고 대놓고 깐다.
    • 제작진은 조공책봉관계에 대해 아무런 지식이 없는 모습을 보여준다. 당시 조공-책봉 관계는 상국(이 당시에는 명나라)와 제후국의 의례에서 비롯된 복합적인 외교 관계이며 제후국이 상국의 연호-역법을 받들되 내정은 자주(自主)할 수 있는 체제로, 조공 무역을 통해 상국도 제후국도 이익을 보는 시스템이었으나, 이 작품에서는 그런 고찰은 개나 줘버리고 "조선은 명나라의 속국밖에 안 되는 나라였다!"같은 저열한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역사적 맥락을 판단하지 않고 과장되거나 왜곡된 현대의 시각으로 표현했다고 평가하는 시각도 있고 진지한 사극도 아닌데 왜 그렇게 보냐는 시각도 존재한다.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가 역사왜곡이건 어쩌건 아무도 신경 쓰지 않았다는 점에서, 해적: 바다로 간 산적에 유달리 강한 고증의 잣대를 들이대는 것이 무리수라는 것이다. 그러나 스토리의 주요 인물 중 하나가 영국 해군이라는 것 외에는 아예 역사적 사실과 완전히 상관없이 전개된 캐리비안의 해적[17]과 달리 해적: 바다로 간 산적은 스토리의 중심 축에 강한 역사적 상황이 관여되어 있다는 점에서 비판할 구석이 존재한다. 해적: 바다로 간 산적에서 나타나는 역사왜곡은 그냥 그러려니 하고 보기에는 스토리와 너무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 영화의 역사왜곡의 문제점은 실존 인물들의 사상과 평가 자체를 뒤틀어버린다는 점에 있다.
  • 의상, 도검, 화약무기, 선박 등등 기술적 세부적인 부분에서 애당초 대놓고 코믹 퓨전 판타지 시대극을 만들겠다고 천명한지라 대부분 고증 자체를 신경 안 쓰고 17세기의 카리브해 해적을 연상시키는 소품들을 대량 사용하였다. 다만 작품 전체적으로 역사보다는 재미를 추구했기 때문에 고증에 신경 쓸 필요는 적은 편이다. 물론 아무리 시대극이라도 지나치게 고증을 무시하면, 즉 역사적 지식이 없는 인물이라도 이질감을 느낄 정도로 무시한다면 문제긴 하다.
    • 실제 명나라에서 하사한 국새는 거북 모양이지만 극중 명나라가 준 옥새는 현대 대통령의 국새처럼 봉황 모습을 하고 있다.
    • 여말선초 시대인데 등장하는 배는 죄다 중국식 정크선, 그것도 복선이며, 영상 2분 17~20초 부분을 보면 각종 장면에서 잠깐잠깐 배경에 나오는데, 배에 설치한 대포가 서양식 대포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이런 포들이 동양에 도입된 것은 훨씬 뒤인 16~17세기 서양인들이 중국, 동남아 지역에 조금씩 나타나면서 도입된 것이라 시대가 안 맞는다. 또한 영상의 2분 27초에는 손예진이 쇠뇌를 쏘는 장면이 나오는데, 방아쇠를 당기는 것으로 보아 궐장노인데 연노식 탄창이 달려있다.[18]
    • 조선 수군의 고증은 꽤 잘 되어있다. 우선 당대 여말선초 수군은 누전선과 과선 주력으로 사용했는데, 영화에서도 이를 잘 고증했다. 특히 누전선의 특징인 배 앞과 뒤, 두 부분에 설치한 망루를 잘 구현했다. 다만 당대 경번갑을 입은 장교들은 고증에 맞지만, 정작 병사들은 정체불명의 투구와 가죽 갑옷을 입었다.
    • 복식 고증은 대놓고 무시하지는 않았지만, 여월의 복식 중 특히 안쪽에 입고 있는 하얀 옷은 르네상스 피렌체 사람인 에지오가 암살자가 되기 전 복장과 비슷하다 캐리비안의 해적 등에 나오는 서양의 블라우스에 가깝게 제작되는 등 꽤나 퓨전이 이루어진 형태를 하고 있다. 시대는 많이 앞섰지만 어쩌면 구한말 서구권의 블라우스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해녀복 물적삼을 참고한 것일 수도 있다.
  • 예고편에 나온 혹등고래의 크기가 말도 안 되게 과장되었다. 혹등고래는 약 15m까지 자라는데, 영상에 나온 크기는 무슨 흰긴수염고래 급 초대형 고래다. 물론 바다에서 고래가 뛰쳐나오는 장면이기에 과장돼 보일 수도 있지만, 포스터나 컨셉 아트에서 고래의 크기는 대왕 고래급으로 묘사된다.
  • 한상질이 명나라에서 조선이라는 국호를 허가받는 장면에 등장하는 성지(聖旨, 황제의 칙령서)[19]의 연도가 '洪武一三九二年壬午年(홍무 1392년 임오년)'으로 되어 있다. 의도한 표기인지 모르지만 당시 동아시아에선 당연히(...) 서기로 연도를 세지 않았다. 명나라 초대 황제 홍무제의 연호에 맞추려면 '洪武二十五年(홍무 25년)'이 옳다. 월일까지 쓰려면 '洪武二十五年閏十二月初九日(홍무 25년 윤12월 초9일)'.
    • '一三九二年'이라는 표기에도 문제가 있는데, 오늘날의 아라비아 숫자 표기법과는 달리 위치적 기수법이 없었으므로 1392년을 의도했다 한들, '(一)千三百九十二年((일)천삼백구십이년)'과 같이 쓰는 게 옳다.
    • 육십갑자도 틀렸는데, 서기 1392년은 임오(壬午)년이 아니라 임신(壬申)년이다.

10. 수상

<rowcolor=#ffffff> 연도 시상식 부문 수상자(작)
2014년 제18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프로듀서스 초이스상 손예진
제51회 대종상 여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유해진
제22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영화 부문 최우수작품상 해적: 바다로 간 산적
영화감독상 이석훈
제15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남자 연기자상 이경영
제35회 청룡영화상 기술상 강종익
제1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 남우조연상 유해진
2015년 제6회 올해의 영화상
제51회 백상예술대상 영화 부문 남자 조연상
제35회 황금촬영상 최우수 남우조연상

11. 기타

속편이 제작된다고 밝혔으나 2017년이 다 가도록 추가 소식이 없는 것으로 보아 엎어진 듯싶었다. 그러나 2018년에 제작이 확정되었다. 부제는 도깨비 깃발. 하지만 2019년 4월에 다시 제작 중단되었다고 한다. 원년 멤버들의 하차로 이야기를 이끌어나갈 수 없었다고. 그러던 중 2020년 3월에 새로운 배우들로 새롭게 제작이 된다고 보도되었다. 배우는 권상우, 강하늘, 이광수, 한효주 등. 2020년 7월 크랭크 인으로 2022년 1월에 개봉한다.# # 속편의 제목은 해적: 도깨비 깃발이다.
[1] 순 제작비는 약 135억 원, 총제작비는 약 170억 원이다.[2] 다만, 여기에서 여월이 소마를 억지로 바다에 빠뜨리지는 않았다. 소마는 "해적의 마지막 길은 두 가지 밖에 없다. 물고기의 밥이 되거나 아니면..."이라는 말을 남기고 스스로 바다에 빠졌다. 이후 여월이 소마에게 잡혀 바다에 빠지게 될 위기에 처하자 똑같은 말을 한다.[3] 사실 승려의 육식 금지는 양무제가 계율을 확대 해석해서 생긴 후대의 관습이지 원래는 승려도 육식에 큰 지장이 없지만, 자기가 일부러 도살을 의뢰하거나 사 먹으면 안 되고 시주받은 고기만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스님이 고기를 사냥해 먹는 것은 파계 사유가 될 수 있다. 설령 아무래도 산적인 만큼 산에서 버섯이나 산나물 등을 같은 걸 함부로 채취해 먹기엔 위험해서 육식을 즐길 수밖에 없었다고 칠 수 있어도, 음주는 종파를 불문하고 엄격히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승려의 음주는 이유 불문 파계 사유다.[4] 이는 처음부터 조금씩 드러나는데, 일단 여월을 자기 부관으로서 중용했고 부하 해적들을 죽이는 것도 다 필요한 일이라면서 가르쳐주었다.[5] 심지어 여월은 안 그런 척 듣고 있다가 5천 명이라고 정정해 주기까지 한다. 나중에는 철봉이 산적들에게 자신의 무용담인 듯 슬쩍 바꿔 말하기도 한다.[6] 실제 인물로, 세조의 장자방 한명회의 할아버지다.[7] 이 당시에는 조선 건국 직후라서 남경(한양)이 수도가 아니었다. 작중에서도 고려 수도였던 개경을 계속 수도로 쓰는 것은 적절치 않으므로 천도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내용이 있다.[8] 이게 별거 아닌 것 같지만 이성계 주변에 사람도 있었고, 칼집에 들어 있던 칼을 바로 꺼내서 쳐내고 거기에 주변에 사람들에게 안 날라 가게 하는 건 상당히 실력을 쌓지 않는 한 어렵다. 실제 역사에서도 이성계는 보통 명궁으로 유명하지만 검도 잘 다뤘다고 기록되어 있다. 전어도 설화가 있기도 하고.[9] 가뜩이나 설리가 맡은 배역은 비중이 공기라 역할을 웬만큼 잘 살려도 좋은 평가를 듣기 어려울 판인데 그나마 나오는 장면을 모두 발연기를 해버렸으니... 덕분에 안 좋은 의미의 신 스틸러가 되어버렸다.[10] 초중반부 벽란도에서의 물레방아 추격전은 2편 망자의 함에서의 대형 물레방아 결투신을 연상시키고, 후반부 소마와 여월의 해적단이 공간을 두고 대치하는 사이에 산적패가 빼앗은 수군 배가 노닥거리다 두 해적단 배 사이에 끼어버리는 장면은 영락없는 3편 세상의 끝에서의 블랙 펄과 플라잉 더치맨 사이에 엔데버 호가 끼여서 끔살당하는 장면과 같은 구도다.[11] 요약하자면 수영할 때는 파도를 이기려고 들지 말고 파도에 몸을 맡기고 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그걸 설명하기 위한 의성어가 음파음파. 반대로 파음파음하면 뒤지는거라는 사족은 덤(...).[12] ~ 2014/10/30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13] 사극 영화 1위는 1761만 관객이 본 명량. 2위는 광해, 왕이 된 남자로 전국 1232만 관객이 봤으며, 3위는 전국 1230만 관객이 본 왕의 남자, 4위는 전국 913만 관객이 본 관상, 6위가 전국 747만 관객이 본 최종병기 활. 7위가 624만 명의 사도.[14] 이게 사실이라면 이 영화 제작진들과 감독은 드라마 조선구마사처럼 수많은 사람들에게 잘못된 역사적 사실을 전파하려고 한 셈이 된다.[15] 풍자적인 장면이라면 악당들이나 멍청해 보이는 캐릭터에게 조선까적인 성향을 보여야지 정의로운 주인공이 그런 사상을 가지고 있으니 풍자적일 거라는 의견은 거리가 매우 멀어 보인다.[16] 이성계가 4불가론을 이야기하는 장면에서 작은 나라로써 큰 나라를 거스르는 것은 불가하다(以小逆大不可)는 말을 예의가 아니라고 말한다. 나중에 조선 내 중화주의가 더욱 커지면서 이렇게 선전된 부분도 없지 않으나 본래 이 말은 단순히 국력이 강한 나라와 전쟁하는 것은 무모하다는 뜻일 뿐으로, 당시 국제정세를 생각해 보면 이는 당연한 전략적 판단이다. 우리나라가 지금 당장 미국이나 중국이랑 전쟁을 한다면 이길 수 있을까?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거스르면 안 된다는 이야기는 이런 무모한 일을 하지 말자는 것이지 장사정이 비꼬았던 것 같이 그런 문제가 아닌 것이다. 또한 조선 역시 이성계 집권 당시에는 명과 엄청난 신경전을 벌일 정도로 사이가 안 좋았다. 그런 이성계가 사대주의를 내세우면서 회군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겠는가? 심지어 이것만 까는 것도 아니고 그 직후 다른 3가지 이유도 고작 그런 거 갖고 전쟁을 안 하냐는 식으로 깐다.[17] 그나마도 2~3편은 영국 해군 대신 영국 동인도 회사를 모티브로 삼은 가공의 기업동인도 무역회사가 주적으로 나온다.[18] 루신 저, '삼국지 사실과 허구를 말하다'라는 책에 비슷한 형태의 쇠뇌 삽화가 나오지만 이 책 자체가 고증면에서 많이 안 좋은 책이다. 해당 삽화도 오스프리 고증도를 군데군데 어레인지한 것이다.[19] '東夷之號, 惟朝鮮之稱美, 且其來遠, 可以本其名而祖之。 體天牧民, 永昌後嗣。 동이(東夷)의 국호(國號)에 다만 조선(朝鮮)의 칭호가 아름답고, 또 그것이 전래한 지가 오래되었으니, 그 명칭을 근본하여 본받을 것이며, 하늘을 본받아 백성을 다스려서 후사(後嗣)를 영구히 번성하게 하라.'라고 쓰여 있다. 실록 기사